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eBook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58371777
· 출판일 : 2020-06-12
목차
제1권 일본 특별사신 이야기
제1절 제1권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제2절 대마도주가 직접 나선 국교회복 특별사신
제3절 조선- 청나라 간의 전쟁에 파고든 일본의 실리외교 사신
제4절 세사미 거래단계를 넘어 진정한 국가 간 사신 외교
제5절 류천(柳川) 사건으로 대마도주 기사회생 이야기
제6절 양국 간 각종 협력사업을 위한 특별사신
제7절 대마도의 경제재정적 위기 극복을 위한 특별사신
제8절 국상 문상 및 주권자 승계 축하를 위한 특별사신
제9절 불법부당한 방문이라며 조선이 반발한 일본사신 방문
제2권 일본 무역선 이야기
제1절 임진 전쟁 이전의 무역선 개요
제2절 기유조약(1609년 조약)의 내용
제3절 기유조약 체제의 발전
제4절 무역선의 겸대화(兼帶化)
제5절 부특송선, 이정암 송사선으로 일부 부활
제6절 권한당의 기진(寄進) 문제
제7절 아동명의 무역인장의 부침(浮沈)
제3권 표류민 송환 이야기
제1절 표류민 이야기에 들어가며
제2절 나가사키 봉행소 조치로 귀환한 표류민
제3절 대마번 자체사신이 인솔한 표류민
제4절 다른 사신에게 순부되어 돌아온 표류민
제5절 임진왜란 때 피납되어 간 사람들의 귀환
제4권 왜관 관수장, 재판사신 이야기
제1절 부산 왜관의 역대 관수장
제2절 재판사신 제도 도입기
제3절 재판사신에 대한 체재기한 설정문제
제4절 재판사신들이 수행한 실제 업무
제5절 일본에서 유명한 우삼성청(雨森誠淸)
제6절 조선 후기 재판사신들
제5권 양국 간 조약, 엄금사항 이야기
제1절 기유조약(1609년)의 내용
제2절 계사년(1653년) 왜관 질서법
제3절 신 왜관 개막에 따른 3개 조약
제4절 임진년(1712년) 체결된 간음범죄 처벌조약
제5절 무오년(1738년)에 취한 부산왜관 감시강화조치
제6절 경오년(1750년)에 정한 일본인 접대 중점 조목
제7절 양국 간의 여타 사소한 약속들
제6권 외교문서, 도항증명서 이야기
제1절 외교문서와 도항증명서 표준양식(標準樣式)
제2절 일본 외교문서에서 수신자, 발신자, 연월표시 등
기재항목이 빠지거나 잘못된 것
제3절 일본 외교문서에 과대망상 표현, 참란한 표현
관례와 다른 표현이 있는 것
제4절 일본 예물에 외설적인 것, 무례한 것 등이 있는 것
제5절 조선 외교문서에 문제 되는 부분이 있다고 지적당한 것
제6절 국왕, 쇼오군의 피휘(避諱)를 따지면서 행정자원을 낭비한 것
제7권 잔치와 진상 등의 의례 이야기
제1절 진상예물 등에 관해 특이한 사항들
제2절 숙배 등에 조선 진상 절차에 관해 특이한 사항들
제3절 조선 국상의례, 국왕즉위 의례에 관한 것
제4절 일본의 애경사 의례에 관한 것
제5절 조선 의례에 관련된 여러 에피소드
제8권 공무역 이야기
제1절 제8권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제2절 일본 무역선들의 무역거래 패턴
제3절 조선산 포목에 대한 품질 논쟁과 공작미 제도 탄생
제4절 공작미 방식의 연장
제5절 포목과 공작미 사업에 관한 조선 내부애로
제6절 공작미 사업 제11차 이후의 연장
제7절 왜관에의 납품절차
제9권 국제무역시장, 왜관 앞 아침 시장 이야기
제1절 제9권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제2절 선불금 불법화, 곁방 출입금지 등 각종 거래제한
제3절 대일 인삼 판매정책의 숨바꼭질
제4절 일본의 저품위 은화 발행 문제
제5절 일본 은화 개혁 후의 인삼유출 사태 재발
제6절 조선조정의 인삼무역 실질적인 금지
제7절 조선 말기의 국제무역에서 특기할 일들
제8절 왜관 앞 아침 시장 운영
제10권 각종 물자지급 이야기
제1절 방문한 일본인에게 물자를 지급하는 경우
제2절 물자지급과 관련된 양측논란과 조선의 물자지급 보완조치
제3절 일본에 준 특이물자 또는 일본의 특이한 반응
제4절 물자를 제공해 주는 조선의 특이기록
제5절 예물 인삼 품질의 긴 공방
제11권 왜관 청사 이야기
제1절 두모포 왜관 시대
제2절 두모포에서 왜관이 떠나게 된 경위
제3절 3년간의 신 왜관 건축공사와 입주
제4절 왜관 건물의 관리와 수리
제12권 구득요청 이야기
제1절 관백 또는 대마도주 등을 위하여 말, 사냥 매, 호랑이 가죽
최고급 인삼을 구해달라는 구득요청
제2절 한약, 서적 등 의료와 유학진흥을 위해 구해달라는 구득요청
제3절 도자기 굽기 기술, 가축과 식물 종자 제공 등 농업진흥
산업진흥을 노린 구득요청
제4절 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물품 대량공급을 요청한 구득요청
제5절 주목해야 할 특이한 구득요청
제6절 조선이 일본에 부탁한 역(逆) 구득요청
제13권 무단이탈 이야기
제1절 제13권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제2절 일본인들의 돌발성 무단이탈
제3절 일본인들의 이슈 항의성 무단이탈
제4절 울릉도 영유권 인정 대가로 대마번 현안을 일소(一掃)하고자 했던 1697년 무단이탈
제14권 일본인 범죄 이야기
제1절 선불금 수령, 빚 독촉, 독촉으로 야기된 살인
제2절 인삼 밀거래
제3절 여타의 경제범죄, 국가기밀범죄
제4절 일본인의 절도, 조선인에 대한 폭력 또는 모독, 살인
제5절 조선인 또는 조선 여인의 왜관 잠입, 조선인 소년의 왜관 기숙
제15권 육로와 뱃길, 표류 일본선박 이야기
제1절 일본인들의 육로통행
제2절 대마도 무역선의 해상 악화 시 긴급피난
제3절 일본인들의 왜관 인접 조선 해역의 수색구조
제4절 일본인들의 왜관 원거리 해역의 수색구조
제5절 대마도 무역선이 아닌 일본 선박의 조선연안 표착
제16권 동래부 관원 상벌 이야기
제1절 동래부 관원 또는 통역관 등이 공훈을 세워 포상받은 사례
제2절 현지관원이 과오를 저질렀다면서 조정이 처벌하라고 지시한 사례
제3절 동래부사가 조정에 통역관의 처벌을 요청한 사례
제4절 동래부사가 통역관 이외 관원의 처벌을 요청한 사례
제5절 통역관 · 징세관 등을 당분간 남겨달라 또는 빨리 보내달라고
요청한 사례
제17권 상(上) 아세아 정세 이야기
제1절 당시의 중국 대륙 정세 이야기
제2절 당시의 일본국 내 정세 이야기
제3절 제3국 동향 및 기독교 포교와 연동된 일본 정세
제4절 국경도시 동래부의 이런저런 별난 이야기
제17권 하(下) 울릉도 논쟁 이야기
제1절 대마번이 조선을 설득하려는 1단계
제2절 울릉도 문제의 포인트 그리고 양측이 제시한 외교문서와 회답외교문서
제3절 대마번이 조선에 항의투쟁을 전개하는 2단계
제4절 일본이 울릉도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는 3~4단계
제5절 울릉도 문제 종결을 문서화 하는 5단계
제18권 상(上) 조선통신사 이야기
제1절 1, 2, 3차 통신사 파견
제2절 제4차 통신사 파견
제3절 제5차 통신사 파견
제4절 제6차 통신사 파견
제5절 제7차 통신사 파견
제6절 제8차 통신사 파견
제7절 제9차 통신사 파견
제8절 제10차 통신사 파견
제9절 제11차 통신사 파견
제10절 제12차 통신사 파견
제18권하 (下) 조선통역관 도해 이야기
제1절 20대 도주 종의성 시절(1657년까지)의 통역관 도해
제2절 21대 도주 종의진 시절(1657년~1702년까지)의 통역관 도해
제3절 종의진의 아들들 시절(1702년~1732년까지)의 통역관 도해
제4절 종의진의 손자들 시절(1733년 이후)의 통역관 도해
제19권 변방수호 이야기
제1절 동래부의 조정직보(朝廷直報), 비상복무
제2절 동래부의 파발, 마패, 역참
제3절 동래부의 군사조직, 군사훈련, 무기, 탄약
제4절 동래부 봉화(烽火)
제5절 금정(金井) 산성
제6절 동래부 여타 특이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