책 이미지
![[큰글자책] 인공지능 시대 일의 의미](/img_thumb2/9791143009104.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43009104
· 쪽수 : 167쪽
· 출판일 : 2025-09-29
책 소개
목차
왜 일의 의미에 주목해야 하는가?
01 일의 의미의 정의와 원천
02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03 인공지능과 자율성, 일의 의미
04 인공지능과 유능성, 일의 의미
05 인공지능과 관계성, 일의 의미
06 인공지능 사용의 즐거움과 일의 의미
07 인공지능으로 야기된 불안과 일의 의미
08 인공지능과 핵심 직무 특성, 일의 의미
09 일의 의미를 만들고 유지하는 개인
10 일의 의미를 만들고 유지하는 조직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미 만들기는 일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세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뜻한다. 이 차원은 일을 함으로써 자기와 자기를 둘러싼 상황을 더 잘 이해하게 되는 것을 지칭한다. 일을 통해 나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도 하고, 일을 하면서 세상을 더 잘 이해하게 되기도 하는 것을 설명하는 차원이다. 특정 직업에 오래 종사하게 되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지기도 한다. 회계사로 20년을 산 사람과 마케터로 20년을 산 사람이 현상과 삶을 이해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어떤 조직을 바라볼 때 회계사들은 재무제표를 통해 그 조직과 조직의 업을 이해하는 것이 쉬울 수 있다. 반면 마케터는 브랜딩 전략과 회사 이미지를 통해 그 조직과 업을 우선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직뿐 아니라 사회와 주변의 일들을 해석하고 평가하면서 의미를 만들 때 내가 하는 일이 참고 틀(frame of reference)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이 일을 통한 의미 만들기다.
-01_“일의 의미의 정의와 원천” 중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일터에 적용되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늘 부정적이지는 않지만, 자율성의 침해는 일관적으로 부정적인 태도와 결과를 초래한다. 상사와 동료 혹은 부모로부터 받는 잔소리와 간섭, 훈계도 싫은데,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의사 결정이나 피드백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해 보라. 인공지능 시스템이 선택권을 제공하지 않고, 자율성을 침해할 경우, 사용자의 자율성에 대한 침해뿐 아니라, 인간 전체의 독특성과 자율성에 대한 침해로 인식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율성의 침해와 통제감의 상실에 대한 인식은 인공지능 기술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거나 추후에 사용하지 않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03_“인공지능과 자율성, 일의 의미” 중에서
이러한 긍정 정서의 기능을 설명하는 이론 중 하나는 확장 및 구축 이론(Broaden-and-Build Theory)이다. 바버라 프레드릭슨(Barbara Fredrickson) 박사가 제안한 이 이론은 긍정 정서의 진화적, 적응적 기능을 설명한다. 긍정 정서는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사고와 행동을 확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원의 구축으로 이어진다. 즉 긍정 정서를 경험하면 평소보다 유연하고 폭넓은 사고가 가능해지며 이는 창의성, 수용성, 회복 탄력성, 실행력을 높인다. 긍정 정서를 경험하면 다양한 행동 대안을 생각해 내고 새로운 과업에 도전하고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06_“인공지능 사용의 즐거움과 일의 의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