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종합 스웨덴어

종합 스웨덴어

(문법·강독·작문)

변광수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3,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종합 스웨덴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종합 스웨덴어 (문법·강독·작문)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기타 서양어
· ISBN : 9791159018978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04-18

책 소개

전통문법의 테두리 안에서 품사별로 문법규칙과 사용례를 들어가며 성명해 나갔다. 우선 책의 첫머리에는 외국어 교육의 기본이 되는 발음, 강세, 성조에 관해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였고 특히 그 용법이 다양하고 복잡하기로 이름난 전치사 부분에서는 가급적 예문을 많이 들어 용법상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목차

제1장 발음과 철자 16
1.1 스웨덴어의 유래 18
1.2 알파벳 19
1.3 모음 (Vokaler) 20
1.3.1 모음자와 발음 20
1.3.2 이중모음 (Diftonger) 25
1.3.3 모음의 길이 25
1.4 자음 (Konsonanter) 27
1.5 음장 (Kvantitet) 38
1.6 강세 (Tryckstyrka) 39
1.7 음조악센트 (Tonaccent) 41
1.8 음조(성조)와 의미 45
1.9 강세 접두사와 접미사 46
1.10 비강세 접두사와 접미사 46
1.11 회화체의 발음 47
1.12 M,N의 철자법 49
1.13 분절법 50
1.14 대문자 사용법 51
• 1 A. LÄSNING (강독) 53
• 1 B. ÖVNINGAR (연습문제) 54
• 1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55
제2장 명사(Subtantiv) 58
2.1 명사의 성 (性 Genus) 60
2.1.1 통성(물성)명사 (En-명사) 60
2.1.2 중성명사 (Ett-명사) 61
2.2 관사 (Artikel) 61
2.2.1 부정관사(Obestämd artikel) 61
2.2.2 정관사 (Bestämd artikel) 61
2.2.3 관사의 용법 64
2.3 명사의 복수형 69
2.3.1 제1변화명사 –or 69
2.3.2 제2변화명사 –ar 70
2.3.3 제3변화명사 -er 71
2.3.4 제4변화명사 -n 73
2.3.5 제5변화명사 –(단수 복수 동형) 75
2.3.6 명사의 복수변화에서 유의할 점 76
2.4 남성명사와 여성명사 78
2.5 명사의 소유격 79
2.6 복합명사 조어법 80
• 2 A. LÄSNING (강독) 82
• 2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83
• 2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86
제3장 형용사 (Adjektiv) 88
3.1 부가적 용법 (Attributiv ställning) 90
3.1.1 부정형어미 (Obestämd form) 90
3.1.2 정형어미 (Bestämd form) 90
3.1.3 부가적 형용사의 배열 순서 91
3.2 술어적 용법 (Predikativ ställning) 91
3.3 형용사어미 변화표 93
3.4 불규칙 형용사 94
3.4.1 중성단수(부정형) 어미를 붙일 때 94
3.4.2 형용사에 복수어미, 정형어미를 붙일 때 96
3.4.3 항상 변화하지 않는 형용사 97
3.4.4 형용사의 소유격 97
3.5 형용사의 부정형과 정형이 쓰이는 자리 98
3.5.1 부정형 어미를 취할 때 98
3.5.2 정형어미를 취할 때 98
3.5.3 명사는 부정형, 형용사는 정형어미를 취할 때 98
3.5.4 수식어의 유형에 따른 형용사의 어미 변화 100
3.5.5 형용사의 정관사(독립정관사) den, det, de을 생략할 경우 101
3.5.6 독립관사와 어말관사의 생략 102
3.5.7 국명 및 국명표시 형용사 102
3.6 형용사의 비교 102
3.6.1 비교형 –are, -ast 103
3.6.2 비교형 –re, -st 104
3.6.3 불규칙적 비교형 105
3.6.4 -ad, -ande / -ende, -isk 106
3.6.5 원급은 없고 비교급, 최상급만 가진 형용사 106
3.6.6 비교구문 형식 20
3.7 비교급과 최상급의 모양 108
3.7.1 비교급의 모양
3.7.2 최상급의 모양
3.7.3 절대 비교급 109
3.8 형용사의 명사화 110
3.8.1 형용사가 단독으로 쓰일 때. 110
3.8.2 명사로 쓰이는 형용사의 소유격-s 110
3.9 옛 격어미의 잔존형
• 3 A. LÄSNING (강독) 112
• 3 B. GRAMMATIKÖVNING (문법문제) 113
• 2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118

제4장 수사 (Räkneord) 122
4.1 기수와 서수 124
4.1.1 기수 (Grundtal) 124
4.1.2 서수 (Ordningstal) 125
4.2 숫자와 셈 (Räknetalen) 126
4.2.1 기수에 -dubbel, -faldig를 붙여 ‘몇배의’ ‘몇겹의’ 126
4.2.2 기수에 –tal을 붙여 ‘약’의 뜻 126
4.2.3 기수에 –tals를 붙여 어림수 126
4.2.4 분수 (Bråktal) 126
4.2.5 연대 (年代) 127
4.2.6 날짜는 den+서수 127
4.2.7 황제, 왕의 이름에는 서수 128
4.2.8 제~장, 제~절, 제~조, 제~면 따위는 기수로 표시 128
4.2.9 나이 (연령) 128
4.2.10 수식 읽기 128
4.2.11 양수사 (量數詞 Måttsord) 129
4.3 월, 요일, 이름 129
4.3.1 월(月), 이름 129
4.3.2 요일(曜日), 이름 129
4.4 시계 보는 법 130
4.4.1 시간은 klockan(kl.)+기수로 표시 130
4.4.2 ‘몇 시에’ 라고 표현할 때는 그 앞에 전치사 없음 131
4.4.3 ‘~시경’이라고 할 때는 ‘vid+기수+tiden’ 131
4.4.4 ‘몇 시에~하느냐’라고 물을 때는 ‘hur dags’, ‘när’ 또는 ‘vid vilken tid’ 131
4.5 명사처럼 쓰이는 수사 131
4.5.1 기수(1-12)에 어미 -a를 붙여 명사처럼 쓰며 다시 정형어미 -n, 복수어미 –or를 붙여 그 숫자가 표시하는 대상물을 지시 131
4.5.2 en femma, en tia는 각각 5크루나 (krona), 10크루나 지폐 한 장 132
4.5.3 –an은 버스나 전차 또는 병동, 아파트를 가리킴 132
• 4 A. LÄSNING (강독) 133
• 4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134
• 4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134

제5장 대명사 (Pronomina) 136
5.1 인칭대명사 (Personliga pronomina) 138
5.1.1 용법상의 유의점 138
5.1.2 den과 det의 용법 140
5.2 소유대명사 (Possessiva pronomina) 142
5.3 재귀대명사 (Reflexiva pronomina) 144
5.4 재귀소유대명사(Reflexiva possessiva pronomina) 145
5.5 지시대명사 (Demonstrativa pronomina) 147
5.5.1 지시대명사의 용법 147
5.5.2 Sådan과 dylik 149
5.5.3 Samma와 densamma (동일한 것) 150
5.6 한정대명사 (Determinativa pronomina) 151
5.7 관계대명사 (Relativa pronomina) 152
5.7.1 Som 152
5.7.2 Vilken, vilket, vilka 153
5.7.3 Vars, vilkens, vilkets, vilkas 154
5.7.4 Vad 155
• 5-1 A. LÄSNING (강독) 156
• 5-1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157
• 5-1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161
5.8 의문대명사 (Interrogativa pronomina) 162
5.8.1 vem, vad, vilken, vilket vilka 162
5.8.2 vem som, vad som, vilken som 163
5.8.3 vad för (en), vilkendera, hurdan 163
5.9 부정대명사 (Indefinita pronomina) 165
5.9.1 någon, något, några, någonting 166
5.9.2 ingen, inget, inga, ingenting 166
5.9.3 man (ens, en, sin, sitt, sina) 168
5.9.5 var, vart, varje, varenda 171
5.9.6 var och en, vart och ett 172
5.9.7 varannan, vartannat 173
5.9.8 annan, annat, andra 173
5.9.9 vem som helst, vad som helst, vem än, vad än, hur än 175
• 5-II A. LÄSNING (강독) 177
• 5-II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177
• 5-II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179

제6장 동사 (Verb) 182
6.1 기본형과 어미 (Verbets former och ändelser) 184
6.2 동사변화 유형 (Verbets konjugationer) 185
6.2.1 제1변화동사 (Första konjugationen) 186
6.2.2 제2변화동사 (Andra konjugationen) 186
6.2.3 제3변화동사 (Tredje konjugationen) 189
6.2.4 제4변화동사 (Fjärde konjugationen) 190
6.2.5 불규칙동사 (Oregelbundna verb) 193
6.2.6 동사변화 총괄 표 (Översikt över verbböjningen) 194
6.2.7 동사의 긴 형과 짧은 형 (Verbets långa och korta form) 194
6.2.8 동사의 복수형태 (Verbets pluralformer) 195
6.3 동사시제 (Verbets tempus) 196
6.3.1 부정법 (Infinitiv) 197
6.3.2 현재 (Presens) 199
6.3.3 과거 (Preteritum/Imperfektum) 201
6.3.4 현재완료(Perfektum) 202
6.3.5 과거완료 (Pluskvamperfektum) 203
6.3.6 미래 (Futurum) 203
6.3.7 시제의 일치 (Tempusharmoni) 205
6.3.8 현재 분사와 과거분사 (Presens particip och perfekt particip) 206
• 6-I A. LÄSNING (강독) 212
• 6-I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213
• 6-I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217
6.4 동사의 법 (Modus) 218
6.4.1 서법조동사 (敍法助動詞 Modala hjälpverb) 218
6.4.2 서법형태 (Modusformer) 223
6.4. 조건절 (Konditionalsats) 225
6.5 자동사, 타동사, 재귀동사 (lntransitiva, transitiva och reflexiva verb) 226
6.5.1 자동사와 타동사 226
6.5.2 재귀동사 (Reflexiva verb) 227
6.6 수동태 (Passivum) 229
6.6.1 S –수동형 229
6.6.2 복합수동형 231
6.7 동사의 S-형태 (Verbens S-former) 232
6.7.1 상호동사 (Reciproka verb) 232
6.7.2 이태동사 (Deponens-verb) 232
6.7.3 독자적 s-동사 233
6.8 복합동사 (Sammansatta verb) 233
6.8.1 비분리동사 (Fast sammansatta verb) 234
6.8.2 분리동사 (Löst sammansatta verb) 234
6.8.3 분리 / 비분리 동사 (Lös eller fast sammansättning) 235
6.8.4 비분리형과 분리형의 의미상의 차이 236
6.8.5 동사와 접사의 위치 237
• 6-II A. LÄSNING (강독) 238
• 6-II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240
• 6-II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244

제7장 부사 (Adverb) 248
7.1 부사의 형태 (Olika sätt att bilda adverb) 250
7.1.1형용사+t 250
7.1.2 –lig로 끝나는 형용사의 부사 만들기 250
7.1.3 현재분사 및 과거분사의 중성형 251
7.1.4 형용사에서 파생하지 않은 부사 251
7.1.5 어미 –ledes, -lunda, -t+vis, -stans를 가진 부사 252
7.2 의미상의 부사 종류 (Olika adverb enligt betydelse) 252
7.2.1 시간부사 (Tidsadverb) 252
7.2.2 장소부사 (Rumsadverb) 253
7.2.3 방법부사 (Sättsadverb) 254
7.2.4 정도부사 (Gradadverb) 254
7.2.5 원인부사 (Orsaksadverb) 254
7.2.6 부사의 배열 순서 (Ordningsföljd av adverb) 254
7.3 기능상의 부사 종류(Olika adverb enligt funktion) 255
7.3.1 대명부사 (Pronominella adverb) 255

제8장 전치사 (Prepositioner) 270
8.1 전치사의 종류와 그 용법 (Prepositioner och deras användning) 272
8.1.1 Av 272
8.1.2 Bakom 203
8.1.3 Bland 273
8.1.4 Efter 274
8.1.5 Enlight 274
8.1.6 Framför 274
8.1.7 Från 274
8.1.8 För 275
8.1.9 Före 277
8.1.10 För···sedan 277
8.1.11 Genom 277
8.1.12 Hos 278
8.1.13 I 278
8.1.14 Inom 280
8.1.15 Längs/utmed 280
8.1.16 Med 281
8.1.17 Mellan 281
8.1.18 Mot 282
8.1.19 Om 283
8.1.20 Omkring, kring, runt284
8.1.21 På 284
8.1.22 Sedan 289
8.1.23 Till 289
8.1.24 Under 291
8.1.25 Ur 292
8.1.26 Utan 292
8.1.27 Utom 293
8.1.28 Vid 293
8.1.29 Åt 294
8.1.30 Över 295
8.2 시간전치사 (Tidsprepositioner) 295
8.2.1 기간 (Tidslängd) 296
8.2.2 시점 (Tidspunkt) 297
8.2.3 주기 (Periodicitet) 299
8.3 전치사구 (Sammanställda prepositioner) 300
8.4 복합전치사의 구조301
8.5 부사+전치사 (Adverb + prepositioner) 302
8.6 전치사의 위치 302
• 8 A. LÄSNING (강독) 304
• 8 B.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305
• 8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307
제9장 접속사 (Konjunktioner) 308
9.1 접속사의 종류 (Olika slag av konjunktioner) 310
9.2 등위접속사 (Samordnande konjunktioner) 310
9.2.1 Och (~와/과) 311
9.2.2 Samt (~과/~함께) 311
9.2.3 Eller (또는) 311
9.2.4 Men과 Utan (그러나/~이 아니고~이다) 312
9.2.5 För와 Ty (왜냐하면) 312
9.2.6 Både ··· och (양쪽 모두; 〈영〉 both ··· and), Antingen ··· eller (어느 한쪽; 〈영〉 either ··· or), Varken ··· eller (양쪽 다 ~아니다; 〈영〉 neither··· nor) 312
9.3 종속접속사 (Underordnande konjunktioner) 313
9.3.1 Att (접속 :〈영〉 that) 313
9.3.2 Då (~할 때에, ~하기 때문에) 314
9.3.3 nnan, förrän (~하기 전에) 314
9.3.4 Medan (~하는 동안에) 314
9.3.5 När (~할 때에) 315
9.3.6 Sedan (~한 후) 315
9.3.7 Tills (~까지) 315
9.3.9 För att, därför att, eftersom, emedan (~하기 때문에) 315
9.3.10 Om, ifall, såvida (만일~한다면) såvitt (~하는 한) 316
9.3.11 Förutsatt att(~하는 한/~의 전제하에) 316
9.3.12 Fastän, fast, trots att (비록 ~이지만) 317
9.3.13 Hur···än (아무리 ~해도) 317
9.3.14 För att (~하기 위하여) 317
9.3.15 Så att, så … att (그래서, 아주 ~해서~했다) 318
9.3.16 Lika som (~만큼/~처럼: 〈영〉 as ··· as), (så)som (~한 방법으로 : 〈영〉 in the way that) (lik)som (~와 같은 방법으로 : 〈영〉 in the same way that) 318
9.3.17 Än (~보다, ~이외에: 〈영어〉 than) 318
9.3.18 Ju ··· desto (~하면 할수록 더욱 더 : 〈영〉 the+비교급 ··· the+비교급) 319
9.3.19 Genom att (~함으로써, ~한 사실에 입각하여 : 〈영〉in that, by the fact that) 319
9.3.20 I det att (~하는 한, ~한 사실을 고려할 때: 〈영어〉 in so far as, in view of the fact that) 319
9.3.21 Utan att (~함이 없이) 320
9.4 접속사의 특이한 용법 320
9.4.1 Efter det att (~한 이후에) 320
9.4.2 Innan/Förrän (~하기 전에) 321
9.4.3 Förr, förut, tidigare/före, innan (~전에) 321
• 9 A. LÄSNING (강독) 322
• 9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323
• 9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324

제10장 어순 (Ordföljd) 326
10.1 주어의 위치 (Subjektets plats) 328
10.1.1 바른어순 (Rak ordföljd) 328
10.1.2 뒤바뀐 어순 (Omvänd ordföljd) 328
10.2 목적어의 위치 (Objektets plats) 330
10.2.1 주어+술어동사+간접목적+직접목적 330
10.2.2 주어+술어동사+직접목적+{전치사+간접목적} 331
10.2.3 비강세 대명사의 위치 331
10.3 이동부사 (Vandrande adverb)의 위치 331
10.3.1 주절 (huvudsats)에서 위치 332
10.3.2 종속절(bisats)에서 위치 332
10.3.3 동사 se…ut와 형용사, 부사의 위치 333
10.3.4 이동부사의 종류와 기타 위치 333
10.3.5 장소부사와 시간부사의 위치 334
10.4 강조구문 (Emfatisk omskrivning) 335
10.4.1어순 바꾸기 335
10.4.2 비주어 요소 앞세우기 (Fronting) 335
10.4.3 Det … som 구문 형식 336
10.5 문장 꼬기 (Satsflätning) 337
10.5.1 의문문 337
10.5.2 서술문 337
10.6 직접화법과 간접화법 (Direkt tal och indirekt tal) 338
• 10 A. LÄSNING (강독) 339
• 10 B. GRAMMATIKÖVNING (문법연습) 340
• 10 C. ÖVERSÄTTNING (번역작문) 344

부록 346
참고문헌 348
강변화동사 및 불규칙동사 표 350
해답 FACIT 355
찾아보기 382
INDEX 386

저자소개

변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한 후 스웨덴 Uppsala 대학에서 스웨덴어학, 언어학 석사(Fil.kand)를, Stockholm대학에서 언어학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웨덴어과 ·스칸디나비아어과 교수 및 명예교수, Stockhholm대학 초빙교수로 강의하였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장 및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초대 회장, 국어심의회 표기법 분과위원, 한국-스웨덴 협회 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스웨덴 Karl Gustav 16세 국왕으로부터 스웨덴어 교육과 저술 활동으로 스웨덴의 역사, 문물을 알리는 데 이바지한 공로로 ‘북극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주요 저역서 『복지의 나라 스웨덴』 (공저)(1981) 1993, 『스웨덴어 문법』 1983, 『북유럽사』 (1988) 2006, 『세계주요언어』 (편저) (1993) 2003, 『외래어 표기 용례집 (북구권 지명, 인명)』(공편) (1995), 『꿩먹고 알먹는 스웨덴어 첫 걸음』 2012, 『스웨덴어-한국어 사전』 (공편) (1996) 2009, 『한국어-스웨덴어 사전』 (공편) 2004, 『복지국가 스웨덴 사람들』 2009, 『종합스웨덴어』 (2005) 2022a, 『알바 뮈르달; 이성은 승리하리(82’ 노벨평화상 수상자 전기)』(번역) 1983, 『낙오자 없는 스웨덴 교육』 2018(번역)
펼치기

책속에서

1 발음과 철자 Uttal och stavning

1.1 스웨덴어의 유래 (Svenskans ursprung)

스웨덴어(svenska)는 게르만어족의 한 갈래인 북게르만어파에 속한다. 여기에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인근 도서에서 사용하는 제 언어들 즉 스웨덴어(svenska), 덴마크어 (danska), 노르웨이어(norska), 아이슬란드어(islandska), 페로즈어(faroiska)가 속하며 이들을 통틀어 북구어(de nordiska spraken) 또는 스칸디나비아제어(the Scandinavian languages)라고 부른다. 이들 북구 제 언어들은 Viking 시대(800-1060) 초기까지만 해도 북구조어(urnordiskan/Proto-Scandinavian)라는 단일 언어 형태를 이루고 있었으나 그 후 차츰 분기, 변화하기 시작하여 15세기 이후부터는 정치적 분할과 함께 각국의 개별 언어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오늘날 스칸디나비아 3개 국어(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의 차이는 크게 보면 방언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한다.
따라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인들 사이에는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나 이해의 정도는 똑같지 않다. 한 예로 덴마크인들은 스웨덴어를 잘 이해하나 스웨덴인들은 덴마크어를 잘 알아듣지 못하며 오히려 노르웨이어를 더 잘 이해한다. 한편 게르만어족의 다른 갈래인 동게르만어는 일찍이 사멸하였고 서게르만어에서 발달한 것이 오늘날 독일어, 네덜란드어, 영어이다.
스웨덴어의 문법 구조는 독일어보다 훨씬 간소화되었지만 영어보다는 복잡한 편이다. 어 휘는 스웨덴의 고유어 이외에도 독일어, 프랑스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고 근래에 와서는 외래어로서 영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복합어가 많기 때문에 긴 단어가 많은 것도 어휘상의 특징이라 하겠다. 스웨덴어는 현재 1,035만 명 스웨덴 국민과 핀란드인 중 29만 명, 미국과 캐나다에 이주한 30만의 스웨덴 이민자들이 일상어로 사용하고 있다. 핀란드에서는 스웨덴어가 핀란드어와 나란히 공식 언어로 인정되어 있어서 전체 인구의 47%가 스웨덴어로 대화가 가능하다. 그 밖에도 약 540만 명의 노르웨이인과 580만 명의 덴마크인들이 스웨덴어를 이해한다.
스웨덴어의 계통 관계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