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91157846528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목차
용어설명
프롤로그_모두가 크리에이터가 되는 시대
chapter00 이야기를 시작하며
PART1 개인 창작자가 만드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온다
chapter01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주역, 크리에이터와 오디언스
chapter02 전 세계가 주목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chapter03 작지만 단단한 팬덤이 이끄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chapter04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3가지 특징
읽을거리_크리에이터 르네상스를 여는 생성형 AI의 등장
PART2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어떻게 진화하는가
chapter01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진화 모델
chapter02 크리에이터 이코노미1.0: 경제적 인센티브의 가능성
chapter03 크리에이터 이코노미2.0: 크리에이터, 브랜드가 되다
chapter04 크리에이터 이코노미2.0, 구독 경제를 품다
chapter05 미디어 커머스, 재능 마켓, 크라우드 펀딩
chapter06 웹2.0 이후의 미래
PART3 웹3.0,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미래를 그리다
chapter01 크리에이터 이코노미3.0: 이미 현실이 된 미래
chapter02 탈중앙화된 권력을 크리에이터와 오디언스에게
chapter03 크리에이터와 팬이 소유와 혜택을 함께 누리는 콘텐츠 자산, NFT
chapter04 NFT의 7가지 효용과 사례
chapter05 자신만의 우주가 모두의 우주로, 메타버스
읽을거리_크리에이터, 미래 세대가 선호하는 궁극의 일자리
PART4 생성형 AI가 바꾸고 있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chapter01 챗GPT의 등장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chapter02 생성형 AI와 크리에이터
chapter03 인공지능, 기회인가 위기인가
에필로그_산업과 일자리의 미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부록_숫자로 읽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주
리뷰
책속에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개인이 콘텐츠 창작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이자 시스템이다. 이 경제 시스템 속에서 다음 세기를 이끌어 갈 가능성과 직업 그리고 부가 만들어지고 있다. 2010년경 시작되어 이제 10여 년이 경과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일시적인 트렌드가 아니라 자신만의 콘텐츠를 보유한 개인 누구나 창업가로 성장할 수 있는 거대한 경제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다. 즉, 자본이 아닌 콘텐츠를 레버리지해 성장을 달성하는 독자적인 선순환의 플라이휠을 개인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주변에서 이러한 기회에 올라탄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앞으로 자기만의 경험, 생각, 전문성, 표현력이 축적된 ‘콘텐츠 자본’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 가장 큰 축을 이루는 유튜브를 들여다보면 그 규모를 좀 더 여실히 체감할 수 있다. 글로벌 경제 분석 기관인 옥스퍼드이코노믹스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유튜브는 전 세계가 팬데믹으로 달라진 일상에 적응하던 2020년 한 해에만 대한민국, 미국, 일본, 캐나다, 브라질, 호주, 유럽연합에서 총 80만 개가 넘는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에서는 국내총생산에 약 205억 달러(약 24조 5,000억 원)를 기여했고, 40만 개 상당의 정규직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현실판 ‘오징어게임’ 및 채널 운영 방식을 보면, 미스터비스트가 크리에이터이면서도 대단한 마케팅 감각을 가진 기업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제작비를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더 많은 조회수와 구독자를 얻는 선순환의 플라이휠을 돌림으로써 채널을 키웠다. 그는 단순히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하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브랜드 PPL 수익과 유튜브 광고 수익의 대부분을 콘텐츠 제작에 재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선’을 콘셉트로 잡아 자신의 콘텐츠에 출연한 평범한 게스트들에게도 출연료를 지불한다. 그는 미스터비스트라는 브랜드 가치를 키워 나감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