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의학원론

한의학원론

최승훈 (지은이)
군자출판사(교재)
9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0원 -0% 0원
4,500원
85,500원 >
90,000원 -0% 0원
0원
9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의학원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의학원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초한의학
· ISBN : 9791159555787
· 쪽수 : 776쪽
· 출판일 : 2020-07-06

목차

PART 01 기초이론

제1장 역사
제1절 한국
1. 한국 의학사의 전반적인 흐름
2. 한국 의학의 중요 성과
제2절 중국
1. 고대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형성
2. 고대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확립
3. 중국 의학 이론체계의 발전
제3절 국제기구

제2장 관점과 사유
제1절 관점
1. 천인관(天人觀)
2. 생명관
3. 질병관
제2절 사유(思惟)
1. 사유 특징
2. 사유 방법

제3장 이론체계
제1절 정체관념(整體觀念)
1. 유기적인 통일체로서 인체
2. 사람과 자연환경의 통일성
3. 사람과 사회환경의 통일성
제2절 변증논치(辨證論治)
1. 병(病)、증(證)、증(症)의 기본 개념
2. 변증논치의 기본 개념
3. 동병이치(同病異治)와 이병동치(異病同治)
4. 변증(辨證)과 변병(辨病)의 결합

제4장 기、음양、오행
제1절 정기학설(원기론)
1. 고대 철학에서의 정과 기의 기본 개념
2. 정기학설의 기본 내용
3. 정기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2절 음양학설
1. 음양의 개념
2. 음양학설의 기본 내용
3. 음양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3절 오행학설
1. 오행의 기본 개념
2. 오행학설의 주요 내용
3. 오행학설의 한의학에서의 응용
제4절 기론、음양학설、오행학설의 상호관계

제5장 기、혈、진액
제1절 기(氣)
1. 기의 기본 개념
2. 기의 생성
3. 기의 운동
4. 기의 생리공능
5. 기의 분류
제2절 혈(血)
1. 혈의 기본 개념
2. 혈의 생성
3. 혈의 순행
4. 혈의 생리공능
제3절 진액(津液)
1. 진액의 기본 개념
2. 진액의 생성、수포와 배설(진액의 대사)
3. 진액의 공능
제4절 기혈진액의 관계
1. 기와 혈의 관계
2. 기와 진액의 관계
3. 혈과 진액의 관계

제6장 장상
제1절 장상학설(藏象學說)
1. 장상(藏象)
2. 장상학설의 형성
3. 장상학설의 특징
4. 오장、육부와 기항지부의 생리 특징
5. 장부 정기 음양의 개념과 작용
제2절 오장(五臟)
1. 간(肝)
2. 심(心)
3. 비(脾)
4. 폐(肺)
5. 신(腎)
제3절 육부(六腑)
1. 담(膽)
2. 위(胃)
3. 소장(小腸)
4. 대장(大腸)
5. 방광(膀胱)
6. 삼초(三焦)
제4절 기항지부(奇恒之府)
1. 뇌(腦)
2. 여자포(女子胞)
제5절 장부간의 관계
1. 오장 간의 관계
2. 육부 간의 관계
3. 오장과 육부의 관계

제7장 경락
제1절 경락의 개념과 경락계통
1. 경락의 개념
2. 경락계통
제2절 경락의 기본 생리 공능
1. 전신의 기혈을 운행시키며, 장부조직에 영양을 공급한다
2. 장부와 기관을 연결하고, 상하내외를 소통시킨다
3. 정보를 감응 전도하며, 기능의 평형을 조절한다
제3절 십이경맥
1. 명칭
2. 순행부위
3. 순행원칙
제4절 기경팔맥(奇經八脈)
1. 독맥
2. 임맥
3. 충맥
4. 대맥
5. 음양교맥
6. 음양유맥
제5절 경별、별락、경근、피부
1. 경별
2. 별락
3. 경근
4. 피부

제8장 형체와 주요 기관
제1절 형체
1. 피(皮)
2. 육(肉)
3. 맥(脈)
4. 근(筋)
5. 뼈(骨)
제2절 주요 기관(관규, 官竅)
1. 눈
2. 혀
3. 입
[부] 치아
4. 코
5. 귀
[부] 인후
6. 전음(前陰)
7. 항문(후음, 後陰)
제9장 병인
제1절 외감 병인(外感 病因)
1. 육음(六淫)
2. 여기(癘氣)
제2절 내상 병인(內傷 病因)
1. 칠정(七情)
2. 노일(勞逸)
3. 음식(飮食)
제3절 속발성 병인(續發性 病因)
1. 수습담음(水濕痰飮)
2. 어혈(瘀血)
제4절 기타 병인(其他 病因)
1. 외상(外傷)

제10장 병기
제1절 발병
1. 발병의 기본 원리
2.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제2절 기본 병기
1. 사정 성쇠(邪正 盛衰)
2. 음양 실조(陰陽 失調)
3. 기혈 실상(氣血 失常)
4. 진액대사(津液代謝)의 실상(失常)
제3절 질병의 전변(傳變)
1. 병위(病位)의 전변(傳變)
2. 한열(寒熱)의 전화(轉化)
3. 허실(虛實)의 전화(轉化)

PART 02 진단과 치료

제11장 진찰방법
제1절 망진(望診)
제2절 문진(聞診)
1. 소리
2. 냄새
제3절 문진(問診)
1. 주소(主訴)
2. 병력
3. 현재 증상
제4절 절진(切診)
1. 맥진
2. 안진(按診)

제12장 변증
제1절 팔강변증(八綱辨證)
1. 표리(表裏)
2. 한열(寒熱)
3. 허실(虛實)
4. 음양(陰陽)
제2절 기혈변증(氣血辨證)
1. 기허증(氣虛證)
2. 기체증(氣滯證)
3. 기역증(氣逆證)
4. 기함증(氣陷證)
5. 기폐증(氣閉證)
6. 혈허증(血虛證)
7. 혈어증(血瘀證)
8. 혈열증(血熱證)
9. 혈한증(血寒證)
10. 혈탈증(血脫證)
11. 혈조증(血燥證)
12. 기혈양허증(氣血兩虛證)
13. 기음양허증(氣陰兩虛證)
제3절 진액변증(津液辨證)
1. 진액휴손증(津液虧損證)
2. 수음내정증(水飮內停證)
3. 수습범람증(水濕泛濫證)
4. 한습증(寒濕證)
5. 습열증(濕熱證)
6. 풍담증(風痰證)
7. 한담증(寒痰證)
8. 열담증(熱痰證)
9. 조담증(燥痰證)
10. 습담증(濕痰證)
11. 담기호결증(痰氣互結證)
제4절 장부변증(臟腑辨證)
1. 오장변증(五臟辨證)
2. 육부변증(六腑辨證)
3. 장부겸병변증(臟腑兼病辨證)
제5절 기항지부변증(奇恒之腑辨證)
1. 뇌와 골수병변증(骨髓病辨證)
2. 맥병변증(脈病辨證)
3. 포궁병변증(胞宮病辨證)
제6절 기타 변증방법
1. 병인변증(病因辨證)
2. 육경변증(六經辨證)
3. 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辨證)
4. 삼초변증(三焦辨證)

제13장 양생
제1절 양생의 기본 원칙
1. 자연의 법칙 - 시간의 리듬에 적응한다
2. 안정된 정신과 심리 상태를 유지한다
3. 적절한 성생활을 한다
4. 신체의 단련을 중요시한다
5. 음식을 적절하게 섭취한다
6. 병사(病邪)의 침해(侵害)를 막는다
제2절 양생의 주요 방법
1. 순시섭양(順時攝養)
2. 조신(調神) 양생
3. 석정(惜精) 양생
4. 음식 양생
5. 전통적인 건강체조법
6. 약물을 통한 양생
7. 추나(推拿)와 침구 양생
8. 체질과 양생

제14장 치료원칙과 치법
제1절 치료원칙
1. 조기치료
2. 치병구본(治病求本)
3. 부정거사(扶正袪邪)
4. 음양 조정(陰陽 調整)
5. 기혈 조리(氣血 調理)
6. 장부 조리(臟腑 調理)
7. 삼인제의(三因制宜)
제2절 치법(治法)
1. 한법(汗法)
2. 토법(吐法)
3. 하법(下法)
4. 화법(和法)
5. 온법(溫法)
6. 청법(淸法)
7. 소법(消法)
8. 보법(補法)

제15장 체질
제1절 체질의 개념
1. 체질의 기본 개념
2. 체질의 구성
3. 체질의 표지
4. 체질의 특성
제2절 체질학설의 형성과 발전
1. 동서고금의 체질론
2. 사상체질의학

제16장 본초
제1절 본초의 품질
1. 본초의 명명
2. 본초의 채집
3. 본초의 포제(炮製)
4. 한약재의 생산과 품질관리 체계
제2절 본초의 효능
1. 사기(四氣)
2. 오미(五味)
3. 승강부침(升降浮沈)
4. 귀경(歸經)
5. 독성(毒性)
제3절 한약의 용법
1. 제량(劑量)
2. 배오(配伍)
3. 용약 금기
4. 한약 달이는 방법과 복용 방법
제4절 상용 본초
1. 해표약(解表藥)
2. 청열약(淸熱藥)
3. 사하약(瀉下藥)
4. 거풍습약(袪風濕藥)
5. 화습약(化濕藥)
6. 이수삼습약(利水渗濕藥)
7. 온리약(溫裏藥)
8. 이기약(理氣藥)
9. 소식약(消食藥)
10. 구충약(驅蟲藥)
11. 지혈약(止血藥)
12. 활혈거어약(活血袪瘀藥)
13.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14. 안신약(安神藥)
15. 평간식풍약(平肝息風藥)
16. 개규약(開竅藥)
17. 보익약(補益藥)
18. 수삽약(收澁藥)
19. 용토약(涌吐藥)
20. 외용약(外用藥)
21. 유용한 웹사이트

제17장 방제
제1절 방제의 조성
1. 조성 원칙
2. 조성 변화
제2절 방제의 용법
1. 상용 제형
2. 탕제 용법
제3절 상용 처방
1. 해표제(解表劑)
2. 청열제(淸熱劑)
3. 온리제(溫裏劑)
4. 사하제(瀉下劑)
5. 화해제(和解劑)
6. 보익제(補益劑)
7. 고삽제(苦澁劑)
8. 안신제(安神劑)
9. 개규제(開竅劑)
10. 이기제(理氣劑)
11. 이혈제(理血劑)
12. 치풍제(治風劑)
13. 거습제(袪濕劑)
14. 거담제(袪痰劑)
15. 소식제(消食劑)
16. 치옹제(治癰劑)

제18장 침구
제1절 수혈
1. 수혈의 분류와 작용
2. 수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제2절 침과 뜸을 놓는 방법
1. 자법(刺法)
2. 뜸(구법, 灸法)
3. 부항
4. 이혈요법(耳穴療法)
제3절 침구치료
1. 침구치료의 작용
2. 침구치료의 원칙
3. 침구배혈처방
4. 특정혈의 응용

일반 색인
인물 색인
문헌 색인
변증 색인 (가나다순)
변증 색인 (분류순)
본초 색인 (가나다순)
본초 색인 (분류순)
처방 색인 (가나다순)
처방 색인 (분류순)

저자소개

최승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1981)하고 같은 대학 한의과대학원에서 석사학위(1983)와 박사학위(1987)를 취득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과(중국철학) 석사과정을 수료(1989)하였다. 주요 활동으로 중화민국 중국의약학원에서 객좌부교수(1989), 중화민국 행정원 국가과학위원회에서 객좌부교수(1990), 중국 국가중의약관리국에서 초청교환교수(199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서태평양지역 전통의학 고문(2003~2008)을 역임한 바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학장으로 재직 중이며, 고증에 바탕을 두고 전통의학 표준화를 향상시키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東醫病理學》 (1991), 《內經病理學》 (1993, 1995 개정판), 《東醫腫瘍學》(1995), 영문《東醫壽世保元: Longevity & Life Preservation in Oriental Medicine》(1996), 《韓方病理學》(1997), 《한의학이야기》(1997), 《難經入門》(1998)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