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친환경 / 고기능 안전제품 소재산업 R&D전략

친환경 / 고기능 안전제품 소재산업 R&D전략

(유해화학물질대체 환경정화 / 접착소재 / 초미세먼지)

R&D정보센터 (엮은이)
  |  
지식산업정보원
2016-11-10
  |  
3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친환경 / 고기능 안전제품 소재산업 R&D전략

책 정보

· 제목 : 친환경 / 고기능 안전제품 소재산업 R&D전략 (유해화학물질대체 환경정화 / 접착소재 / 초미세먼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58620356
· 쪽수 : 544쪽

책 소개

유해화학물질대체 친환경/고기능성 안전제품 및 소재 산업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토대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목차

제 1장 친환경생산 전략현황분석 및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정책/기술 동향
1. 친환경생산 전략분야 및 현황분석
1) 친환경 생산
(1) 개요
가. 정의 및 범위
나. 주요 제품(또는 공정·서비스)
(2) 산업현황분석
가. 환경분석
⒜ 수요측면(Needs)
⒝ 환경측면
⒞ 기술측면
나. 산업특징 및 구조
⒜ 산업의 특성
⒝ 산업구조
(3) 시장분석
가. 시장현황 및 전망
⒜ 친환경 공정
⒝ 친환경 신소재(친환경 상품시장)
나. 무역현황
다. 글로벌 수출입 유망품목
라. 업체동향
바. R&D 현황분석
(4) 시사점 및 제언
2) 친환경소재 및 공정 전략분야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범위
나.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가. 환경분석
⒜ (Politics) 정책
⒝ 경제(Economy)
⒞ 사회(Society)
⒟ 기술요인(Technology)
나. 산업특징 및 구조
⒜ 산업의 특성
⒝ 산업 구조
(3) 시장분석
가. 시장현황 및 전망
⒜ 세계시장규모
⒝ 국내시장규모
나. 무역현황
다. 글로벌 수출 유망품목
라. 업체동향분석
⒜ 해외업체동향
⒝ 국내업체동향
마. R&D 동향분석
⒜ 해외 R&D 동향
⒝ 국내 R&D동향
바. 기업니즈조사
사. 중소기업 분포분석
⒜ 사업체수
⒝ 종사자수
(4) 기술분석
가. 기술동향 분석
⒜ 세계동향
⒝ 국내동향
⒞ 대표 기술군 선별
나. 대표기술군 분석
⒜ 기술성장성 분석
⒝ 기술수준 분석
⒞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다. 종합결론
(5) 시사점 및 제언
3) 환경부하 저감 전략분야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범위
나. 주요 제품
(2) 산업현황분석
가. 환경분석
⒜ 정책(Politics)
⒝ 경제(Economy)
⒞ 사회(Society)
⒟ 기술요인(Technology)
나. 산업특징 및 구조
⒜ 산업의 특성
⒝ 산업 구조
(3) 시장분석
가. 시장현황 및 전망
⒜ 세계시장규모
⒝ 국내시장규모
나. 무역현황
다. 글로벌 수출 유망품목
라. 업체동향분석
⒜ 해외업체동향
⒝ 국내업체동향
마. R&D 동향분석
⒜ 해외 R&D 동향
⒝ 국내 R&D동향
바. 기업니즈조사
사. 중소기업 분포분석
⒜ 사업체수
⒝ 종사자수
(4) 기술분석
가. 기술동향 분석
⒜ 세계동향
⒝ 국내동향
⒞ 대표 기술군 선별
나. 대표기술군 분석
⒜ 기술성장성 분석
⒝ 기술수준 분석
⒞ 중소기업 적합성 분석
다. 종합결론
(5) 시사점 및 제언
2.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정책 및 강화 현황
1) 환경보건 기술 동향 및 유해화학물질 패러다임
(1) 환경보건 기술 개요
가. 환경보건기술의 정의
나. 환경보건기술의 범위
다. 환경보건기술 분야 주요 이슈 및 기술분야 검토
⒜ 환경보건 관련 메가트렌드
⒝ 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보건 기술개발 방향
(2) 환경보건 국내 환경 분석
가. 환경보건 관련 국내·외 환경변화
⒜ 국내 환경 현황 및 전망
⒝ 국내 주요 환경 이슈에 따른 환경보건 분야 전망과 시사점
⒞ 국외 환경 현황 및 전망
나. 국내 환경보건 정책 현황
⒜ 국내 환경보건 정책
⒝ 환경보건 관련 국내 관련법 및 환경보건기술 개발 관련 내용
다. 국내 환경보건정책 현황 및 전망에 따른 시사점 분석
(3) 유해화학물질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필요성
가. 화학물질, 잘 쓰면 약이 되고 못 쓰면 독이 된다
나. 화학물질의 독성(Toxicity), 위해성(Hazard), 위험(Risk) 및 노출(Exposure)
다.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평가
라.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체계
마. 정부적인 유해화학물질 관리 강화의 방향성
2) 유해화학물질 배출 및 취급현황
(1) 국가 유해화학물질 관리체계
가. 화학물질 관리개요
나. 유해화학물질관리법(환경부)
다.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
라. 위험물안전관리법(소방방재청)
마. 고압가스안전관리법(산업통산자원부)
(2) 유해화학물질관리 정책동향
가. 유해화학물질관리법 →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나.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제정
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종합대책(2013. 7.) 수립
(3) 추진전략 및 과제
(4) 기대효과
3. 국내·외 유해화학물질 위해 관리 정책·기술동향
1) 기술개발 필요성
(1) 환경보건정책 수요를 뒷받침할 기술개발
(2) 정부 주도의 기술개발 필요성
2) 기술수준
(1) 국내외 환경보건기술 수준 비교
(2) 국내외 환경 성과지수(EPI) 평가 결과
가. 환경성과지수(EPI)
나. 환경성질환 부하(EBD ; Environmental Burden of Disease)
다. 종합적 환경보건기술 수준 분석
3) 국외 유해화학물질 위해 관리 정책·기술동향
(1) 미국
가. 정책동향
나. 기술동향
다. 산업동향
(2) 유럽
가. 정책동향
나. 기술동향
다. 산업동향
(3) 일본
가. 정책동향
나. 기술동향
다. 산업동향
라. 시사점
4) 국내 유해화학물질 위해 관리 정책·기술동향
(1) 정책동향
(2) 기술동향
(3) 산업동향
(4) 시사점

제2장 첨단 환경정화 기술 및 친환경 생활안전 제품/소재 분석
1. 나노기술 환경정화 응용과 시장전망
1) 나노기술 이용 환경문제 해결 전망
(1) 나노기술을 이용하면 환경문제도 해결 가능
(2) 나노기술의 환경정화 이용 기술방법
가. 나노정화기술의 도입
나. 나노물질의 환경정화 이용
다. 나노물질의 안전성 문제
(3) 환경 센싱과 친환경 제조에도 나노기술이 핵심
가. 환경 센싱
나. 친환경 제조
2) 나노기술의 환경응용 시장 현황
(1) 나노기술의 환경응용 시장
(2) 환경응용 나노물질의 시장 전망
가. 환경 나노기술의 시장 동인(Drivers)
⒜ 물 수요 증가
⒝ 수질 오염 심화
⒞ 물 인프라 향상 필요
⒟ 규제 강화
나. 나노물질별 시장
⒜ 이산화 티타늄(Titanium Dioxide)
⒝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s)
⒞ 산화철(Iron Oxide)
⒟ 나노파이버(Nanofibers)
다. 영가철 나노입자(nZVI) 정화법의 향후 전망
3) 나노입자를 이용한 환경정화기술
(1) 토양/지하수 오염정화에 이용되는 나노입자
가. 영가 철 나노입자(nZVI)
나. 에멀전화 영가 철 나노입자(Emulsified nZVI, EZVI)
다. 자성 철 나노입자
라. 이원금속 철 나노입자
마. TiO₂ 및 ZnO 나노입자
바. 탄소나노튜브
(2) 나노기술의 환경응용 시장
2. 폐기물자원화 기술을 이용한 복합 환경정화 기술개발
1) 폐기물 자원화산업의 환경 및 정책
(1) 폐기물 개요
가. 폐기물의 개념 및 분류
나. 폐기물 자원화의 개념 및 유형
다.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특징
라. 폐기물 발생 현황
(2) 신재생에너지와 폐기물 에너지 생산 현황
(3) 폐기물 자원화 관련 환경 및 정책
(4) 폐기물 자원화 산업 투자 증대 전망과 신용평가 필요성 대두
2) 제올라이트 기반의 수질 대기 정화용 기술동향
(1) 제올라이트 기술적 특징 및 시장동향
가. 시장동향
나. 주요 국내업체 동향
다. 세부기술 동향
(2) 중금속 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천연제올라이트의 흡착특성
가. 이론적 배경
⒜ 오염토양 흡착을 위한 반응물질
⒝ 흡착등온모델
나. 중금속 오염물질 흡착시험
⒜ 연구대상 오염물질 선정
⒝ 반응물질의 흡착시험 방법
다. 시험결과
⒜ 반응물질의 흡착시험결과
⒝ 제올라이트의 반응시간영향
(3) 제올라이트와 활성탄을 이용한 대기 중 CO2 흡착 및 재생 특성
가. 실험방법
나. 결과 및 고찰
⒜ 흡착제의 특성
⒝ 흡착제의 이산화탄소 흡착 성능
⒞ 흡착제의 재생 성능
3) 매트 형태 연소촉매를 사용하는 촉매연소 버너
3. 친환경생산 전략제품 및 소재 분석
1) 수계⋅토양 환경독성물질대체 및 저감소재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조사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로드맵 기획
가. 연구개발 목표 설정
나. 로드맵기획
2) 대기유해물질 제어용소재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조사
(4) 요소기술 후보군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로드맵 기획
가. 연구개발 목표 설정
나. 로드맵기획
3) 3R 공정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나. 범위 및 분류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3) 기업니즈조사
(5) 핵심요소기술 선정
(6) 로드맵 기획
가. 연구개발 목표 설정
나. 로드맵기획

제3장 친환경 고기능성 접착소재 기술시장 및 화평법 주요내용과 환경대응방안
1. 고기능성 접착소재 현황과 기술개발 방향
1) 고기능성 접착소재 현황
(1) 개요
(2) 고기능성 접착소재 현황
가. 제품 분류 관점
나. 기술 분류체계 관점
(3) 접착제산업 환경 현황
가. 접착제산업의 환경규제 현황
나. 접착제산업의 환경오염 평가 현황
⒜ VOCs 측정 방법
⒝ 유해유출물 화학적 독성 평가
2) 고기능성 접착소재 기술 및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및 기술 동향
(2) 국내 시장 및 기술 동향
(3) 기술개발 현황
가. 국내외 현황
나. 고기능성 접착소재 기술개발 방향
⒜ 광경화형 점/접착제 기술 동향 
⒝ 핫멜트형 점/접착제 기술 동향
⒞ 난연성 점/접착제 기술 동향
(4) 접착제 산업의 기술개발 전망 및 과제
가. 기술개발 전망
나. 기술개발 과제
3) 친환경 고기능성 점ㆍ접착제 연구개발 동향
(1) 환경친화형 접착소재
가. UV경화형 점착소재
⒜ 점착이란
⒝ UV 경화형 점착제의 연구 동향
나. 핫멜트 접착제-점착제
(2) 고기능성 접착소재
가. Nanoclay를 활용한 수성형 점착제
나. CNT적용 고기능성 점착제
다. Display용 고굴절률 OCA
(3) 조합기법을 활용한 점착소재 분석
2. 화평법 주요 내용 및 화학제품 개발에 따른 환경규제 방안
1) 화평법 쟁점 및 시사점
(1) 화평법 도입의 필요성
(2) EU REACH
(3) 화평법(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
가. 도입배경
나. 화평법 개요
다. 화평법과 EU REACH의 차이점
라. 화평법에 대한 국내 기업의 대응
(4) 환경경영수준으로 본 화평법 대응역량
가. 환경경영전반 비교
⒜ 우수섹터 에너지∙화학섹터
⒝ 취약섹터: 의류(섬유)섹터
나. 종목분석
⒜ Best Practice: LG화학
⒝ 화평법 수혜업종: 바이오톡스텍
(5) 화평법에 남아있는 쟁점
가. 환경단체 0.5톤 VS 산업계 1톤
나. 동물실험 결과 공유
다. 완제품 신고제도
(6)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가. 화평법 도입에 따른 기업의 경쟁력 분석
나. 사회책임투자의 관점
다. 장기투자의 관점
2) 화평법 도입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관리제도 변화
(1) 화학물질 관리 필요성
가. 화학물질 사용 현황
나. 화학물질 사고 사례
⒜ 국내 사례
⒝ 국외 사례
다. 화학물질 관리 필요성
(2) 국가별 유해화학물질 관리제도
가. EU
나. 미국
다. 중국
라. 일본
(3) 국내 화학물질 관리제도
가. 「유해화학물질관리법」상 관리
나.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의 변화
⒜ 유해화학물질관리 체계 변화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도입에 따른 변화
3) 화평법, 화관법과 기업의 대응 방향
(1) 전세계 화학산업 시장과 국내 화학물질 유통량 규모
(2) 화평법 제정과 유해법 전부 개정(화관법)의 의미
(3) 화평법/화관법 주요 쟁점사항과 정부의 해결 방향
가. 화평법의 주요 쟁점사항과 정부의 해결 방향
나. 화관법의 주요 쟁점사항과 정부의 해결 방향
(4) 적용사례
가. 산업계 화학물질 관리 체계 선진화를 위한 “Lifecycle” 관리 모델
나. 화학물질 Lifecycle 관리 모델의 설정 및 적용 사례
4) 화평법의 문제점 및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해결 방안
(1) 화평법 주요 내용 및 제정 진행 현황
가. 화평법 제정 진행 현황
나. 타 선진국의 화학물질관리 제도에 비해 강력한 수준
(2) 現 화평법의 문제점 및 주요 쟁점
(3) 시사점 및 정책 방향

제4장 친환경 공기정화 기술개발 및 초미세먼지 저감 연구/대책 방안
1. 공기정화 시장과 기술 현황
1) 공기오염 문제의식 및 공기정화 시장성장
(1) 생존을 위협하는 공기오염, 글로벌 차원으로 문제의식 확산
(2) 환경오염과 생활방식 변화로 실내 공기오염 증가
(3) 공기정화 시장의 성장
(4) 공기의 재발견, '공기 에너지와 안전소재'
2) 공기정화와 건강생활 제품 기술 현황
(1) 공기 청정 장치
가. 개인위생 보호구 사례
나. 제품 평가분석
⒜ 공기 청정 제품 평가
⒝ 분석 결과
다. 사물 인터넷 보급
⒜ 사물 인터넷 개념
⒝ 사물 인터넷 시장
⒞ 사물 인터넷 공기청정기 가능성
라. 디자인 제안
⒜ 디자인 방향
⒝ 디자인 전개
⒞ 디자인 구체화
(2) 개인공간의 공기정화 디자인
가. 지능화된 공기정화 기기를 통한 쾌적한 실내공간의 구현
나. 펫팸족의 건강한 삶을 증진시켜주는 공기정화 디자인
다. 누구나 손쉽게 활용이 가능한 적정기술의 공기정화 디자인
라. 건강한 개인 생활과 환경을 트래킹 해주는 앱 서비스
마. 웨어러블한 착용으로 유해공기를 차단하고 정화시켜주는 디자인
바. 공기정화와 함께 글로벌 자연환경을 경험하게 해주기
사. 환경과 개인의 신체상태에 맞춤화된 쾌적함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도심공간의 공기정화 디자인
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활용과 정화 시스템이 결합된 친환경 건축 디자인
나. 공기정화 기능의 친환경 건축 소재와 기술의 활용
다. 공기정화 기능을 갖춘 도심의 공공시설 디자인
라. 공기정화 식물과 결합된 자연을 담은 공간 디자인
마. 드론과 결합된 새로운 방식의 도심 속 공기정화 디자인
3) 공기청정기 국내외 시장현황
(1) 공기청정기 시장현황
가. 환경오염 및 중국발 황사로 인해 점차 증가하는 공기청정기 수요
나. 향후 폭발적인 성장세가 예상되는 국내외 시장
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중국과 미국, 국내 시장 전망
라.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시장, 복합과 고급 기능을 담은 품질 전략 예고
(2) 국내외 주요 국가 수출액 동향
가. 우리나라의 수출 현황
나. 경쟁국가
⒜ 중국
⒝ 인도
⒞ 미국
⒟ 홍콩
⒠ 기타 유망시장
(3) 휴대용 공기청정기 특허출원 현황
2.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연구 및 기술개발 동향
1) 미세먼지 오염현황 및 인접국가 협력 상황
(1) 미세먼지 개요
가. 미세먼지의 개념
나. 미세먼지 발생원
다. 미세먼지의 측정
라. 미세먼지와 기상과의 관계
(2) 미세먼지의 오염현황
가.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오염현황
나. 주요국가와의 오염도 비교
(3)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현황
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나. 농작물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다. 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3) 미세먼지, 감소 현황
가. 자동차 배출가스 줄이기
나. 사업장 미세먼지 줄이기
다. 생활 주변 미세먼지 줄이기
(4) 인접국가와의 협력현황
가. 한・중 협력
나. 한ㆍ일 협력
다. 한ㆍ중ㆍ일 협력
(5) 미세먼지 오염 시 대책현황
가. 미세먼지 오염도의 실시간 확인
나. 미세먼지 예・경보 시 행동요령
⒜ 미세먼지 예보제
⒝ 미세먼지 경보제
2) 최신 미세입자 제거 기술동향
(1) 여과 집진 장치
가. 섬유 필터
⒜ 개요 및 특성
⒝ 여과방식에 의한 분류
⒞ 여포의 모양에 의한 분류
⒟ 필터의 탈진방법에 의한 분류
나. 맴브레인 필터 (Membrane filters)
(2) 국내외 기술동향
가. 미세입자 배출 규제와 관련 기술동향
나. 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개발 동향
다. 국내 미세입자 제거기술 현황
(3) 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개발의 예
가. 여과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
나. 전기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
다. 세정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
라. 기계적 집진장치 관련 최신 기술
마. 복합형 집진장치 및 가스상 입자물질 동시 처리기술
3. 초미세먼지 정책사례 및 관리 방안
1) 초미세먼지 국내외 정부정책 현황
(1) 국내정책사례
가. 대기오염 물질 관리 정책 체계
나. 정부, 국가전략 프로젝트 선정
다. 관리정책 방향
⒜ 2차 입자 조성물질을 포함한 관리
⒝ 누락 배출원을 포함하는 지역별 배출량 인벤토리의 작성
⒞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삭감대책 수립 및 지원
⒟ 대기환경규제지역 지정제도 활용 및 관리 내실화
⒠ 장거리이동오염원 대책 마련
(2) 국외정책사례
가. EU
나. 영국
다. 독일
라. 이탈리아
마. 일본
바. 중국
사. 미국EPA PM2.5 관리대책
2) 서울시 초미세먼지(PM2.5) 관리방안
(1) 초미세먼지 예・경보제 운영현황 및 적정기준
가. 초미세먼지(PM2.5) 대응체계는 상대적으로 미흡
나. 초미세먼지의 시민건강 예방은 적정 예․경보제 운영에서 출발
(2) 초미세먼지 배출원의 관리정보 구축과 활용
가. 초미세먼지(PM2.5) 관리의 실효성 확보가 관건
나. 서울시-자치구’간 초미세먼지 저감 협력체계를 유지
(3)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맞춤형 관리방안
가. 시민 건강 위해성에 기반을 둔 초미세먼지 관리체계를 도입
나. 초미세먼지 지역 배출원 맞춤형 관리대책을 추진
다. 과학적 관리기반체계를 유지
라. 장거리 이동 초미세먼지의 유입영향에 대응
3) 부산시 (초)미세먼지 관리방안
(1) 부산시의(초)미세먼지 정책 평가
(2) 부산시 (초)미세먼지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로드맵
가. 관리정책의 방향설정
나. (초)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로드맵
⒜ (초)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 배출원 규명
⒞ 정책수단 및 제도
⒟ 대국민 홍보 및 정보 제공 방안 마련
다. 종합 고찰 및 소결
4. 빅데이터를 이용한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평가 및 피해비용
1)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및 경제성 통합분석 사례연구
(1) 통합분석 절차 및 방법론
가. 유럽위원회(EC)의 ExternE
나. 미국환경청(EPA)의 대기청정법 편익/비용분석
(2) 통합분석 사례연구
가. 유럽 사례연구
나. 미국 사례연구
다. 국내 사례연구
2)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평가
(1) 표본코호트DB를 이용한 대기오염의 건강영향 평가
(2)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분석범위 및 분석자료
가. 분석범위 및 건강영향 범위
나. 분석자료 및 가공자료
(3)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분석방법
가. 표본코호트 자료의 생존분석
나. 시계열 패널자료의 반복측정 분석
(4)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결과
가. 시도별 대기오염 농도
나. 연도별 대기오염물질 농도
다. 호흡기계 입원환자 자료
라. 대기오염의 장기노출로 인한 호흡기계 신규입원영향 분석결과
마. 대기오염의 호흡기계 재입원에 대한 시계열 패널의 반복측정 분석결과
(5)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평가 요약 및 시사점
3) 대기오염 연구결과 및 향후 연구계획
(1) 호흡기계 재입원위험-질병비용 통합(예비분석)
(2)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3) 향후 연구계획
통계(도표) 목차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