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58526108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5-11-15
책 소개
이 책은 번역을 단순한 언어의 변환 과정이 아니라, 의미와 권력, 감성을 구성하는 사회적 행위로 바라본다. 단어 하나의 선택이 법과 정치, 외교 담론은 물론이고 대중의 정서와 감성 분석에도 깊은 파장을 일으킨다는 점을 강조한다. 법정 통역과 외교 문서, 이념어, 그리고 영화 제목 번역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번역이 단순한 전달의 도구가 아니라 사회적 의미와 감성을 조율하는 행위임을 보여준다. 나아가 번역자를 언어와 세계 사이를 매개하며 해석과 재구성을 수행하는 주체적 해석자로 자리매김한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독자가 언어의 표면 너머에 숨은 권력의 작동과 감성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읽어내는 감수성을 기르도록 이끈다.
목차
책머리에
총론 번역은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
제1장 법정 통역 ㅡ 정의와 오해의 경계에서
1.1. 서론: 법정에서 빚어지는 언어·문화·감성의 오해
1.2. 법적 오역: 단어 하나가 운명을 가르다
1.3. 언어학적 분석: 사역 표현과 의미의 간극
1.4. 유사 사례 비교 분석: 감정의 언어가 자백으로 오역될 때
1.4.1. 일본계 미국인의 “It just slipped out”
1.4.2. 멕시코계 이민자의 “I pay him back”
1.4.3. 요약: 문화 담화와 법적 해석의 충돌
1.5. 추가 사례: 문화적 표현이 범죄 언어로 바뀔 때
1.5.1. 베트남계 여성의 “I didn’t say no”
1.5.2. 중국계 이민자의 “I don’t remember”
1.5.3. 필리핀계 간병인의 “I saw her die”
1.5.4. 아프리카계 난민의 “I gave her to him”
1.5.5. 요약: 문화적 표현의 법정 오해
1.6. 법정 통역의 윤리와 규범
1.7. 법적 언어와 사법 담화의 비교 언어학
1.8. 문화언어학과 법철학의 만남
1.9. 결론: 정의의 언어와 해석의 윤리
제2장 외교 번역 ㅡ 국제 정치의 숨은 건축가
2.1. 서론: 정치 담론 속 번역의 역할
2.2. 문제의 발단: “그런(such)”의 누락
2.3. 정치적 함의: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론’ 논쟁의 형성과 전개
2.4. 언어학적 분석: “such”의 지시 범위
2.5. 다른 언어 기록문과 비교
2.6. 요약: 번역의 정밀성과 정치적 책임
2.7. 다른 문서 오역의 사례
2.7.1. 포츠담 선언(1945)
2.7.2. 카이로 선언(1943)
2.7.3. 동서독 승인과 기본조약 번역
2.7.4. 유엔안보리 결의 242호(1967)
2.7.5. 국제 문서 번역의 정치적 사례 비교
2.8. 결론: 번역은 해석이며, 해석은 권력이다
제3장 정치 언어 ㅡ ‘자유’라는 신화의 번역학
3.1. 서론: 한 단어에 담긴 이념의 힘
3.2. ‘자유’와 정치 언어: 헌법과 교육 정책의 이데올로기
3.3. 이념적 변용과 신화화: 자유와 반공주의
3.4. ‘자유’의 신화화: 바르트와 오웰의 시각에서
3.5. 자유의 언어적 혼재와 개념적 구분
3.6. 문화권 비교: 미국·프랑스·북한의 ‘이념어’ 사용
3.6.1. 미국의 ‘Freedom’: 보편 가치의 정치적 전략
3.6.2. 프랑스의 ‘Republique’: 공화주의의 정치적 신화화
3.6.3. 북한의 ‘자주’와 ‘주체’: 민족 해방 언어의 절대 이념화
3.6.4. 미국·프랑스·북한 사례의 비교적 관점
3.7. ‘민주주의’ 번역과 언어결정론
3.8. 결론: 말의 정치성
제4장 대중문화 ㅡ 영화 제목에 담긴 감성과 전략
4.1. 서론: 영화 제목 번역은 왜 중요한가
4.2. 로컬라이제이션 사례 분석
4.2.1. 문화 정서에 따른 조정
4.2.2. 감성적 재해석이 돋보이는 번역 사례
4.2.3. 문화적 맥락을 적극 해석한 사례
4.2.4. 의미 손실 및 장르 오독의 사례
4.2.5. 상업적 오용의 사례
4.2.6. 요약
4.2.7. 사랑의 기술인가, 사랑의 예술인가
4.3. 오역 유형별 고찰
4.3.1. 동음·동철이의어 혼동
4.3.2. 고유명사와 보통명사의 혼동
4.3.2.1. 고유명사의 일반화: 정체성의 맥락 소실
4.3.2.2.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과 《늑대와 춤을》
4.3.2.3. 요약: 고유명사는 서사이며, 이름은 정체성이다
4.3.3. 음역의 전략과 과제: 발음과 의미 사이에서
4.4. 외래어 번역은 단어가 아니라 문화의 선택이다
4.5. 영화 제목 번역은 문화 전략이다: 의미와 발음 사이에서
4.5.1. 외래어 번역은 그 사회의 문화 태도를 보여준다
4.5.2. 영화 제목 번역의 실제 사례: 나라별 전략의 차이
4.5.3. 기능주의 번역 이론으로 본 영화 제목 번역
4.5.4. 문화적 현지화 전략의 비교와 요약: 음역, 의역, 재창조
4.5.5. 결론: 제목 번역은 하나의 문화 담론이다
4.6. 두 번 옮겨진 말, 그 너머의 문화와 권력
4.6.1. 영화 제목과 간접 번역: 『North by Northwest』와 『Legends of the Fall』
4.6.2. 영어 중심 간접 번역: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4.6.3. 영어 중심 간접 번역: 성경을 중심으로
4.6.4. 요약: 간접 번역 ㅡ 두 번 해석된 언어 속 문화와 권력
4.7. 결론: 제목 번역은 문화 정치다
맺음말 번역, 해석의 윤리와 문화의 정치
Epilogue The Ethics of Trans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