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기획/보고 > 기획
· ISBN : 979115784555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11-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살아남는 기획자가 일하는 방식
1부 회사 안 기획자
제1강. 기획서에 대한 ‘두려움’을 ‘자신감’으로 바꾸는 기술
딱 10%만 잘하라
‘정보 전달’보다 ‘의견’을 제시하라
기획서는 ‘속도전’이다
제2강. 무조건 먹히는 기획서의 ‘원칙’
기획의 타깃과 목적을 명확히 하라
목표를 N등분하라
숫자를 활용하라
남다른 단어 선택이 남다른 기획서를 만든다
모든 것을 단순화하라
주변을 이용해 아이디어를 검증하라
아이디어를 묵혀라
아이디어는 대체 어떻게 내는가?
제3강. 무조건 먹히는 기획서의 ‘구조’
아무도 안 알려주는 ‘잘되는 기획서의 구조’
0단계: 아이스브레이킹이 필요하다
1단계: 문제를 발견한다
2단계: 문제를 분석한다
3단계: 문제를 해결한다
3.5단계: 한 장으로 정리하는 매니페스토
4단계: 결론과 구체적인 추가 메시지를 전달하라
사내 PPT 구조는 좀 다르다
‘결론’은 언제 말하는 게 좋을까?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란, 원 슬라이드 원 메시지
제4강. 실무에서 쓰는 진짜 PPT 디자인
PPT를 열자마자 사이즈부터 정하라
표지에 동영상을 넣어라
검은 배경에 흰 글씨 넣는다고 다 스티브 잡스는 아니다
컬러를 훔쳐라!
PPT는 플랫폼, 반드시 미디어를 넣어라
좋은 배치의 원칙
템플릿은 절대 사용하지 마라
좋아 보이는 PPT의 비밀
폰트는 디자인의 칼이다
도식화와 그래프
제5강. PT에 대해
스크립트를 달달 외운다?
커닝페이퍼를 만들어라
과장과 거짓말은 금물이다
말발이 달린다는 건 핑계
프리젠터를 깜빡했다면
예정 시간을 준수하라
워드형 제안서를 따로 준비하라
기획서에 날개를 다는 필승전략, 권위
2부 회사 밖 기획자
제6강. 내 기획을 돈으로 만들기
일단 회사에 들어가자
회사 몰래 생존 스킬을 쌓자
이직을 많이 하는 사람이 좋은 기획자가 된다
회사에 집착하는 순간 당신은 끝난다
부업의 종류와 방법
부업을 위한 유튜브 운영 방법
다시 생각해도 글로벌
부업으로 해야 할 일, 하지 말아야 할 일
제7강. 기획자의 사업
똑똑한 기획자는 비용을 아낀다
정의하는 순간 몸값이 싸지는 함정
기획자는 같은 걸 팔아도 밸류를 붙인다
살아남는 기획자의 가격 설정 전략
브랜딩의 필수 요소: 가격을 올려라
마케팅 비용 ‘0원’으로 매출 늘리기
기획자의 브랜딩
제8강. 기획자의 ‘미래’
비즈니스의 성공을 이끄는 인맥 구축 방법
모두가 원하는 섹시한 회사는 경계하라
업무를 시스템화하라
사업의 끝은 셀프 브랜딩
잘하는 사람을 모방하라
에필로그 결국 ‘기획자’로 살아갈 당신에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신은 머릿속에 이미 훌륭한 기획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이것을 어떻게 매만져야 할지, 어떤 식으로 소개해야 할지, 어떻게 형체화할지 아직 모를 뿐입니다. 당신 머릿속에 있는 훌륭한 기획들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기획서 작성 능력’, ‘커뮤니케이션 실력’, 발표 능력’ 같은 것들이 꼭 필요합니다. 머릿속에만 있던 멋진 기획을 제대로 실현만 시킬 수 있다면, 분명 당신의 ‘명예’와 ‘자산’을 늘릴 좋은 기회가 되겠죠. 바로 당신은 이 방법이 궁금할 겁니다. _ <프롤로그. 살아남는 기획자가 일하는 방식>
여러분이 엔지니어든, 광고인이든, 사업가든 아니면 학생이든 간에 앞으로는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 즉 ‘기획력’이 없으면 그 사람의 가치는 점차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기획력은 곧 생존 능력입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을 기획하는 인간인 ‘플래닝 사피엔스’로 만들어드릴 것입니다. 회사원이라면 당장 내일부터 업무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도울 것이고, 아니면 회사를 그만두더라도 나의 기획력으로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는 사업가가 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_ <프롤로그. 살아남는 기획자가 일하는 방식>
평소 최대한 생소한 분야를 줄여놓는 것이 기획자에게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생소한 분야일수록 본질을 파악하는 데만 며칠, 몇 주 혹은 몇 달이 걸릴 수 있거든요. 본질을 파악했다해도, 거기에 나만의 통찰력을 더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따라서 속도에서 경쟁력을 얻으려면 최대한 많은 ‘평소의 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_ <기획서는 ‘속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