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56594932
· 쪽수 : 166쪽
· 출판일 : 2024-12-31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방법 6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차별성 7
4. 연구흐름도 14
제2장 AIP 관점의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 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제고 개념 및 방향 15
1. AIP 관점의 고령자 지역기반 생활지원 방향 15
1) 고령자 지역사회 지속거주 개념(Aging in Place) 15
2) 인간-환경 적합성 이론과 고령자 생활지원 방향 19
2. 고령자 일상생활 범위와 활동 범위 22
1) 고령자의 일상생활 유형 22
2) 고령자의 일상활동 특성에 따른 지원 서비스와 관련 시설 26
제3장 고령자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35
1. 고령자 일상생활 지원 정책과 사업 35
1) 고령사회 대응 정책과 사업 35
2) 영구임대주택 단지 내 고령자 주거복지 지원 현황 44
2. 주민공동시설을 이용한 영구임대주택의 생활지원 47
1) 공공주택 주민공동시설 조성을 통한 생활지원 47
2) 고령자 관련 주민공동시설 설치 기준의 변화 54
3) 공공임대주택 주민공동시설 조성의 의의와 과제 56
3. 영구임대주택 고령자 일상생활 지원의 현황과 시사점 59
1) 고령자 일상생활 지원 대책의 다양성과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 59
2) 영구임대주택단지 입주자의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생활지원서비스의 확대 60
3)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를 위한 생활지원시설(공간)의 확충 62
제4장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 이동 및 생활 특성 65
1. 분석 개요 65
1) 배경 및 목적 65
2) 조사 내용 66
3) 응답자 특성 68
2.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 이동 특성 및 생활 범위 70
1) 건강상태에 따른 이동 특성 70
2) 일상생활 관련 주요 이용 시설 73
3) 일상생활 목적에 따른 활동범위 78
4) 생활지원 서비스 수요 81
3. 시설 여건에 따른 고령자의 이동 및 생활 특성 84
1) 단지별 생활환경 및 지원 서비스 현황 85
2) 시설 여건에 따른 고령자의 생활 특성 및 서비스 수요 87
3) 시설 여건에 따른 고령자의 생활환경 만족도와 AIP 의지 95
4. 소결: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시설 및 서비스 여건 개선 과제 99
1) 건강상태와 생활범위 특성 99
2) 생활지원 서비스 수요 특성 103
제5장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 활동범위기반 일상생활지원을 위한 서비스 접근성 분석 109
1. 분석개요 109
1) 분석목적 및 대상지 선정 109
2) 분석 내용 및 방법 111
3) 분석 대상지 일반 현황 113
2. 시설-서비스 수요-공급 현황 116
1) 고령자 일상생활지원 시설 및 서비스 현황 116
2) 고령자 주거지원 수요 현황 125
3.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 활동범위기반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접근성 분석 128
제6장 영구임대주택 거주 고령자의지역사회 기반 일상생활지원서비스 접근성 제고방안 139
1. 지역기반 고령자 일상생활지원의 기본 방향 139
1) 지역기반 고령자 일상생활지원의 목표 설정 139
2. 개선전략 142
1) 서비스 수요 대응을 위한 생활지원 공간 확충 142
2) 수요자 맞춤형 생활지원 서비스 확대 151
3) 지속가능한 서비스 협력 운영 지원 160
3. 연구의 성과 및 향후 추진과제 164
1) 연구의 성과 및 의의 164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66
참고문헌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