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강의노트/기타
· ISBN : 9791155060346
· 쪽수 : 932쪽
· 출판일 : 2013-07-12
목차
제1편 고대사
제1장 선사시대
제1절 구석기 시대(70만년전 ~ )
구석기 연구성과[연구동향]
구석기인들의 생활상
유적과 기타 쟁점
제2절 신석기 시대(1만년전/BC8000년 ~ )
신석기 연구성과[연구동향]
신석기인들의 생활상
신석기 주요 유적
제3절 청동기 시대(BC2000/1500년 ~ )
청동기 연구쟁점
청동기인의 생활
청동기 주요 유적
제4절 철기 시대(BC5c ~ )
철기 연구성과[연구동향]
철기인들의 생활상
철기시대 주요 유적
제2장 초기국가
제1절 고조선
초기 고조선(단군조선)
후조선
위만조선
제2절 부여(BC4/3c ~ 494)
제3절 초기 고구려
제4절 옥저와 동예
옥 저
동 예
제5절 삼 한
진 국(辰)
삼 한(三韓)
제3장 고대국가⑴
● 고대국가 총설
제1절 왕대사
고대국가의 기틀을 다지는 시기(~4c)
고대국가의 성립(4c~7c/6c~7c)
제2절 정치(제도)사
중앙제도
지방제도
군사제도
교육제도
제3절 경제사
경제제도
경제활동
제4절 사회사
신분제도
사회시책
사회생활
제5절 각국 도성의 형성과 발달
제4장 고대국가⑵ - 남북국
제1절 왕대사
전제왕권의 성립 : 신라 ‘중대’의 성립과 발해의 성장
전제왕권의 동요 : 신라 ‘하대’의 성립, ※ 발해 ‘상경시대’
제2절 시대사
신라중대(고대국가 강화기) : 전제왕권의 확립
신라하대(고대국가 해체기) : 귀족들의 왕위쟁탈전
제3절 제도사
정치제도사
경제사
제4절 사회사
골품제도
사회시책과 사회생활
발해의 사회
제5절 문화사
사상사
편찬사업
미술/문학
문학, 음악
과학기술
한국 문화의 일본전파
제2편 중세사
제1장 고려시대(전기)
제1절 정치사
왕대사
정치제도
제2절 경제사
토지제도
수취체제
경제활동
대외무역
제3절 사회사
사회제도
사회생활
제2장 고려시대(후기)
제1절 정치사
왕대사/시대사
정치제도사
제2절 경제사
고려후기 토지제도의 변화
고려후기 경제활동의 변화
제3절 사회사
제3장 고려시대(문화사)
제1절 사상사
1. 불교사
2. 유학의 발달
3. 기타사상
제2절 편찬사업
1. 역사서
2. 기타 편찬물
제3절 미술(건축/공예 포함)/문학/음악
1. 건축/공예
2. 불교미술
3. 서화/문학/음악
제4절 과학기술
제4장 조선시대(전기)
제1절 정치사
왕대사/사림정치사
중앙제도
지방제도
군사제도
교육/과거
대외관계
제2절 경제사
경제제도
경제활동
제3절 사회사
사회제도
사회생활
제5장 조선시대(후기)
제1절 정치사의 변동
왕대사 및 붕당정치사
정치제도의 변화
대외관계의 변화
제2절 경제사의 변동
수취체제의 변화
경제활동의 변화
제3절 조선후기 사회상의 변화
신분제도의 변화
사회생활의 변화
지방사회사
제6장 조선시대(문화사)
제1절 사상사
조선사상계의 흐름
기 타
제2절 편찬사업
역사서
지도, 지리지
법전/의례서/음악서
병서 등
국가왕실 공식기록물들
기타 실용서적
제3절 미술/문학/음악
건 축
미 술
문 학
음악/탈춤/산대
제4절 과학기술
천문과학
인쇄기술
제3편 근현대사
제1장 개항기
제1절 1863~1873년 대원군 집정기
내정개혁
서세동점
사상사
제2절 고종친정 후 1870년대
고종 친정 초기의 동향
개항과 그 영향
척사운동⑵
제3절 1880년대 전반의 정부개혁
1881년
1882년
1883년 : 본격적 개화정책
제4절 갑신정변
갑신정변의 발생
개혁정강의 내용
정변의 결과 및 영향
제5절 1880년대 후반의 정세(1885-1894)
1880년대 후반의 국제정세
1880년대 후반의 정치
제6절 “1894”년 - 농민전쟁, 갑오개혁, 청일전쟁
동학농민전쟁
갑오개혁(/을미개혁)
청일전쟁
의병의 대두 : 을미의병(전기의병)
청일전쟁 이후의 경제사회문화 변화
제6-1절 아관파천기(1896.2~1897.2)
아관파천
독립협회의 탄생
아관파천기 대외관계
제7절 대한제국의 성립
1897년 : 대한제국의 성립
1898년 : 독립협회 정치활동 전성기
1899년 이후 : 본격적인 정부개혁의 실시
기타 : 대한제국기 각종 활동
제7-1절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쇠락
1904년 : 러일전쟁 중의 국권침탈
1905년 이후 : 통감정치 시행(‘이원 정부체제’)
1907년 이후 : 행정권 박탈(실질적 국권박탈)
민족해방운동의 개막
계몽운동기 근대문화의 유입
제7-2절 국권피탈 : ‘한일병합’(1910.8)
※ 한국근대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
반식민주의 역사학
제2장 일제시대
제1절 1910년대
일제정책사
민족운동사
제2절 1920년대
일제정책사
민족운동사
제3절 1930~40년대
일제정책사
민족운동사
제3장 현 대
제1절 해방공간
1945년
1946년 : ‘좌우’의 분화
1947년 : 국제정세의 변화
1948년 : 단정단선 반대운동
미군정기의 경제/사회
제2절 제1공화국
전쟁 전 1공화국
한국전쟁
전쟁 후 1공화국
1공화국의 경제/사회
제3절 제2공화국
1. 2공화국의 수립
2. 2공화국의 경제
제4절 제3공화국
1. 3공화국의 출범
2. 박정희 2기
3. 박정희 3기
제5절 제4공화국
유신체제의 성립
유신체제의 정치
3~4공화국의 경제
제6절 제5공화국
1. 5공화국의 성립
제7절 제6공화국
1. 노태우 정부
2. 김영삼 정부
3. 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
※ 역사학이론/지역사/유네스코
역사학이론
지역사(이 외는 본문에 포함)
유네스코지정 세계문화유산
※ 연대정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