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Robbins and Cotran 병태생리학

Robbins and Cotran 병태생리학

(제9판)

Abul K. Abbas, Vinay Kumar, Jon C. Aster (지은이), (사)한국약학교육협의회 병태생리학분과회 (옮긴이)
범문에듀케이션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Robbins and Cotran 병태생리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Robbins and Cotran 병태생리학 (제9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병리학
· ISBN : 9791159430510
· 쪽수 : 984쪽
· 출판일 : 2017-03-06

책 소개

병리학 또는 병태생리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의 학생들에게 교재로 활용 가능하도록 질병에 대한 총론과 각 계통별 질환들의 병태생리와 병인, 병리적 기본 소견, 임상적 특징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한 교재다.

목차

CHAPTER 1 세포 - 건강과 질병의 단위 1
CHAPTER 2 스트레스와 독성 상해에 대한 세포반응: 적응, 손상, 사멸 33
CHAPTER 3 염증과 수복 67
CHAPTER 4 혈류역학적 장애, 혈전질환과 쇼크 107
CHAPTER 5 유전질환 129
CHAPTER 6 면역계통의 질환 161
CHAPTER 7 신생물 211
CHAPTER 8 감염성질환 277
CHAPTER 9 환경과 영양질환 315
CHAPTER 10 영아기와 소아기 질환 351
CHAPTER 11 혈관 373
CHAPTER 12 심장 401
CHAPTER 13 백혈구, 림프절, 지라, 가슴샘 질환 447
CHAPTER 14 적혈구와 출혈질환 479
CHAPTER 15 폐 505
CHAPTER 16 두경부 543
CHAPTER 17 위창자관 555
CHAPTER 18 간과 쓸개 607
CHAPTER 19 이자 649
CHAPTER 20 콩팥 659
CHAPTER 21 하부요로와 남성생식계 701
CHAPTER 22 여성생식관 721
CHAPTER 23 유방 755
CHAPTER 24 내분비계 777
CHAPTER 25 피부 823
CHAPTER 26 뼈, 관절, 물렁조직종양 843
CHAPTER 27 말초신경과 뼈대근 877
CHAPTER 28 중추신경계 891
CHAPTER 29 눈 931
찾아보기 947

저자소개

(사)한국약학교육협의회 병태생리학분과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지난 2011년 8월 『병태생리학』과 2013년 2월 『병태생리학-수정 보완판』을 출간하여 여러 분야에서 교재로 활용하여 왔으나, 지난 몇 년에 걸쳐 병태생리학에 관한 괄목할 만한 지식의 확장을 인지하고 상당한 양의 새로운 정보를 포함시켜 이번에 『병태생리학』 제9판을 『범문에듀케이션』에서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의 본문은 병리학 교과서 분야에서 탁월한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를 기본으로 하되, 조직학적 분야의 기술을 상당히 줄였습니다. 따라서 병리학 또는 병태생리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의 학생들에게 교재로 활용 가능하도록 질병에 대한 총론과 각 계통별 질환들의 병태생리와 병인, 병리적 기본 소견, 임상적 특징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은 전통적 분류 방법에 따라 주제를 총론(1~10장)과 계통별 병태생리(11~29장)로 나누었습니다. 본문에서는 주요 질병과 용어에 대한 정의는 검은 점, 이탤릭체, 굵은 글씨체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눈에 띄게 하였고, 다른 색들을 넣어 검토하기 쉽게 하고자 하였습니다. 한글 용어는 여러 사전들이 있으나 추세를 반영하여 https://www.kmle.co.kr/을 참고하였습니다.
주요 용어들을 최대한 한글로 수정하여 현재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간호대학 등의 교재들에 사용되는 용어들과 차별이 되지 않도록 하고 또 미비한 부분들을 보완하기 위해 김남득, 이선미, 신영기, 강태진, 정이숙, 강영숙, 정춘식, 양영덕, 최준정, 이지윤 교수님들 외에 여러 교수님들이 노력하였습니다. 특히, 바쁜 대학원 생활에도 불구하고 시간을 내어 꼼꼼하게 미비한 부분을 찾고 번역에 도움을 주었던 김석만, 김민정, 김주석, 김혜수, 노명경, 이지혜, 이호진, 장현지, 황세원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병태생리학실 대학원생들에게 감사를 표하고자 합니다. 의료계 현장에 서는 아직도 한자식 의학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한글 용어가 자리매김을 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한글 용어를 사용한 교과서 수정이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본문의 내용도 앞으로 계속 수정.보완하여 우리들이 원하는 좋은 내용의 교과서로 발전해 나갈 것을 기대하며 많은 조언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이번 제9판을 출간하는 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범문에듀케이션과 출간을 서두르기 위해 밤낮으로 수고를 아끼지 않으신 이재선 부장님, 윤희영 차장님과 김성환 대리님께도 감사드립니다.
2017년 2월
(사)한국약학교육협의회 병태생리학분과회 회원 일동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