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5 Solution 국어

2015 Solution 국어

(9급 견습직 공무원에 최적화된)

송병렬 (엮은이)
한교원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5 Solution 국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5 Solution 국어 (9급 견습직 공무원에 최적화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91156791218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15-01-05

목차

제1편 현대문법

제 1 장 언어와 국어

01. 언어의 정의 / 12 02. 언어의 일반성 / 12 03. 언어의 기능 / 14 04. 언어(한국어)의 분류 / 15 05. 언어와 민족, 문화, 언어 사회 / 16 // 제2장 01. 국어의 개념 / 18 02. 국어의 특질 / 18 03. 국어의 범위 / 19

제 2 장 음운론

01. 음성과 음운 / 21 02. 발음 기관 / 21 03. 모음(母音) / 22 04. 자음(子音) / 22 05. 소리의 길이 / 23 06. 음절(音節) / 24 07. 음운(音韻)의 변동(變動) / 24 08. 음운(音韻)의 변화(變化) / 25

제 3 장 형태론

01. 형태소 / 31 02. 단어(單語) / 32 03. 품사(品詞) / 32 04. 용언(用言) / 36 05. 수식언 / 41 06. 감탄사 / 43 07. 단어의 종류 / 43

제 4 장 문장론

01. 문장 성분의 종류 / 46 02. 문장의 짜임 / 48 03. 문법의 요소 / 51 04. 부정 표현 / 58

제 5 장 의미론

01. 의미의 속성 - 추상적, 심리적 / 59 02. 의미와 표현의 관계 / 59 03. 의미의 종류 / 60 04. 단어 간의 의미 관계 / 61 05. 의미 변화의 원인과 양상 / 62 06. 의미의 사용 / 64

제2편 어문규정

제 1 장 표준 발음법

01. 모음의 발음 / 68 02. 소리의 길이 / 69 03. 받침의 발음 / 70 04. 음의 동화 / 71 05. 첨가 / 73 06. 된소리 현상 / 74

제 2 장 표준어와 맞춤법

01. 접미사의 표기 / 75 02. 용언의 활용 / 79 03. 된소리표기 / 82 04. 축약과 탈락과 첨가 / 84 05. 모음의 표기 / 85 06. 부정어와 호응하는 어휘 / 86 07. 한자어의 두음법칙 표기 / 87 08. 암수의 성별표기 / 87 09.‘률(律, 率)과 율’등 / 88 10. '웃'과 '윗'의 용법 / 88 11. 한자 '구(句)'의 표기법 / 89 12.‘알은 체하다’와‘아는 체하다’의 구분 / 89 13.‘채’와 ‘체’/ 89 14. '왠지'와 '웬지' / 90 15.‘칸’과 ‘간’의 쓰임 / 90 16. 너[四]와 넉[四]’의 표기 / 90 17.‘그러므로’와‘그럼으로’/ 91 18.‘예’와 ‘옛’/ 91 19. 한자어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 91 20.‘축하합니다 / 축하드립니다’/ 92 21.‘안절부절’과 ‘안절부절못하다’/ 92 22. 새겨두어야 할 맞춤법 / 93 // 제2장 01. 자음 / 95 02. 자음 / 96 03. 준말 / 98 04. 복수표준어 / 99

제 3 장 띄어쓰기

01. 의존명사의 통용 / 98 02.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 102 03. 합성어와 구 / 103 04. 고유명사 / 106 05.‘상(上), 중(中), 하(下)’의 띄어쓰기 / 107 06. 용언이 파생된 경우 / 108 07. 관형사의 통용 / 108 08.‘한 번’ 과 ‘한번’ / 109 09. 숫자 및 단위성 의존 명사 띄어쓰기 / 109 10.‘커녕, 부터, 마는’의 띄어쓰기 / 110

제 4 장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

01. 구미어의 표기 / 111 02.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 119 // 제 2장 01. 로마자 표기 기본 원칙 / 121 02. 표기 일람 / 121 03. 표기상의 유의점 / 122

제3편 어휘 및 어법

제 1 장 고유어 모둠

01. 사람과 관련된 고유어 / 127 02. 자연과 관련된 고유어 /143 03. 농경사회와 관련된 고유어 / 146 04. 식음과 관련된 고유어 / 149 05. 읽혀두어야 할 부사 / 151

제 2 장 고유의 단위

01. 숫자의 우리말 단위 / 155 02. 전통 일상생활의 단위 / 155 03. 길이와 넓이의 단위 / 156 04. 부피의 단위 / 156 05. 海物의 단위 / 156 06. 農産物 또는 農業 관련 단위 / 157 07. 옷, 옷감 바느질의 단위 / 157 08. 음식, 곡식의 단위 / 158 09. 기타 단위 / 158

제 3 장 외래어

01. 귀화어(歸化語) / 159 02. 차용어(借用語) / 160 03. 외국어 / 160

제 4 장 국어순화

01. 구미어 계열 / 161 02. 순 일본어계열 / 162 03. 일본식 한자말 / 162 04. 근현대사와 관련된 용어 순화 / 163

제 5 장 의미의 구분

01. 의미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 164 02. 의미의 종류 / 165 03. 단어 간의 의미 관계 / 169

제 6 장 구분해야 할 유사어 /

제 7 장 관용적 표현 및 속담

01. 개념 / 226 02. 관용적 표현의 특징 / 226 03. 말에 관한 관용적 표현 / 226 04. 인체와 관련된 관용어 / 229 05. 몸에 관련된 관용어(구) / 239 06. 행동에 관련된 관용어(구) / 241 // 제 2장 01. 속담의 표현 방식 / 245 02. 속담의 기능 / 245 03. 내용에 따라 속담의 구분 / 245

제4편 언어영역

제 1 장 언어의 실제와 독해

01. 설명문의 개념 / 261 02. 설명문의 성격 / 261 03. 구성 / 261 04. 설명문의 진술 / 262 // 제2장 / 01. 개념 / 265 02. 특징 / 265 03. 구성 / 265 04. 요건 / 265 05. 논증의 3요소 / 266 06. 논설문의 두 가지 유형 / 267 07. 추론의 오류 / 268 // 제3장 01. 기미독립선언서 / 273 // 제4장 01. 구성 요소 / 277 02. 특징 및 표현 / 277 // 제5장 01. 형식 / 278 02. 편지 쓰기 용어 / 278 // 제6장 01. 구성 요소 / 279 02. 종류 / 279 // 제7장 01. 특성 /280 02. 기사문의 구성 원칙 / 280 03. 기사문의 구성 형식 280

제 2 장 쓰기

01. 좋은 글의 요건 / 282 02. 문장 쓰기의 원리 / 282 03. 올바른 문장 쓰기 / 283 // 제2장 01. 단락의 구조 / 292 02. 단락 쓰기의 원리 / 292 03. 글쓰기의 절차 / 292

제 3 장 읽기

01. 독서의 개념 / 296 02. 독서의 과정 / 296 03. 독서의 방법 / 297 04. 독서의 의의 / 297 05. 글의 구조와 독해 / 298 06. 글의 특성에 따른 읽기 제1장 01. 소주제문과 뒷받침 문장 / 299 // 제2장 01. 글의 구성 방법 / 302 02. 논리적 구성 / 303 03. 주제문(중심 문장)의 위치에 따른 구성 / 306 // 제3장 01. 문장 간의 관계 파악하기 / 309 02. 문장 간의 관계 / 310 03. 문장의 기능과 순서 배열 / 311 // 제4장 01. 문단의 특성 / 312 02. 구조와 독해 / 313 03. 문단의 순서 배열 / 314 04. 문단 나누기 및 삽입하기 / 318 // 제5장 01. 논리 전개 방식 / 321 02. 논지 전개 방식 / 321 // 제6장 01. 중심화제 파악하기 / 325 02. 필자(집필)의 의도 파악하기 / 326 03. 중심(핵심)내용 파악하기 / 327 04. 내용의 사실적 이해 / 328

제 4 장 말하기

01. 토의 / 330 02. 과정 / 330 03. 토의의 종류 / 331 04. 토 론 / 331 05. 토론과 토의의 비교 332

제5편 문학일반

제 1 장 문학론

01. 문학의 본질 / 335 02. 문학의 기원 / 336 03. 문학의 기능 / 337 04. 문학의 미의식(美意識) / 337 05. 문학의 갈래 / 338

제 2 장 문학비평

01. 기능 / 340 02. 단계 / 340 03. 문학의 관점 / 340 04. 비평의 유형 / 341

제 3 장 문예사조

01. 문예사조의 개념 / 345 02. 문예사조의 흐름 / 345 03. 근대적 문예사조 / 345

제6편 문학장르

제 1 장 시(詩)

01. 시(詩)의 정의 / 351 02. 시의 특성 / 351 03. 시의 갈래 / 352 04. 시어(詩語)의 특징 / 355 05. 운율의 종류 / 355 06. 시의 심상(心象, Image) / 356 07. 시적 화자와 어조와 거리 / 359 08. 시에 쓰는 용어 / 364 09. 시상(詩想)의 전개 방식 / 371

제 2 장 소설

01. 정의 / 377 02. 소설의 특성 / 379 03. 소설의 3요소 / 378 04. 소설 구성의 3요소 / 383 05. 어 조 / 390 06. 소설의 시점 / 392 07. 소설의 갈래(분량면) / 396 // 현대소설 작품의 이해 01. 일제 식민지 시대 / 398 02. 1945년 해방 직후 / 414 03. 6·25 이후 1950년대 / 416 04. 1960 - 70년대 / 422

제 3 장 수필

01. 수필의 개념 / 430 02. 수필의 특성 / 430 03. 수필의 언어 / 431 04. 수필의 종류 / 432

제 4 장 희곡과 시나리오

01. 희곡 / 438 02. 시나리오 / 440

제7편 현대문학

제 1 장 개화기문학

01. 개 관 / 449 02. 시가 문학 / 449 03. 신소설 / 450 04. 극 장 / 452 05. 개화기 이후의 국어 연구 / 452

제 2 장 1910년대 문학

01. 개 관 ← 2人 문단 시대 : 최남선, 이광수 / 454 02. 시문학 / 454 03. 소설문학 - 이광수 / 456 04. 신극 운동 / 457 05. 주요 잡지 / 457

제 3 장 1920년대 문학

01. 개 관 / 458 02. 특징 / 458 03. 시문학 / 459 04. 소설 문학 / 461 05. 희곡?시나리오 / 463 06. 1920년대 동인지, 잡지의 전개 / 463

제 4 장 1930년대 문학

01. 개 관 / 465 02. 시문학 / 465 03. 소설 문학 / 469 04. 희곡 ? 시나리오 / 471 05. 수필?비평 / 471

제 5 장 광복공간의 문학

01. 개 관 / 473 02. 특징 / 473 03. 시문학 / 474 04. 소설 문학 / 475

제 6 장 1950년대 문학

01. 특 징 / 477 02. 시문학 / 477 03. 소설 문학 / 478

제 7 장 1960년대 이후의 문학

01. 개 관 / 480 02. 시문학 / 480 03. 소설 문학 / 481 04. 희 곡 / 483

제8편 국어사

제 1 장 국어사 일반론

01. 서기체 표기(誓記體表記) / 485 02. 이두(吏讀) / 485 03. 구결(口訣) (입겾, 吐) / 485 04. 향찰(鄕札) / 486 // 제 2장 01.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 487 02. 훈몽자회 / 487 03. 종성법의 변천 / 488 04. 표기법(表記法) / 488 05. 성음법(成音法) / 489 06.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법 / 489 07. 소실 문자의 소멸 순서 / 490 08. 사성법(四聲法. 傍點) / 490 // 제 3장 01. 국어의 전개 과정 / 491 02. 국어의 특징 / 492

제 2 장 어학적인 글

01.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 494 02. 훈민정음 언해본 / 496 03. 두시언해(杜詩諺解) / 497 04. 소학언해(小學諺解) / 498

제9편 고전문학사

제 1 장 고전문학사 개관

01. 고대 문학 / 501 02. 고려 문학 / 501 03. 조선 전기 문학 / 502 04. 조선 후기 문학 / 503

제 2 장 시가 문학

01. 고대 가요 / 505 02. 향가(鄕歌) / 507 03. 향가계 여요 / 512 04. 고려 속요(高麗俗謠) / 513 05. 경기체가(景幾體歌) / 522 06. 시조(時調) / 524

제 3 장 서사 문학

01. 설 화 / 533 02. 패관 문학 / 535 03. 가전체 문학 / 535 04. 고대 소설 / 538

제 4 장 교술 문학

01. 악 장(樂章) / 542 02. 가사(歌辭) / 542 03. 고대 수필 / 555 04. 잡가(雜歌) / 564

제 5 장 극문학

01. 판소리 / 567 02. 탈춤 / 569

제 6 장 한문학 및 번역문학

01. 한문학의 전개 / 573 02. 번역서 / 575

제10편 한자.한문

제 1 장 한자(漢字)

01. 육서법[六書法] / 580 02. 한자의 짜임 / 581 03. 중요 한자 독음 / 582 04. 불교용어[梵語] / 583 // 01. 나이 / 584 02. 자녀 / 586 03. 절기와 시간 / 586 04. 가족의 호칭 / 587 05. 기타 / 589

제 2 장 한자성어(漢字成語)

01. 고사성어(故事成語)의 배경 인물 / 590 02. 故事成語와 동물 / 590 03. 단문(短文)과 한자성어 / 591 04. 지문과 한자성어 / 593

제 3 장 주요 개사의 쓰임

01. 於(어) / 605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