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경제
· ISBN : 979115633332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예술의 먹고사는 문제를 들여다보며
1장. 그림 속에 기회비용이 숨어 있다?
-베르사유 궁전이 화려할수록 커지는 기회비용
화려함의 극치였던 베르사유 궁전 │ 루이 14세가 선택한 것과 포기한 것
-루벤스, 기회비용을 생각해 작업한 화가
내가 남보다 잘하는 것을 찾아서 │ 조수들을 활용해서 브랜드 가치를 키운 예술가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루이 14세의 콤플렉스로 탄생한 의외의 것들
2장. 예술의 경제적 가치는 어떻게 매겨질까?
-모나리자가 천문학적인 가격으로 팔린 이유
수요와 공급의 연결 고리 │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의 비밀
-예술과 대중이 긴밀하게 만나는 순간
피카소와 마티스를 유명하게 만든 사람 │ 브랜드와 예술이 손을 잡으면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미술품을 판매하는 아트 딜러, 경매소
3장. 그림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공략할까?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 하는 그림의 비밀
아름다운 욕망을 그린 화가 │ 욕망은 항상 커지기만 할까?
-렘브란트, 채워도 채워도 끝이 없는 욕망의 결과
세기의 거장이 파산을 하기까지 │ 더 많은 것을 원하는 인간의 욕망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귀족들의 남다른 자기만족
4장. 예술계에는 어떤 동고동락이 있을까?
-물감의 발전에 숨겨진 보완재와 열등재
보완재와 대체재,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 열등재와 정상재, 무엇을 선택할까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예술의 노력들
카메라의 등장과 그림의 몰락 │ 자신만의 보완재를 찾아 나선 흑인 화가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템페라를 사용한 거장의 작품들
5장. 예술도 독점을 할 수 있을까?
-코코 샤넬이 여성복 시장을 독점할 수 있었던 이유
경쟁하지 않는 시장의 종류 │ 명품 시장을 독차지한 샤넬의 전략
-프랑스 예술을 독점한 여인, 퐁파두르
퐁파두르 부인의 드라마틱한 신분 상승 │ 도자기 공기업을 세운 사연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연금술사의 희생으로 탄생한 유럽의 자기
6장. 예술품도 마구마구 찍어 낼 수 있을까?
-초인플레이션과 새로운 예술의 탄생
초인플레이션이 주는 공포 │ 참혹한 전쟁 속에서 피어난 새로운 예술
-미술 작품이 대량 생산이 되는 순간
예술에 대량 생산을 접목한 화가 │ 예술에서 복제성이 가진 의미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이탈리아의 활발한 무역이 탄생시킨 예술 문화
7장. 양극화는 미술도 바뀌게 한다?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의 진짜 직업
네덜란드의 부흥과 예술의 발전 │ 양극화가 가져온 변화
-유명한 예술가도 피할 수 없었던 가난의 고통
미켈란젤로의 가난 이야기 │ 귀족들에게는 까칠했던 베토벤
○ 재미있는 미술 이야기_세상에서 가장 비싼 물감, 울트라마린
도판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잘 생각해 보면 미술품에도 중요한 경제적인 이야기가 숨어 있습니다. 천문학적인 가격의 미술 작품을 살 때 마트에서 치약을 집는 것처럼 쉽게 고를까요? 평소처럼 아무렇지 않게 지갑을 열어 돈을 낼까요? 아마도 다른 물품을 살 때보다 훨씬 많이, 오래 실익을 따져 볼 것입니다.
미술은 소비자의 경제력이 아주 중요한 분야입니다. 국가나 지역의 경제력에 따라서 발전 정도가 완전히 달라지기도 합니다. 샴푸는 경제가 좋든 나쁘든 늘 있어야 하지만, 미술품은 주변의 경제 상황, 사람들의 경제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입니다. 미술과 경제는 서로 굉장히 멀어 보이지만 어쩌면 가장 긴밀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일에 기회비용이 있듯이, 국가를 통치하는 왕도 원하는 것을 얻음으로써 포기해야 할 가치가 있었습니다. 루이 14세의 절대 왕정 시기는 문화의 발전과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강력한 왕권을 추구하면서 전쟁에서 이기고 문화 예술도 꽃피우면서 프랑스 문화의 가치를 드높였습니다. 그 덕에 프랑스는 베르사유 궁전이라는 세계적인 건축물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반면 강압적이고 무리한 정책을 밀어붙이며 왕권 쇠퇴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왕이 가진 허영심이 나라를 파산으로 몰아넣었지요.
살아가며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따라옵니다. 미래의 진로를 위해 대학을 선택하는 일이든 마트에서 물건을 고르는 것이든,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이득이 되는 선택이 무엇일지 고민합니다. 이때 우리는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해 최선의 선택을 하려 애씁니다. 일상생활에서 결정을 내릴 때마다 내가 포기해야 하는 기회비용을 기준으로 삼아 보면 어떨까요? 루이 14세처럼 국가적 규모의 선택은 아닐지라도, 합리적인 선택이 무엇일지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