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CentOS 7 예비학교

CentOS 7 예비학교

(예비 인프라 엔지니어를 위한 과외 수업)

후쿠다 카즈히로 (지은이), 이승룡 (옮긴이)
길벗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8,1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CentOS 7 예비학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CentOS 7 예비학교 (예비 인프라 엔지니어를 위한 과외 수업)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91160502886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17-10-27

책 소개

리눅스 서버가 처음인 사람을 위한 CentOS 7 서버 가이드북. 최신 CentOS 7.4 버전을 기준으로 하며, 설치부터 환경 설정, DNS 서버, 메일 서버, FTP 서버, 웹 서버, 미디어 서버 등을 직접 구축하고 관리해본다.

목차

1장 서버 구축에 필요한 기본 지식
1.1 서버를 설치하고 할 수 있는 일
____1.1.1 서버 구축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는 CentOS뿐!
1.2 네트워크 기초 지식 익히기
____1.2.1 서버 설치 장소와 회선
____1.2.2 LAN 설정하기
____1.2.3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하기
____1.2.4 인터넷에 서버 공개 준비하기
1.3 서버를 외부 공개할 때 주의할 점
____1.3.1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는 서버
____1.3.2 암호 설정에 주의하자
____1.3.3 통신 내용 암호화로 보안 강화하기
____1.3.4 피해 정보를 최대한 빨리 발견하자

2장 CentOS 7 설치 및 환경 설정하기
2.1 CentOS 설치 미디어 만들기
____2.1.1 CentOS 설치 이미지
____2.1.2 CentOS 패키지 설치 및 업데이트하기
____2.1.3 CentOS 설치 환경
____2.1.4 DVD ISO 파일 내려받아 설치 DVD 만들기
____2.1.5 USB 메모리 설치 미디어 만들기
____2.1.6 CentOS 6에서 업그레이드하기
2.2 CentOS 설치 서버 준비하기
____2.2.1 CentOS 7 설치 방법
2.3 CentOS 설치 환경 설정하기
____2.3.1 설치 미디어로 부팅하는 방법
____2.3.2 광학 드라이브로 부팅하게 BIOS와 UEFI의 설정 변경하기
____2.3.3 부팅 장치 선택 메뉴에서 광학 드라이브로 부팅하는 방법
2.4 CentOS 7 설치하기
____2.4.1 CentOS 7을 DVD로 설치하기
2.5 문제 해결 방법
____2.5.1 CentOS 7이 시작되지 않을 때
____2.5.2 설치 미디어에서 부팅됐을 때
____2.5.3 설치 DVD 확인하기

3장 리눅스 기본 지식과 사용법
3.1 GUI 환경과 콘솔 환경
____3.1.1 GUI 환경
____3.1.2 CUI 환경
3.2 로그인/로그아웃과 시스템 종료 방법
____3.2.1 CentOS 7 시작하기
____3.2.2 사용자 로그인하기
____3.2.3 로그아웃하기
____3.2.4 재시작 및 종료하기
____3.2.5 데스크톱 사용하기
3.3 콘솔 명령어 사용법과 root(관리자) 권한
____3.3.1 콘솔 명령어를 사용하는 환경
____3.3.2 콘솔 명령어 실행
____3.3.3 편리한 콘솔 명령어 기능
____3.3.4 관리자(root) 권한으로 명령 실행하기
3.4 텍스트 편집기 사용하기
____3.4.1 텍스트 파일 편집하기
____3.4.2 root(관리자) 권한으로 텍스트 편집기 실행하기
3.5 패키지 관리하기
____3.5.1 패키지 관리 시스템 Yum
____3.5.2 GUI 도구로 패키지 관리하기
____3.5.3 GUI 도구에서 패키지 업데이트(수정)하기
____3.5.4 명령어로 패키지 관리하기
____3.5.5 콘솔 명령어로 패키지 자동 업데이트하기
3.6 사용자 관리하기
____3.6.1 GUI 사용자 설정 도구
____3.6.2 콘솔 명령어로 사용자 관리하기
3.7 서비스 관리하기
____3.7.1 서비스란?
____3.7.2 서비스 정보 확인
____3.7.3 서비스 시작, 중지, 재시작하기
____3.7.4 서비스 활성화와 비활성화
3.8 사용자 또는 그룹 접근 권한 관리하기
____3.8.1 사용자와 그룹
____3.8.2 접근 제어

4장 스토리지 관리하기
4.1 리눅스 파일시스템과 스토리지
____4.1.1 파일시스템과 스토리지
____4.1.2 스토리지 트리 구조
____4.1.3 마운트와 언마운트
____4.1.4 장치 파일
____4.1.5 mount 명령어로 장치 마운트하기
____4.1.6 데스크톱 환경에서 스토리지 사용하기
____4.1.7 광학 디스크, SD 카드 마운트하기
____4.1.8 USB 메모리 마운트하기
____4.1.9 하드 디스크 마운트하기
____4.1.10 이미지 파일(ISO) 마운트하기
____4.1.11 옵션을 붙여 마운트하기
____4.1.12 umount 명령어(언마운트)
____4.1.13 파일시스템 설정(/etc/fstab)
____4.1.14 장치 파일이 바뀌는 장치를 마운트하기
4.2 파일 크기와 디스크 용량
____4.2.1 스토리지와 디렉터리 크기 확인하기
____4.2.2 파일 크기 확인하기
____4.2.3 디렉터리 크기 확인하기
____4.2.4 디스크 용량 확인하기
4.3 디스크 관리하기
____4.3.1 스토리지 포맷과 파일시스템
____4.3.2 mkfs 명령어로 파일시스템 구축하기
____4.3.3 파티션 설정하기
____4.3.4 LVM
____4.3.5 LVM 상태 확인하기
____4.3.6 하드 디스크 추가하기
4.4 RAID
____4.4.1 RAID란?
____4.4.2 RAID의 종류
____4.4.3 RAID의 구성
____4.4.4 RAID 이용 명령어
____4.4.5 RAID 1 디스크 구축하기
____4.4.6 RAID 5 디스크 구축하기
____4.4.7 RAID에 스페어 추가하기
____4.4.8 RAID 상황 통지하기

5장 네트워크 설정하기
5.1 서버 운영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하기
____5.1.1 고정 IP를 설정하여 서버를 운영해야 한다
____5.1.2 네트워크 관리자로 네트워크 설정하기
____5.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하기
____5.1.4 네트워크 설정하기
____5.1.5 명령어로 네트워크 관리하기
5.2 동적 DNS로 도메인 설정하기
____5.2.1 동적 DNS 서비스
____5.2.2 동적 DNS 서비스에 등록하기
____5.2.3 호스트 이름 변경하기
____5.2.4 자동으로 IP 주소 업데이트하기
____5.2.5 나만의 도메인 사용하기
5.3 인터넷 공유기 설정하기
____5.3.1 서버를 인터넷에 공개하기
____5.3.2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한 포트 포워딩

6장 DNS 서버 구축하기
6.1 DNS 서버란?
____6.1.1 DNS에서 이름 해석이란?
____6.1.2 DNS의 동작 원리
6.2 DNS 서버 구축하기
____6.2.1 LAN 전용 DNS 서버 운영 시 장점
____6.2.2 내부 DNS 서버의 동작
____6.2.3 집 내부의 LAN 네트워크 구성하기
6.3 BIND 설치하기
____6.3.1 BIND 설치하기
____6.3.2 BIND 설정하기
____6.3.3 named 서비스 활성화하기
____6.3.4 방화벽 설정 변경하기
____6.3.5 네트워크 설정 변경하기
____6.3.6 BIND 동작 확인하기
6.4 클라이언트 설정 변경하기
____6.4.1 윈도 10 설정하기

7장 파일과 프린터 공유하기
7.1 파일 공유 서버 설치 및 설정하기
____7.1.1 윈도 파일 공유와 상호 호환되는 Samba
____7.1.2 Samba 설치하기
____7.1.3 Samba 기본 설정
____7.1.4 Samba 서비스 활성화하기
____7.1.5 방화벽과 SELinux 설정하기
____7.1.6 윈도에서 Samba 서버에 접속하기
____7.1.7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디렉터리 설정하기
7.2 프린터 공유하기
____7.2.1 CentOS 7에서 프린터 사용하기
____7.2.2 CUPS 서비스 활성화하기
____7.2.3 프린터 연결하기
____7.2.4 웹 브라우저로 프린터 추가하기
____7.2.5 Samba로 프린터 공유하기
____7.2.6 인쇄 대기열 관리하기

8장 원격으로 서버 관리하기
8.1 SSH 서버
____8.1.1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관리하기
____8.1.2 안전한 원격 접속을 위한 SSH
8.2 OpenSSH 설치 및 설정하기
____8.2.1 SSH 서비스 활성화하기
____8.2.2 접속 테스트와 보안 설정 변경하기
____8.2.3 SSH를 통해 root로 로그인할 수 없게 설정하기
8.3 SSH 기본 사용법
____8.3.1 SSH로 파일 전송하기
____8.3.2 윈도에서 SSH 접속하기
____8.3.3 파일 전송용 SSH 클라이언트 WinSCP
8.4 키 교환 방식 인증
____8.4.1 암호를 사용하는 인증은 위험을 동반한다
____8.4.2 키 교환 방식 인증
____8.4.3 공개키와 비밀키 생성하기
____8.4.4 WinSCP용 비밀키 생성하기
____8.4.5 공개키를 서버에 저장하기
____8.4.6 키 교환 방식으로 원격 로그인하기
____8.4.7 암호 인증 비활성화하기

9장 FTP 서버 구축하기
9.1 FTP 서버 설치 및 설정하기
____9.1.1 FTP 서버
____9.1.2 FTP 서버 설치
9.2 FTP 서버 접속하기
____9.2.1 ftp 명령어를 사용하여 접속하기
____9.2.2 윈도 시스템에서 접속하기
____9.2.3 Anonymous FTP 이용하기

10장 메일 서버 구축하기
10.1 메일 서버 설치 및 설정하기
____10.1.1 메일 전송 원리
____10.1.2 메일 서버 패키지 설치하기
____10.1.3 SMTP 서버의 문제와 해결 방법
____10.1.4 방화벽 설치하기
____10.1.5 Postfix 설정하기
____10.1.6 메일 서비스 활성화하기
10.2 메일 송수신 테스트하기
____10.2.1 Thunderbird 설치하기
____10.2.2 메일 송수신 테스트하기
10.3 OP25B 지원
____10.3.1 ISP의 스팸 메일 방지 대책 OP25B
____10.3.2 ISP 메일 서버를 경유하게 설정하기
____10.3.3 SMTP 대체 포트 준비

11장 웹 서버 구축하기
11.1 웹 서버 설치 및 설정하기
____11.1.1 웹 서버란?
____11.1.2 웹 서버 설치하기
____11.1.3 웹 서버 설정하기
____11.1.4 웹 서버 시작하기
____11.1.5 테스트와 보안 설정하기
____11.1.6 디렉터리 설정 추가하기
11.2 사용자 홈페이지 구성하기
____11.2.1 사용자별 공개 디렉터리 설정하기
____11.2.2 디렉터리를 설정하고 웹 페이지 작성하기
11.3 사용자 인증 기능 설정하기
____11.3.1 사용자 인증 설정
____11.3.2 설정 파일의 변경과 디렉터리 생성
____11.3.3 암호 파일 작성하기
11.4 SSL 암호화 및 보안 인증서 발급하기
____11.4.1 암호화 통신 설정으로 안정성 높이기
____11.4.2 보안 인증서로 안전성 유지하기
____11.4.3 보안 인증서 설정하기
____11.4.4 Let’s Encrypt 보안 인증서

12장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하기
12.1 데이터베이스 설치 및 설정하기
____12.1.1 데이터베이스란?
____12.1.2 MariaDB 설치 및 설정하기
____12.1.3 데이터베이스 접속하기
12.2 데이터베이스 기본 사용법
____12.2.1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SQL
____12.2.2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기
____12.2.3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삭제하기
____12.2.4 사용자 관리하기
____12.2.5 테이블 관리하기
____12.2.6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13장 웹 애플리케이션 설치하기
13.1 블로그 설치하기
____13.1.1 웹 서버에서 프로그램 실행하기
____13.1.2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____13.1.3 블로그 관리하기
13.2 웹 메일 설치하기
____13.2.1 웹 메일이란?
____13.2.2 웹 메일을 설치하기 전에
____13.2.3 웹 서버 설정하기
____13.2.4 웹 메일 설정하기
____13.2.5 웹 메일 접속하기

14장 온라인 저장소와 미디어 서버 구축하기
14.1 드롭박스로 파일 공유하기
____14.1.1 드롭박스와 CentOS 동기화하기
____14.1.2 드롭박스 자동 동기화
14.2 온라인 저장소 설치하기
____14.2.1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저장소 프로그램 ownCloud
____14.2.2 ownCloud 설치 및 설정하기
____14.2.3 파일 관리자로 ownCloud 파일 관리하기
14.3 DLNA 서버 구축하기
____14.3.1 DLNA

저자소개

후쿠다 카즈히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식회사 히간(飛雁)의 대표이사. 공학원대학대학원 전기공학 전공 석사 과정 졸업. 대학 시절 전자물성을 배웠고 학생 시절 했던 잡지사 아르바이트를 계기로 작가가 됐다. 현재는 주로 리눅스, 스마트폰, 전자 공작 관련 기사와 기업용 매뉴얼을 집필하고 네트워크 구축과 교육용 콘텐츠 제작에 관련된 글을 작성한다. 또한 예술가와 함께 작품에 전자 공작을 넣는 시도도 하고 있다. '삿포로 전자 공예부'를 운영해 수개월 동안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만드는 것에 흥미가 있는 회원을 모집하고 있다.
펼치기
이승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컨트리뷰터이자 아파치 재단의 커미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확산에도 관심이 많으며 오픈 플랫폼 개발자 커뮤니티(OPDC)에서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에반젤리스트로도 활동합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