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웨덴어학 개론

스웨덴어학 개론

변광수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1,45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웨덴어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웨덴어학 개론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기타 서양어
· ISBN : 9791159019142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2-12-09

책 소개

스웨덴어(Svenska/Swedish)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자리 잡은 스웨덴(Sverige/Sweden) 왕국의 국어로서 영어, 독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처럼 우리가 실용적 목적을 가지고 그 언어를 배우고 익힐 때 일컫는 명칭이다. 곧 스웨덴어를 대상으로 문법, 강독, 회화, 작문을 학습할 때 ‘스웨덴어’를 배운다고 말한다.

목차

제1장 언어학과 스웨덴어학
1. 언어학의 하위 분야  16
2. 일반언어학과 개별언어학  19
3.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 19
4.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20
5. 현대언어학 이론의 발자취  20

제2장 말소리: 음성학
1. 음성학의 연구 대상  31
2. 음성학의 여러 분야  32
3. 음향음성학  34
4. 조음음성학  36
5. 스웨덴어의 음성  44

제3장 말소리 체계: 음운론
1. 음성학과 음운론의 관계  69
2. 음소와 변이음  70
3. 음소 분석과 음성 결합 방식  72
4. 변별적 자질  74
5. 스웨덴어의 음운체계  80
6. 음소 배열론  87
7. 스웨덴어 운율론(Prosodi)  95

제4장 형태론
1. 형태소와 변이형태  120
2. 형태소의 부류  122
3. 형태음운론  125
4. 언어 유형과 형태소 결합 방식  127
5. 조어법  128
6. 스웨덴어 파생법(Avledning/ Derivation)  132
7. 스웨덴어 굴절법(Böjning/ Inflection)  145
8. 스웨덴어 합성법(Sammansättning/ compound formation)  155
9. 그 밖의 조어법  163

제5장 통사론
1. 전통문법  173
2. 구절구조 문법  195
3. 변형생성문법(Den generativa transformationsgrammatiken)  211
4. 심층 격문법  225
5. 맺음말  229

제6장 의미론
1. 의미와 의미론  235
2. 의미와 지시물  236
3. 의미와 심적 표상  238
4. 의미장과 성분분석  245
5. 구조의미론  248
6. 사전과 어휘 목록  253
7. 단어들 사이의 의미 관계  254
8. 의미 변화  261
9. 어휘적 다의성(Mångtydighet)  262
10. 의미의 다양성  266

제7장 화용론
1. 화용론의 대상  273
2. 맥락과 의미  274
3. 화행적 발화  282
4. 지시와 지시체  284
5. 화행과 협력  288
6. 전제  295
7. 소통 진행 신호 ‘피드백’  298

제8장 스웨덴어 방언 개관
1. 방언과 표준어  305
2. 방언 분류  306
3. 각 지역 방언의 특징  310
4. 사회적 방언  316

제9장 스웨덴어 발달사
1. 스웨덴어의 기원  323
2. 루운문자(Runalfabet)  327
3. 루운 스웨덴어/ 고대스웨덴어  329
4. 기독교의 전파와 라틴 문자  333
5. 근대스웨덴어  335
6. 철자법의 변천  338
7. 음운변화  341
8. 형태변화  350
9. 단어 형성법 360
10. 외래어 유입의 역사적 배경  367
11. 노르웨이 이중언어, 덴마크어, 스웨덴어의 상호 소통 관계  372

참고문헌  375
찾아보기  380

저자소개

변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고,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언어학과를 졸업한 후 스웨덴 Uppsala 대학에서 스웨덴어학, 언어학 석사(Fil.kand)를, Stockholm대학에서 언어학박사를 취득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웨덴어과 ·스칸디나비아어과 교수 및 명예교수, Stockhholm대학 초빙교수로 강의하였고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장 및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초대 회장, 국어심의회 표기법 분과위원, 한국-스웨덴 협회 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스웨덴 Karl Gustav 16세 국왕으로부터 스웨덴어 교육과 저술 활동으로 스웨덴의 역사, 문물을 알리는 데 이바지한 공로로 ‘북극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주요 저역서 『복지의 나라 스웨덴』 (공저)(1981) 1993, 『스웨덴어 문법』 1983, 『북유럽사』 (1988) 2006, 『세계주요언어』 (편저) (1993) 2003, 『외래어 표기 용례집 (북구권 지명, 인명)』(공편) (1995), 『꿩먹고 알먹는 스웨덴어 첫 걸음』 2012, 『스웨덴어-한국어 사전』 (공편) (1996) 2009, 『한국어-스웨덴어 사전』 (공편) 2004, 『복지국가 스웨덴 사람들』 2009, 『종합스웨덴어』 (2005) 2022a, 『알바 뮈르달; 이성은 승리하리(82’ 노벨평화상 수상자 전기)』(번역) 1983, 『낙오자 없는 스웨덴 교육』 2018(번역)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언어학과 스웨덴어학
스웨덴어와 스웨덴어학을 같은 뜻으로 이해하고 개념상의 구별 없이 혼용하는 사례가 흔히 있다. 이것은 영어(English)와 영어학(English linguistics)이 다른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무심코 섞어 쓰는 경우와 같아서 잘못된 관행이다. 스웨덴어(svenska/Swedish)는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자리 잡은 스웨덴(Sverige/Sweden) 왕국의 국어로서 영어, 독어. 프랑스어, 중국어, 일본어처럼 우리가 실용적 목적을 가지고 그 언어를 배우고 익힐 때 일컫는 명칭이다. 곧 스웨덴어를 대상으로 문법, 강독, 회화, 작문을 학습할 때 ‘스웨덴어’를 배운다고 말한다.
글로벌(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외국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면서 거리의 간판이나 각종 매체를 통한 광고에서 ‘해외어학연수, 어학전문학원, 어학전문대학’, 같은 광고문구가 자주 눈에 띈다. 이들 사설 기관에서 수강생들이 배우고 익히는 대상은 특정 외국어이고 거기서 말하는 어학학습은 언어 습득을 위한 훈련 과정을 뜻한다. 언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론을 정립하는 분야가 언어학(linguistics/ sprakvetenskap)이다. 이미 정형화된 한 외국어의 틀을 끊임없는 반복적 연습과 암기를 통해 나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은 실용적 목적을 위한 실천적 행위이지 그 자체가 학문적 탐구 행위는 아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스웨덴 언어학’을 ‘스웨덴어학’으로 부르듯 ‘언어학’을 ‘어학’으로 줄여서 쓰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실용적 필요성에 따라 언어습득을 추구하는 어학과 분명히 구별해야 한다.
이 책은 스웨덴어의 구조와 체계, 변천에 대한 언어학적 기술서(svensk sprakvetenskap)라고 할 수 있다. 본론에 앞서 언어학의 주요 분야와 개념을 소개하고 각 장의 내용 설명에서 일반언어학적 이론과 함께 외국어의 사례를 곁들인 것도 그러한 취지에서이다. 학술용어와 어례 사용에는 학습자의 원서 강독과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스웨덴어와 영어를 함께 사용한다.

1. 언어학의 하위 분야
언어학은 전 세계 인류의 언어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 사실을 관찰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론을 정립해 나가는 인문과학의 한 분야이다. 그리하여 언어의 본질과 특성, 기능, 구조 등을 체계적으로 규명해 나간다. 따라서 개개의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음소, 형태, 통사, 의미 부분의 연구가 언어학의 중심 분야라고 하겠다.
1) 음성학/ 음운론
언어 연구의 출발은 말소리를 듣고 분석하는 데서 시작된다. 한 언어에 나타나는 음성들을 모두 관찰, 분석, 기술하는 것이 음성학이고, 그 언어에서 사용되는 음성의 기능과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가 음운론이다. 즉 언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데 이용되는 음성들, 음소(fonem /phonem)들을 밝혀내고 그 목록을 작성하여 분류한다. 그리고 이 음소들의 상호 관계에서 나타나는 음운 현상들을 자세히 고찰하여 이들 현상을 지배하는 규칙이 무엇인가를 찾아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