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57000074
· 쪽수 : 275쪽
· 출판일 : 2014-03-31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의 내용
연구의 방법
Ⅱ 이론적 고찰
한옥보전을 위한 관련 법 제도
개요
서울특별시 한옥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건축법
지구단위계획
역사문화 미관지구
역사문화 경관계획
문화지구
선행연구 검토
학술지 논문
연구 보고서
Ⅲ 서울시 한옥 및 한옥밀집지구의 현황분석
개요
현재 남아있는 도시형 한옥의 현황
도시형 한옥의 분포현황
도시형 한옥의 용도현황
한옥밀집지구의 현황
한옥밀집지구 내 한옥의 보전현황 분석
한옥밀집지구의 유형분류
한옥밀집지구의 현황
Ⅳ 한옥 보전.진흥정책의 변화와 한계
한옥 보전.진흥정책의 변화
개요
북촌 가꾸기 기본계획(2011)
서울특별시한옥지원조례 개정(2002)
북촌 가꾸기 중간평가(2005)
북촌 장기발전구상(2006)
서울한옥선언(2008)
북촌 지구단위계획(2010)
성북구 한옥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조례 제정(2013)및 한옥아카데미 운영
한옥 보전.진흥정책의 한계
정비사업지구에서 한옥의 급격한 감소
한양도성 내부지역 중심의 한옥 보전.진흥정책 추진
주거용 한옥중심의 지원정책 추진
북촌과 서촌에 한정된 한옥마을공동체 사업지원
Ⅴ사례연구
상하이(上遐)의 리농주택(里弄住宅)
리농주택의 개념 및 의의
도시 및 지구차원에서의 리농주택 보전정채
건축물 차원에서의 리농주택 보전정책
시사점
베이징(北京)의 쓰어휘엔( 四合院)보전
쓰허위엔의 개념 및 의의
도시 및 지구차원에서의 쓰허위엔 보전계획
시사점
볼로냐역사지구 내 역사적 건축물 (edilizia storica minore)의 보전
볼로냐 역사지구 보전의 배경
도시 및 지구차원에서의 보전
건축물 차원에서의 보전
시사점
Ⅵ 청량리 한옥밀집지역의 특성
대상지 선정
현황조사
대상지 개요
도시혜획 현황
필지 도로현황
건축물현황
설문조사
개요
조사내용
Ⅶ 청량리 한옥밀집지역의 보전 진흥방향
미래상 및 발전계획
SWOT 분석
미래상 및 발전방향
계획의 기본구상
한옥의 정취를 살릴 수 있는 재래시장 골목길 환경개선
상가 또는 상가병용주거한옥의 개 보수를 통한 주거환경 개선
골목단위의 주민공동체 활동 활성화
실현계획
한옥의 보전.진흥을 위한 현행 지원금 지급방식의 개선
리볼빙펀드 방식의 도입
ROT(Renovation -Opertion -Transfer)방식의 도입
한옥 리츠사업 추진
주택협동조합방식의 도입
Ⅷ 결론
한옥의 멸실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시스템 구축 및 한옥정책의 성외지역 확대추진
마을공동체 활동과 한옥 보전 진흥정책의 연계
민가부문의 참여와 협력을 통한 한옥 보전.진흥 자금마련 방식의 다각화
행정협의회의 구성으로 한옥 보전 진흥 업무의 협력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