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58526061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멀티모달 콘텐츠의 영상 속도와 콘텐츠 이해의 상관관계
1. 들어가기
2. 관련 연구 및 이론
2.1. 관련 연구
2.2. 인지 부하 이론
3. 인지 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
3.1. 이중 과제 패러다임
3.2. 피부 전도 반응 측정 기법
3.3. 안구 운동 추적 기법
3.4. 이해력 측정 도구
4. 나오기
제2장 다중양식 공손성의 사회언어학: 음성, 제스처, 그리고 인공지능 상호작용
1. 들어가기
2. 다중양식 공손성의 이론적・경험적 탐구
3. 공손성의 음향적 표현과 인식: 언어 간 차이와 사회문화적 해석
4. 공손성 연구의 기술적 함의와 응용
5. 나가기
제3장 성별에 따른 발화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차이 및 사용 언어에 따른 변이
1. 들어가기
2. 발화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한 신체적 제약
2.1. 발성 기관의 성적 이형성과 그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제약
2.2. 조음 기관의 성적 이형성과 그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제약
3. 사용 언어가 남녀 발화의 음향음성학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
3.1.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f0)
3.2. 스펙트럼 형태(Spectral shape)
3.3. 주기성(Periodicity)
3.4. 음량(Intensity)
3.5. 포먼트(Formants)
3.6. 비음성(Nasality)
3.7. 성대 진동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 VOT)
3.8. 발화 속도
4. 나오기
제4장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표준어 및 영어 습득
1. 들어가기
2. 첫 번째 과제: 북한 방언으로 인지되는 음향 특성
2.1. 연구 목적 및 배경
2.2. 연구 방법
2.3. 결과 및 시사점
3. 두 번째 과제: 남한 방언으로의 수렴
3.1. 연구 목적 및 배경
3.2. 연구 방법
3.3. 결과 및 시사점
4. 세 번째 과제: 북한이탈주민의 영어 습득
4.1. 연구 목적 및 배경
4.2. 연구 방법
4.3. 결과 및 시사점
5. 나오기
제5장 감성분석: 의태어를 중심으로
1. 들어가기
2. 한국어 의태어의 형태-음운적 파생
2.1. 의태어의 음성 상징
2.2. 긍정형 vs. 부정형 의태어
2.3.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 변이
2.4. 영어와 한국어의 음운 변이 비교
2.5. 형태적 변이: 접두사와 중첩을 통한 감정 강조
3. 의태어의 의미론적・화용론적 차원
3.1. 감정 표현으로서의 의태어: 표현소적 성격(Emotive Ideophones as Expressives)
3.2. 분석: 고정함축(Conventional Implicature, CI)으로서의 의태어
4. 나가기
제6장 데이터로 읽는 문학: 포스트휴머니즘 언어학과 번역 스타일 연구
1. 들어가기
2. 번역 스타일 연구
2.1. 코퍼스 문체론 연구
3. 연구방법 및 결과
3.1. 코퍼스 수집
3.2. 연구 대상 코퍼스
3.3. 코퍼스 분석 도구
3.4. 다층적 언어 측정치
3.5. 연구결과 및 논의
4. 나오기
제7장 다언어 어휘 처리와 습득
1. 들어가기
2. 이중언어 어휘 처리
2.1. 주요 이론 소개
2.2. 관련 실험 패러다임과 대표 연구들
3. 다언어 어휘 처리와 표상
3.1. 주요 L3 전이 모델들
3.2. 삼중언어화자 관련 실험 연구
4. 나오기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