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91156122074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1-11-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서아시아 음악문화
1장 페르시아 음악
1. 페르시아의 역사
고대 페르시아
중세 페르시아
근대 페르시아
현대 이란
2. 페르시아의 음악
음악의 역사
고전음악
민속음악
코카서스 지역 음악
3. 페르시아의 악기
2장 터키 음악
1. 터키의 역사
고대 터키
셀주크튀르크 시대
오스만튀르크 시대
터키 공화국 시대
2. 터키의 음악
음악의 역사
고전음악
민속음악
군악
3. 터키의 악기
4. 대 튀르크 공동체와 중앙아시아의 음악문화
중앙아시아와 실크로드 음악
실크로드의 음악문화
중앙아시아 음악문화
중앙아시아 주변 지역 음악문화
3장 아랍 음악
1. 아랍의 역사
고대 아랍
이슬람 시대
2. 아랍의 음악
아랍 음악의 역사
고전음악
아랍의 지역별 음악
3. 아랍의 악기
2부 남아시아 음악문화
4장 인도 음악
1. 인도의 역사
2. 인도의 음악
인도 음악의 역사
고전음악
인도의 지역별 음악
인도의 음악과 춤
인도 음악의 유파
3. 인도의 악기
5장 인도 주변 지역 음악
1. 파키스탄의 음악
파키스탄의 역사
파키스탄의 음악
파키스탄의 악기
2. 아프가니스탄의 음악
아프가니스탄의 역사
아프가니스탄의 음악
아프가니스탄의 악기
3. 방글라데시의 음악
방글라데시의 역사
방글라데시의 음악
방글라데시의 악기
4. 네팔의 음악
네팔의 역사
네팔의 음악
네팔의 악기
5. 부탄의 음악
부탄의 역사
부탄의 음악
부탄의 악기
6. 티베트 음악
티베트의 역사
티베트의 음악
티베트의 악기
7. 스리랑카의 음악
스리랑카의 역사
스리랑카의 음악
스리랑카의 악기
8. 동남아시아에서의 힌두 문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슬람교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아시아 음악과 종교는 밀접한 관계에 있다. 기독교의 찬송과 의식음악 역시 콘스탄티노플, 예루살렘, 안티오크Antioch에서 전승·발전되었으며, 서양음악의 근간이 된 그리스 선법 역시 대부분 소아시아반도의 여러 지역과 연관이 있다.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서아시아 음악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선율적 선법 체계the systems of melodic modes와 즉흥 연주, 다양한 리듬의 사용 등이 있다. 가장 먼저 선율적 선법 체계는 ‘마캄Maqam’이라는 용어로 설명할 수 있다. 아랍 음악과 그 영향을 받은 터키 고전음악에서 마캄은 서양음악의 선법Mode과 유사한 개념으로, 일정한 선율 진행과 종지음이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서양음악에서 ‘미분음’이라 부르는 음정이 많은 수의 마캄을 이루는 음계에 존재한다는 점이다.
음악은 수학, 기하학, 천문학과 함께 그리스의 4대 학문Quadrivium의 하나였다. 중세 유럽이 그리스의 눈부신 학문적 성과를 외면하고 있는 사이, 이슬람 학자들은 그리스 문헌을 아랍어로 번역하면서 음악과 학문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이슬람 세계의 초기 음악이론은 고대 그리스와 유사했지만, 이후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로 전해지며 이슬람 세계만의 음악이론이 만들어졌고, 근대 이후 민족주의가 부각되면서 지역적 특징이 강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