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회복지 정책론

사회복지 정책론

심상오 편저 (지은이)
에듀파인더
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800원 -0% 2,500원
390원
9,9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회복지 정책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회복지 정책론 
· 분류 : 전자책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55580875
· 출판일 : 2021-04-05

목차

머리말



제1장 / 사회복지정책의 개념

1. 사회복지의 개념

1) 사회복지(social welfare): 사회(social)와 복지(welfare)의 합성어|2) 윌렌스키(L. Wilensky)와 르보(N. Lebeaux)|3) 제 학자의 개념

2. 사회복지의 기본적 가치

1) 평등(equality)|2) 효율성(efficiency)|3) 자유(freedom)|4) 사회적 적절성(social adequacy)|5) 사회정의: 롤즈(J. Rawls)의 사회정의론(社會正義論)

< 출제경향 파악 >



제2장 / 사회복지정책의 주체

1. 사회복지정책의 주체

1) 공공부문 :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공단체 등|2) 민간부분 : 비영리기관, 비공식 부문 등|3) 복지다원주의(복지혼합, 복지공급의 다원화)

2.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개입의 필요성

1) 사회복지의 시장체계 실패: 국가개입의 정당성 논리제공|2) 사회복지의 시장실패(시장의 비효율성)원인

3. 사회복지정책의 대상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유형|2) 브래드쇼(Bradshow)의 사회적 욕구

4. 사회복지정책의 기능

1) 일반적 기능|2) 역기능에 대한 논의

< 출제경향 파악 >



제3장 / 사회복지정책의 태동

1. 시대별 사회복지정책

1) 근대사회[18세기 중기(산업혁명) 이후∼20세기 초]: 사회복지정책의 시작|2) 현대 산업사회[20세기 중반(제2차 대전) 이후∼현재]: 사회복지정책의 발전·재편

2. 영국의 구빈법시대

1) 엘리자베스 빈민법(Poor Law, 1601): 원내구제 원칙|2) 정주법(Settlement Act, 1662): 거주 이전 제한|3) 작업장법(Workhouse test Act, 1722): 원내구제 원칙|4) 길버트법(Gilbert Act, 1782): 원외구제 원칙|5) 스핀햄랜드법(Speenhamland Ac, 1795): 원외구제 원칙|6) 공장법(Factory Law, 1833): 아동의 근로환경 개선|7) 신(新)빈민법(Poor Law Reform, 1834): 원내구제 원칙

3. 민간조직의 활동

1) 자선조직협회(COS: Charity Organization Society)|2)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3) 빈곤조사 등

< 출제경향 파악 >



제4장 / 복지국가의 형성

1. 복지국가의 성립배경(1920~1944년): 사회보험, 사회보장법, 베버리지보고서

2. 사회보험과 사회보장법

1) 사회보험의 개념|2) 독일의 비스마르크 사회입법(1880년대): 권위주의적 개혁|3) 영국의 국민보험법(1911): 자유주의적 개혁(자유당 정부)|4) 미국의 경제대공황과 사회보장법

3. 영국의 베버리지보고서

1) 베버리지위원회|2) 베버리지보고서의 주요내용

< 출제경향 파악 >



제5장 / 복지국가의 성립

1. 복지국가의 확장기(1945~1970년대 중반): 보편주의 확대, 사회민주주의(제1의 길)

1) 복지국가의 확장 배경|2) 복지국가 확장기의 주요변화

2.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기

1) 복지국가의 위기 : 선별주의 회귀, 신자유주의(제2의 길)|2) 보수당 정권의 개혁|3) 복지국가의 재편 (1970년대 중반∼현재): 에스핑-엔드슨의 재편방식, 제3의 길 등

3. 제3의 길 및 사회투자국가

1) 제3의 길|2) 사회투자국가

< 출제경향 파악 >



제6장 /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

1. 사회양심이론(social conscience theory)

1) 사회양심이론의 주요 내용|2) 베이커(Baker)의 사회양심이론|3) 사회양심이론의 한계점

2. 산업화이론(industrialization theory)

1) 산업화이론의 주요 내용|2) 산업화이론의 한계점

3. 확산이론(diffusion theory)

1) 확산이론의 주요 내용|2) 확산이론의 한계점

4. 시민권이론(citizenship theory)

1) 시민권이론의 주요 내용|2) 마샬의 시민권발달과정|3) 사회복지수급권의 권리성 인정여부

5. 이익집단이론(다원주의이론)

1) 이익집단이론의 주요 내용|2) 이익집단이론의 한계점

6. 권력자원이론

1) 권력자원이론의 주요 내용|2) 권력자원이론의 한계점

7. 음모이론(conspiracy theory)

1) 음모이론의 주요 내용|2) 음모이론의 한계점

8. 종속이론(dependency theory)

1) 종속이론의 주요 내용|2) 종속이론의 한계점

9. 국가중심이론

1) 국가중심이론의 주요 내용|2) 국가중심이론의 한계점

< 출제경향 파악 >



제7장 / 사회복지와 복지국가의 유형화

1. 사회복지의 개념

1) 윌렌스키(Wilensky)와 르보(Leveaux)의 2분 모형|2) 티트머스(Titmuss)의 3분 모형

2. 복지국가의 유형화이론

1) 조지와 윌딩(V. George & P. Wilding)의 초기 이데올로기 모형|2) 에스핑 엔더슨(G,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모형|3) 퍼니스(N. Furniss)와 틸튼(T. Tilton)의 복지국가 모형|4) 파커(J. Parker)의 모형|5) 미쉬라(R. Mishra)의 모형|6) 테어본(Therborm)의 모형

< 출제경향 파악 >



제8장 / 사회복지관련 사상

1. 자유방임주의

1) 개념|2) 구빈법과 자유방임주의 등장|3) 자유방임주의 쇠퇴와 복지국가 등장

2. 케인즈(J.M Keyness)주의

1) 개념: 사회정책> 경제정책|2) 유효수요의 원리|3) 케인즈주의 쇠퇴와 신자유주의 등장

3. 신자유주의(신보수주의)

1) 개념: 경제정책> 사회정책|2) 신자유주의(신보수주의) 등장배경|3) 복지국가에 대한 견해

4. 페이비언사회주의

1) 개념|2) 사회복지정책의 필요성

5. 사회민주주의

1) 개념|2) 사회민주주의 이론에 대한 평가

6. 마르크스주의

1) 개념|2)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견해

7. 신(新)마르크스주의(Neo-Marxism)

1) 개념|2) 신마르크스주의 유형

8. 조합주의 (corporatism)

1) 개념|2) 조합주의 유형

< 출제경향 파악 >



제9장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 결정

1. 사회복지정책의 형성

1) 사회복지정책관련 개념|2) 정책의 형성과정

2. 정책의제(아젠다)의 형성 및 모형

1) 정책의제(아젠다)|2) 정책의제 형성모형 - 콥과 로스(R. Cobb & J. Ross)

3. 정책의 대안형성과 결정

1) 정책대안의 형성|2) 정책대안의 비교분석 방법|3) 정책결정의 과정|4) 정책결정의 특성

< 출제경향 파악 >



제10장 / 사회복지정책의 결정모형, 집행 및 평가

1.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1) 합리모형(고도의 합리성)|2) 만족모형(제한된 합리성)|3) 점증모형(정치적 합리성)|4) 혼합모형(합리모형+점증모형)|5) 최적모형(경제적 합리성+초합리성)|6) 쓰레기통모형

2. 정책의 집행

1) 정책집행의 의미|2) 정책집행의 중요성|3) 사회복지정책 집행의 특징|4) 사회복지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정책의 평가

1) 정책평가의 의의|2) 정책평가의 기준|3) 정책평가의 유형

< 출제경향 파악 >



제11장 /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할당, 급여체계)

1. 사회복지정책의 분석유형 및 분석틀

1) 사회복지정책의 분석유형|2)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 테렐(Terrell)

2. 사회복지정책의 할당체계(대상체계)

1) 보편주의와 선별주의|2) 대상자 선정기준

3. 사회복지정책의 급여체계

1) 현물급여|2) 현금급여|3) 증서(Voucher)|4)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5) 기회(Opportunity)|6) 권력(Power)

< 출제경향 파악 >



제12장 /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재정, 전달체계)

1. 사회복지정책의 재정체계

1) 재원의 개념 및 종류|2) 공공재원|3) 민간재원

2.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1) 중앙정부 전달체계|2) 지방자치단체 전달체계|3) 민간부문 전달체계|4) 민관(民官)혼합 전달체계

< 출제경향 파악 >



제13장 / 사회보장 일반

1. 사회보장

1) 사회보장의 개념|2) 사회보장의 기능|3) 사회보장의 목적|4) 사회보장 프로그램의 형태|5)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제도의 분류|6)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의 기본이념|7)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정책의 기본방향

2. 사회보험

1) 사회보험의 개념|2) 우리나라 사회보험의 역사|3) 사회보험의 일반적 특성|4) 사회보험과 공공부조|5) 사회보험과 민간보험

< 출제경향 파악 >



제14장 / 공적연금 일반

1. 공적연금의 개념

1) 공적 연금의 의의|2) 공적연금제도의 기능|3) 공적 연금제도의 효과|4) 공적연금제도의 유형

2. 공적 연금제도의 분류

1) 정액연금과 소득비례연금|2) 기여식 연금과 무기여식 연금|3) 확정급여식 연금과 확정기여식 연금

3. 공적 연금재정의 운용방식

1) 적립방식(funded system)|2) 부과방식(pay-as-you-go-system)

4. 세계은행(World Bank)의 3층 보장 연금체계

1) 세계은행연금보고서(1994)의 의의|2) 세계은행연금보고서(1994)의 개혁내용

< 출제경향 파악 >



제15장 / 국민연금제도

1. 국민연금제도의 개념

1) 국민연금제도의 의의|2) 국민연금제도의 필요성|3) 국민연금의 적용대상|4) 연금가입자의 유형|5) 국민연금보험료|6) 연금가입자격의 상실시기|7) 국민연금급여의 특징

2. 국민연금급여의 내용

1) 연금급여의 구성|2) 급여수준 및 지급시기

3. 연금급여의 종류

1) 노령연금|2) 장애연금|3) 유족연금|4) 반환일시금|5) 사망일시금

4. 국민연금의 재원

1) 연금의 재원|2) 관리운영체계

< 출제경향 파악 >



제16장 / 기초연금과 장애인연금제도

1. 기초연금제도

1) 기초연금제도의 의의|2) 기초연금의 대상 및 산정|3) 기초연금의 신청 및 지급결정 등|4) 기초연금수급자의 사후관리|5) 기초연금수급자의 권리보호 등

2. 장애인연금제도

1) 장애인연금제도의 의의|2) 장애인연금의 종류|3) 장애인연금의 신청 및 지급결정 등|4) 장애인연금 수급자의 사후관리|5) 장애인연금 수급권의 소멸|6) 장애인연금 수급권자의 권리보호 등

< 출제경향 파악 >



제17장 / 의료보장 일반

1. 의료보장제도의 개념

1) 의료보장제도의 의의|2) 의료보장제도의 유형|3) 진료비 본인부담제|4) 건강보험 관리운영방식

2. 진료비의 지불방법(의료비의 제3자 지불문제)

1) 행위별수가제(점수제, 성과불제)|2) 총액계약제|3) 포괄수가제(DRG 지불제)|4) 인두제

< 출제경향 파악 >



제18장 / 국민건강보험제도

1. 국민건강보험제도의 개념

1)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의의|2) 건강보험제도의 주요 내용|3) 재원 및 관리운영체계

2. 국민건강보험의 급여

1) 요양급여(현물급여)|2) 건강검진(현물급여)|3) 요양비(현금급여)|4) 장애인보장구 급여비(현금급여)|5) 본인부담 상환제도|6) 부가급여(임의급여)

< 출제경향 파악 >



제19장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1. 장기요양보험의 개념

1) 장기요양보험의 의의|2) 장기요양보험의 목적|3) 급여제공의 기본원칙|4) 요양보험의 필요성|5) 건강보험과의 차이점

2. 장기요양보험의 주요내용

1) 용어의 정의|2) 장기요양인정 및 서비스 이용절차|3) 등급판정|4) 장기요양인정서|5) 장기요양인정의 유효기간 및 갱신

3. 장기요양급여의 종류

1) 재가급여|2) 시설급여|3) 특별현금급여

4. 요양보험의 재원 및 관리운영체계 등

1) 장기요양보험료|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3) 본인 일부부담금|4) 관리운영체계|5) 장기요양기관

< 출제경향 파악 >



제20장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1. 산재보험제도의 개념

1) 산재보험의 의의|2) 산재보험이론|3) 산재보험제도의 특징

2. 산재보험제도의 주요 내용

1) 산재보험의 적용대상|2) 근로자의 범위|3) 산재보험의 적용제외 사업 또는 사업장|4) 산재보험의 관계|5) 가입자의 종류|6) 산재보험급여의 산정기준|7) 업무상 재해의 인정|8) 업무상 재해의 인정기준

3. 산재보험급여의 종류

1) 요양급여(현물급여)|2) 휴업급여(현금급여)|3) 장해급여(현금급여)|4) 간병급여(현금급여)|5) 유족급여(현금급여)|6) 상병보상연금(현금급여)|7) 장의비(현금급여)|8) 직업재활급여(현금급여)|9) 기타 급여

4. 산재보험의 재원 및 관리운영체계 등

1) 산재보험료|2) 산재보험료의 산정 및 재정지원|3) 적정 급여수준보장을 위한 제도|4) 관리운영체계

< 출제경향 파악 >



제21장 / 고용보험제도

1. 고용보험제도의 개념

1) 고용보험제도의 의의|2) 고용보험제도의 시행목적|3) 고용보험의 적용대상|4) 고용보험가입자의 종류

2. 고용보험의 급여

1) 실업급여의 개념|2) 구직급여|3) 기타 구직급여(연장급여)|4) 취업촉진수당|5) 자영업자의 실업급여적용의 특례|6) 모성보호급여|7)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3. 재원 및 관리운영체계

1) 고용보험료|2) 고용보험기금: 고용노동부장관 관장|3) 관리운영체계

< 출제경향 파악 >



제22장 / 빈곤과 공공부조제도

1. 빈곤의 개념

1) 절대적 빈곤|2) 상대적 빈곤|3) 주관적 빈곤

2. 소득불평등

1) 소득불평의 개념|2) 소득불평등의 측정

3. 사회적 배제

1) 사회적 배제의 개념|2) 사회적 배제의 영역

4. 공공부조

1) 공공부조의 의의|2) 공공부조의 기본원리|3) 공공부조운영의 기본원칙|4) 공공부조의 일반적 특징

< 출제경향 파악 >



제23장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념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의의|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배경|3) 생활보호법 대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특징

2. 기준 중위소득 및 소득인정액 산정

1) 기준중위소득|2) 소득인정액의 산정

3. 기초생활보장급여의 종류

1) 생계급여|2) 주거급여|3) 의료급여|4) 교육급여|5) 해산급여|6) 장제급여|7) 자활급여

4. 기초생활보장급여 실시

1) 급여의 신청|2) 신청에 의한 조사|3) 확인조사|4) 차상위계층에 대한 조사|5) 급여의 결정 등|6) 급여의 실시|7) 급여의 지급방법

5. 보장기관 및 보장시설

1) 보장기관|2) 생활보장위원회

< 출제경향 파악 >



제24장 / 기타 저소득층 지원제도

1. 긴급복지지원제도

1) 긴급복지지원제도의 의의|2) 긴급복지지원제도의 주요 내용

2. 근로장려세제(EITC: Earned Income Tax Credit)

1) 근로장려세제의 개념|2) 근로장려세제의 주요 내용|3) 신청자격|4) 산정방법|5) 신청제외자

3. 자활사업

1) 자활사업의 개념|2) 자활근로사업의 유형|3) 자산형성지원사업: 희망키움통장, 내일키움통장

< 출제경향 파악 >

저자소개

심상오 편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심상오 편저의 다른 책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