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5848445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4-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성장독서가 궁금해요
제1장 독서란 무엇인가
Ⅰ. 책 읽는 인간
1. 책을 왜 읽는가
책의 가치
독서의 가치
2. 어떻게 책을 읽을까
독서의 방법
독서의 수준
Ⅱ. 현대 사회와 독서
1. 독서 개념과 환경의 변화
독서 개념의 변화
독서 환경의 변화
2. 독서에서 문식성으로
‘문(文)’의 확장
‘식(識)’의 확장
‘성(性)’의 확장
문식성을 통한 삶의 확장
제2장 독서 교육의 실천
Ⅰ. 독서 교육이 걸어온 길
1. 독서에 대한 인식의 변화
2. 독서 교육의 변화
텍스트 중심 독서 교육
독자 중심 독서 교육
사회 문화 실천으로의 독서 교육
Ⅱ. 독서 교육이 나아갈 길
1. 역량과 독서 교육
21세기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
독서 교육의 역할
2. 성장을 위한 독서 교육
기능주의에 대한 반성
성장독서의 필요성
제3장 성장과 독서
Ⅰ. 발달 영역과 성장의 개념
1. 교육 발달 영역
인지적 발달
정의적 발달
2. 성장의 개념
경험의 성장
생애 문식성의 성장
Ⅱ. 성장을 위한 성장독서 교육
1. 성장을 위한 독서 경험의 범주
의미 경험
정서 경험
활동 경험
2. 성장독서 교육을 통한 성장독자의 양성
성장독서 교육
성장독자 양성
제4장 성장독서 교육의 원리와 방법
Ⅰ. 성장독서 교육의 원리
1. 상호작용의 원리
2. 연속성의 원리
3. 주체화의 원리
Ⅱ. 성장독서 교육의 방법
1. 독자와 텍스트의 맥락화
맥락주의, 맥락화
독자의 맥락화
텍스트 맥락화
2. 반성적 사고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반성적 사고
반성적 사고 과정
반성적 사고 과정의 실례
Ⅲ. 성장독서 교육의 적용
제5장 성장독서 교육의 실제
Ⅰ. 성장독서 교육의 유형
Ⅱ. 성장독서 교육의 유형별 실제
1. 탐구형: 주제 탐구 독서
문제 인식하기
문제 해결을 위한 가설 설정하기
맥락화를 통해 가설 검증하기
문제를 해결하고 확장하기
2. 성찰형: 인성 독서
문제 인식하기
맥락화하기
문제 해결하고 심화하기
3. 소통형: 진로 독서
문제 인식하기
맥락화하기
문제 해결하고 나아가기
참고문헌
책속에서
그런데 독서 행위를 하나의 문화 현상 또는 문화 행위로 이해한다면 이러한 사고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다. 텍스트를 읽으면서 그 텍스트의 의미나 표현이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어떤 의도와 가치를 구현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 그것을 바탕으로 다른 독자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자신의 SNS에 그것에 대한 의견이나 감상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여론을 만들어가는 행위는 독서가 더 이상 수용적 행위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텍스트의 생산과 소통이 활발해진 지금의 매체 환경에서는 읽는 행위, 추천과 ‘좋아요’를 누르는 행위 자체가 하나의 표현 행위이자 실천 행위가 된다. 사회적으로 화제가 되는 글의 시작은 조회 수라는 점에서 읽기 행위가 단순히 읽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현상이자 실천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 <제2장 독서교육의 실천> 중에서
독자는 언제나 주체이고 텍스트는 언제나 객체의 역할만 하는 것은 아니다. 주체인 독자가 의미를 파악하고, 재구성하고, 추론하고, 비판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등의 객체인 텍스트를 주무르고 다루는 관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텍스트가 독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독자를 성장시키고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 것이다. 곧 텍스트와 독자는 상호 성장의 관계 혹은 상호 구성의 관계에 있다. 또한 읽기는 독자 나름의 의미를 창조하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주체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창조의 과정은 텍스트를 덮는 순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연속성을 지닌다. 책이 손을 떠난 이후에도 그것을 통한 창조적 경험은 남아 이후 지속적으로 삶 혹은 다른 독서와 상호 작용하면서 새롭게 변해하기 때문이다.
- <제4장 성장독서 교육의 원리와 방법> 중에서
문제 상황의 해결을 위한 가설 설정하기
작품의 주제 또는 작품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의도와 관련된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어린왕자』 작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인지적인 가설을 설정할 수 있다.
[문제 상황에 대한 가설 설정]
작가가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을 것이다.
작품이 널리 사랑받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해결 방법에 대한 가설 설정]
글의 내용을 사실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 있을 것이다.
- <제5장 성장독서 교육의 실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