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마존 웹 서비스 A to Z

아마존 웹 서비스 A to Z

(Start-up 기업 및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AWS 입문서)

이근우 (지은이)
북랩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마존 웹 서비스 A to Z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마존 웹 서비스 A to Z (Start-up 기업 및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AWS 입문서)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e비즈니스/창업 > e-비즈니스/온라인 창업
· ISBN : 9791155853887
· 쪽수 : 556쪽
· 출판일 : 2014-12-05

목차

글머리에 / 5

1장 클라우드 컴퓨팅 15
■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 배경.16
■ NIST의 클라우드 컴퓨팅.16
■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18
■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20

2장 AWS 21
■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22
■ 아마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구조.23
■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24

3장 AWS를 이용한 web service 구축하기 31
■ GoodGame Soft.32
1. AWS 접속.33
2. AWS 계정 생성.33
3. AWS Management Console.38
4. VPC.40
■ VPC의 정의.40
■ Default VPC.41
■ Region(지역).41
■ Default VPC의 구조.42
■ Internet Gateway(인터넷 게이트웨이).43
■ Route Table(라우트 테이블).44
■ Subnet(서브넷).45
■ VPC.46
■ Network ACL과 Security Group.48
■ DHCP Option.49
■ Public Subnet으로만 구성된 VPC.51
■ Public과 Private Subnet을 모두 갖는 VPC.54
■ VPN을 이용한 VPC.58
5. EC2(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 생성.63
■ AMI.64
■ 인스턴스 타입.65
■ 인스턴스 Details.68
■ Storage(스토리지).71
■ Tag(태그).73
■ Security Group(보안 그룹).73
■ Key Pair(키 쌍).75
■ 인스턴스 접속 방법.76
6. EC2 인스턴스에 Java 및 웹 서비스 설치.80
■ EC2 인스턴스에 JAVA 설치하기.81
■ EC2 인스턴스에 apache 및 tomcat 설치하기.82
7. EC2 인스턴스를 이용한 NAT 인스턴스.84
8. RDS를 이용한 mysql DB 생성하기.88
■ RDS 엔진 선택.89
■ Production?.89
■ DB 인스턴스 Details.90
■ Additional Config(추가적인 환경설정).93
■ Management Options(관리 옵션).94
■ RDS Status.95
■ RDS의 접속.96
■ RDS용 Subnet Group(서브넷 그룹).100
■ Option Group(옵션 그룹).102
■ Parameter Group(매개변수 그룹).107
9. AMI와 ELB.109
■ AMI 생성.109
■ AMI 생성 과정.111
■ 이용자 정의 AMI로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112
■ ELB 구성.115
■ ELB 동작 테스트.121
■ ELB로 구성된 인스턴스를 멈췄을(Stop) 경우 유의사항.124
10. EIP를 이용한 고정 public IP 생성하기.125
■ EIP의 생성.125
■ EC2-Classic.126
■ EIP 할당하기.127
11. Auto Scaling을 이용한 용량 확장 자동화.132
■ AWS의 명령행 인터페이스.133
■ CLI를 활용한 Auto Scaling 설정.136
■ 기타 유용한 Auto Scaling 명령어.143
■ Auto Scaling 시나리오.145
12. S3 서비스와 CloudFront 서비스.147
■ S3 서비스의 정의.147
■ S3 버킷 생성.148
■ S3 버킷에 폴더 생성하기.158
■ S3 버킷에 파일 업로드하기.159
■ S3 서비스의 REST API.163
■ S3 서비스의 Java SDK.165
■ S3 서비스의 .NET SDK.167
■ CloudFront 서비스의 정의.171
■ CloudFront를 통한 web 배포판 생성.172
■ CloudFront를 이용한 web 배포판 접속.178
■ Restrict Bucket Access와 Restrict Viewer Access.179
■ CloudFront를 통한 RTMP 배포판 생성.184
■ Invalidation(무효화).186
13. Route53 서비스를 이용한 DNS 서버 설정하기.188
■ DNS 서비스.188
■ Route53 서비스의 Hosted Zone 생성.190
■ Route53의 라우팅 정책.191
■ Route53 서비스의 Simple Record Set 생성.192
■ Route53 서비스의 Weighted Record Set 생성.194
■ Route53 서비스의 Latency Record Set 생성.196
■ Health Check(장애 검사).198
■ Route53 서비스의 Failover Record Set 생성.199
14. EC2 인스턴스에 대해서 못다한 이야기.200
■ Microsoft Windows 계열 인스턴스 생성하기.201
■ Spot 인스턴스.203
■ 예약 인스턴스.204
■ AWS 리소스 이전하기.206
■ EC2 인스턴스의 백업 및 복구.208

4장 AWS의 보안 215
1. IAM을 이용한 권한 관리.217
■ IAM User 생성.217
■ 권한 정책.220
■ ARN.224
■ 권한 설정 문법.225
■ Security Credentials(보안 자격).227
■ IAM User의 AWS 접속 URL.229
■ IAM Group.231
■ IAM Role의 활용.234
■ AWS Service Role 생성.234
■ Cross-Account Access Role 생성.237
■ Password Policy(패스워드 정책).241
■ Policy Simulator(정책 시뮬레이터).242
2. AWS 보안 향상 방법.242
■ 아마존이 권장하는 최선의 보안 관리방법.243
■ MFA.245
■ ARN의 서비스와 리소스 타입.250
■ Conditions(조건들).253
■ STS.256
■ SSL 인증서 관리.259
■ API Signature.261

5장 AWS의 고급 서비스를 통해 web service 꾸미기 269
1. EMR을 이용한 web log 분석.270
■ 하둡(Hadoop).270
■ EMR Cluster 생성.272
■ EMR 클러스터 Step.278
■ EMR 클러스터 정보 화면.282
■ EMR의 결과물.283
2. 고급 프로그램 도구 ‘Simple’ 시리즈.284
■ SWF(Simple Workflow Service).285
■ SWF의 구성요소.286
■ SWF의 TimeOut.288
■ SWF REST API.290
■ SWF Decider 생성.293
■ SWF Worker 생성.295
■ SWF Workflow 시작.296
■ SQS(Simple Queue Service).296
■ SQS 생성.298
■ SQS의 REST API.302
■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304
■ SNS Topic 생성.305
■ SNS에 Email 구독자 등록.306
■ SNS에 SQS 구독자 등록.308
■ SNS에 HTTP 구독자 등록.309
■ SNS의 REST API.310
■ SES(Simple Email Service).310
■ SES 생성.312
■ SES를 이용한 메일 전송.314
3. Elastic Transcoder를 이용한 동영상 변환 서비스.319
■ Elastic Transcoder의 기본 개념.319
■ Elastic Transcoder Pipeline 생성.320
■ 관리콘솔을 통한 파일 변환.323
■ Preset(프리셋).327
■ Elastic Transcoder의 REST API.333

6장 AWS에 서비스 배포하기 339
1. Elastic Beanstalk.340
■ Eclipse에 AWS toolkit 설치하기.341
■ Java를 이용한 Elastic Beanstalk.344
■ Eclipse에서 Elastic Beanstalk 관리하기.352
■ .NET을 이용한 Elastic Beanstalk.356
■ Elastic Beanstalk를 활용할 수 있는 기타 언어들.365
2. AWS CloudFormation.366
■ CloudFormation 템플릿.366
■ Template 내장함수.376
■ Template 가상 파라미터.385
■ Template의 실체.387
■ 관리콘솔을 이용한 CloudFormation.397
■ CloudFormation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배포.400
■ CloudFormation의 샘플 활용하기.406
3. AWS OpsWorks.406
■ 관리콘솔을 이용한 OpsWorks.407
■ App Server Layer와 Chef.417
■ Chef cookbook과 레시피.420
■ Built-in Chef Recipes 수정.423
■ DB Layer와 Auto Scaling.426

7장 AWS 모니터링 서비스 - CloudWatch 437
■ CloudWatch 서비스 개요.438
■ CloudWatch 관리콘솔 - Metric.439
■ CloudWatch 관리콘솔 - Alarm.443
■ Alarm Status(알람 상태).444
■ Billing Alarm(결제 알람).444
■ 이용자 정의 Metric.446

8장 AWS의 기타 서비스 449
1. DynamoDB.450
■ DynamoDB 테이블 생성.452
■ DynamoDB의 기본 키.453
■ Secondary Index(보조 인덱스).454
■ Consistency(일관성).457
■ Throughput Capacity(처리 용량).459
■ Throughput Alarm(처리 알람).462
■ DynamoDB 데이터 조작.463
■ Conditional Write(조건부 쓰기).466
■ Query와 Scan(쿼리와 스캔).470
■ Parallel Scan(병렬 스캔).477
■ DynamoDB 관리콘솔.479
2. ElastiCache.481
■ In-memory cache(인 메모리 캐시).481
■ ElastiCache 관리콘솔.482
■ ElastiCache 생성 - memcached.483
■ ElastiCache 생성 - redis.485
■ 테스트.489
■ Auto Discovery(자동 발견).492
■ Replication Group(복제 그룹).496
■ Subnet Group(서브넷 그룹).499
■ Parameter Group(매개변수 그룹).501
■ Redis의 스냅샷 생성.506
■ Reserved Cache Node(예약 캐시 노드).507
3. Storage Gateway.508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비스 모델.509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구성 형태.511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비스별 필수 스토리지.512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의 제약조건.513
■ VMware에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버 설치하기.514
■ Hyper-V에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버 설치하기.521
■ EC2 인스턴스에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버 설치하기.528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서버 IP 확인.531
■ 관리콘솔을 이용한 볼륨 게이트웨이 서비스 설정.534
■ AWS 관리콘솔의 볼륨 게이트웨이 메뉴.540
■ 스토리지 게이트웨이의 iSCSI 연결.541
■ VTL 게이트웨이 서비스 설정.546

찾아보기 / 551

저자소개

이근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PC통신 나우누리를 서비스하던 나우콤 데이터센터에서 시스템 관리자로 사회 첫발을 내딛었다. 한국화장품 전산팀장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베스핀글로벌에서 고객의 온프레미스 워크로드를 AWS를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데 필요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실무관리자를 위한 시스템 운영론』, 『아마존 웹 서비스 AWS A to Z』 등이 있으며 웹 사이트 모니터링 도구인 VmonWebWalker를 개발하여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