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논술/면접/수시 > 입시자료집
· ISBN : 979115874013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6-07-1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우리는 어떤 프레임으로 교육을 바라봐야 할 것인가?
PART 1 전형분석
01 수시전형 분석………………………………………………19
교과 반영 비율 / 성비 적용 / 전년대비 변경 사항 / 서류 및 면접
02 정시전형 분석… ……………………………………………38
대학별 반영 방식에 따른 유불리 분석 / 성별 모집 비율 고려 /
면접 영향력 고려 / 경쟁률 고려
03 지원가능 내신………………………………………………49
PART 2 면접기출문제
01 경인교육대학교 …………………………………………57
02 공주교육대학교 …………………………………………65
03 광주교육대학교 …………………………………………70
04 대구교육대학교 …………………………………………75
05 부산교육대학교 …………………………………………79
06 서울교육대학교 …………………………………………84
07 이화여대 초등교육과 ……………………………………96
08 전주교육대학교 …………………………………………103
09 진주교육대학교 …………………………………………111
10 청주교육대학교 …………………………………………117
11 춘천교육대학교 …………………………………………122
12 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132
PART 3 교직적성
01 초등교육학의 기본 ………………………………………141
구성주의 교육관 / 홀리스틱 교육관 / 다중지능이론
스팀(STEAM)교육
02 교육사회학의 기본 ………………………………………157
기능주의 이론적 관점 / 갈등주의 이론적 관점
해석주의 이론적 관점
03 현대 교육철학의 기본 ……………………………………164
항존주의 / 본질주의 / 진보주의 / 재건주의
04 현대 교육모델의 기본 …………………………………171
국제이해교육 / 지속가능한 발전교육 / 발도로프 교육
PART 4 교직인성
01 교육현장론 ………………………………………………181
개괄 / Case By Case / 연습문제
02 교사론 ……………………………………………………197
교사의 자질 / 초등교사의 역할 / 교직관
03 아동발달론 ………………………………………………206
발달(development)의 개념 / 아동발달의 쟁점
PART 5 교직시사
01 기본 이슈 …………………………………………………209
9시 등교 /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 자사고 학생선발권 박탈
온라인 게임 셧다운제 / 선행학습 금지/ 시간선택제 교사
문이과 통합 교육 / 대학의 역할/ 부르카 착용
타이거 맘 vs. 스칸디아 대디
02 심화 이슈 ……………………………………………………235
감정노동 / 감시와 통제 / 선거와 민주주의
생명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테러리즘과 IS
피케티 열풍과 담뱃세 / 에볼라 바이러스와 인권
지적재산권과 공유경제 / 군대 폭력과 모병제 / 예술과 표현의 자유
03 시사 이슈 …………………………………………………266
위험사회 / GMO와 식량위기 / 통일대박론과 통일세
환경오염과 미세먼지 / 스포츠와 공정성 / 일본의 우경화
쌀 관세화 / SNS와 집단 지성 / 정치의 사법화 / 이중국적
부록 ……………………………………………………………294
선배 교대생들이 추천하는 도서
진주교대 면접으로 살펴본 면접 3종 세트 사례
리뷰
책속에서
* 학생부(교과+비교과)와 함께 서류는 대부분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를 반영한다. 이 중 자기소개서는 일반대학과 내용은 큰 차이가 없다. 단, 일부대학의 경우 질문 문항 중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한 내용’에 관해 기술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또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도 ‘왜 초등학교 교사가 되려는지’, ‘이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에 관해 일반대학과는 다르게 좀 더 명확하게 기술하도록 해야 한다. 면접의 경우 면접방식에서는 일반대학과 유사하지만 면접을 통해 알고자 하는 것은 일반대학에 비해 좀 더 명확하다. 기본적으로 면접을 통해, 기초지식,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 등을 판단한다. 여기에 교직사명감이나 교직관, 교사로서의 품성과 자질 및 태도, 공동체 의식 등도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이다.
* 정확한 입시정보와 그에 따른 지원전략을 세워라!
현재 전국에는 10개의 교육대학과 일반 대학 중 한국교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제주대학교에 초등교육학과가 있다. 직업적인 안정성과 직업인으로서의 보람과 만족도가 높은 초등 교원을 양성하는 교육대학 및 초등교육학과는 시대적인 상황이나 학과 선호도의 부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높은 선호도를 갖는 대학 및 학과 중 하나이다. 교육대학에 합격하기 위한 전형을 살펴보자.
* 기출문제 예시로 각 대학의 특징을 마스터하기!
대학별로 면접 유형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묻는 사항들이 있다. 교직을 지원하는 동기, 현재 교육적 이슈 그리고 생활기록부상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내용 등. 따라서 생활기록부의 활동내용, 학생의 교직관 그리고 교육이론 및 시사 등을 정리하여 면접에 임해야 한다.
* 수준 높은 답변을 위해 초등교육의 특성을 파악하자!
교직적성은 초등교육학과 교육학이론에 대한 배경지식을 담은 것이다. 교육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교육문제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틀을 제공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동일한 현상을 보더라도 교육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다.
* 초등교사로서의 인성과 자질을 실제 사례를 통해 배우고 익히기!
교육대학교 지원자들은 초등교육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중등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되는 면이 많기 때문이다. 교내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서 교육자적 자질을 기르고자 할 때 교육이론을 참고하면 보다 유의미한 활동이 될 것이다. 교직을 지원하게 된 계기부터 학생의 자질을 평가하는 관점 등 다양한 영역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성품을 담았다.
* 결론보다 쟁점별 근거의 정합성과 타당성이 더 중요!
매달 새로운 교육이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교대면접에서는 교육시사적인 내용을 많이 묻는다. 사회의 흐름에 맞게 교육의 내용과 형태가 수시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런 점을 학생들이 주목하고 있느냐에 대해서 면접을 활용하여 면접관들이 평가한다.
* 주어진 조건 내에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 ‘특수부대를 보내 인질을 구출한다’, ‘IS 모르게 국제사회를 돕는다’ 등의 대답은 의미가 없다. ‘실질적인 위협’에 처한 ‘한국인 한 명’의 목숨과 ‘잠재적인 위협’에 시달리는 한국인 다수 및 세계시민들의 안전 사이에서 무엇을, 어떻게, 왜 선택하는지가 관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