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91159626227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18-11-28
책 소개
목차
1권 선사~조선후기
제1편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제1장 선사문화의 전개 2
제1절 역사학습의 목적 2
제2절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6
제2장 국가의 형성과 문화 21
제1절 고조선 21
제2절 여러 나라의 성장 28
제2편 고대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의 정치 42
제1절 고대국가의 성립 42
제2절 삼국의 정치적 발전과 항쟁 48
제3절 대외항쟁과 신라의 삼국통일 59
제4절 남북국시대의 정치 변화 64
제5절 삼국과 남북국시대의 통치체제 71
제6절 발 해 83
제2장 고대의 경제 94
제1절 고대의 경제정책 94
제2절 고대의 경제 99
제3절 대외무역의 발달 103
제3장 고대의 사회 106
제1절 신분제사회의 성립 106
제2절 삼국사회의 모습 108
제4장 고대의 문화 112
제1절 고대문화의 성격 112
제2절 사상의 발달 114
제3절 학문과 사상?종교 124
제4절 고대인의 자취와 멋 134
제5절 일본에 건너간 우리 문화 148
제3편 중세사회의 발전
제1장 중세의 정치 166
제1절 중세사회의 성립 166
제2절 통치체제의 정비 174
제3절 문벌귀족의 성립과 동요 188
제4절 대외관계의 전개 196
제5절 고려후기의 정치변동 202
제2장 중세의 경제 209
제1절 경제정책 209
제2절 경제활동 217
제3장 중세의 사회 224
제1절 고려의 신분제도 224
제2절 백성들의 생활모습 233
제4장 중세의 문화 241
제1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의 편찬 241
제2절 불교사상과 신앙 251
제3절 과학기술의 발달 260
제4절 귀족문화의 발달 263
제4편 근세사회의 발전
제1장 근세의 정치 274
제1절 근세사회의 성립과 전개 274
제2절 통치체제의 정비 286
제3절 사림의 대두 306
제4절 조선초기의 대외관계 310
제5절 임진왜란의 극복 316
제2장 근세의 경제 320
제1절 경제정책 320
제2절 경제활동 329
제3장 근세의 사회 338
제1절 양반관료 중심의 사회 338
제2절 사회정책과 사회시설 343
제3절 향촌사회의 조직과 운영 348
제4장 근세의 문화 357
제1절 민족문화의 융성 357
제2절 성리학의 발달 365
제3절 불교와 민간신앙 368
제4절 과학기술의 발달 372
제5절 문학과 예술 378
제5편 근대사회의 태동
제1장 정치상황의 변동 390
제1절 근대의 세계 390
제2절 통치체제의 변화 392
제3절 붕당정치와 조선중기.후기의 정치 395
제4절 정치질서의 변화 414
제5절 대외관계의 변화 417
제2장 경제상황의 변동 421
제1절 수취체제의 개편 421
제2절 서민경제의 발전 429
제3절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437
제3장 사회의 변동 443
제1절 사회구조의 변동 443
제2절 향촌질서의 변화 451
제3절 농민층의 변화 454
제4절 사회변혁의 움직임 457
제4장 문화의 새 기운 469
제1절 성리학의 변화 469
제2절 실학의 발달 474
제3절 과학기술의 발달 493
제4절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496
2권 근현대사
제6편 근대사회의 발전
제1장 근대사회의 전개 512
제1절 1863년 흥선대원군의 집정 512
제2절 1876년 2월 강화도조약과 정부의 동도서기 520
제3절 1882년 6월 임오군란 529
제4절 1884년 10월 갑신정변과 개화당의 개혁운동 534
제5절 1894년 갑오동학운동?갑오개혁?을미개혁 545
제6절 1896년 아관파천과 독립협회 557
제7절 1897년 대한제국과 광무개혁?민중의 저항 563
제8절 1905년 제2차 한?일 협약 573
제2장 국권회복운동 580
제1절 항일의병운동의 전개 580
제2절 애국계몽운동 586
제3장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 592
제1절 개항 이후의 경제 592
제2절 개항 이후의 사회 599
제4장 근대 태동기의 문화 603
제1절 근대문물의 수용 603
제2절 근대교육과 국학연구 608
제3절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613
제7편 민족운동의 전개
제1장 일제의 식민통치 624
제1절 무단통치(헌병경찰통치) 624
제2절 문화통치 631
제3절 민족말살 636
제2장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644
제1절 1910년대 국내의 민족운동 644
제2절 1910년대 국외의 민족운동 648
제3절 3?1 운동 654
제4절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659
제3장 무장독립전쟁의 전개 664
제1절 1920년대(3?1 운동 이후) 국내의 항일민족운동 664
제2절 의열투쟁 665
제3절 1920년대 국외의 무장독립전쟁 669
제4절 1930년대 이후 국외의 무장독립전쟁 672
제4장 사회·경제적 민족운동 683
제1절 민족실력양성운동 683
제2절 사회적 민족운동의 전개 691
제3절 국외 이주 동포의 활동 710
제5장 민족문화 수호운동 712
제1절 국학운동 712
제2절 교육과 종교활동 720
제3절 문학과 예술의 활동 725
제8편 현대사회의 전개
제1장 민주정치의 발전 736
제1절 대한민국의 수립 736
제2절 민주주의의 발전 754
제3절 통일정책 778
제2장 경제성장과 사회 변화 784
제1절 경제성장 784
제2절 사회개혁운동의 전개 789
제3절 북한정권 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