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0681048
· 쪽수 : 285쪽
· 출판일 : 2017-06-20
책 소개
목차
1부┃안중근과 독립운동
◆ 안중근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활동
1. 머리말
2. 국채보상운동의 발단과 전개
3. 안중근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활동
4. 맺음말
◆ 안중근 국내에서 계몽활동과 역사적 성격
1. 머리말
2. 현실인식 심화와 민족의식 형성
3. 민족의식 앙양을 위한 교육·계몽활동
4. 진남포지역 국채보상운동을 견인
5. 동지들과 민족운동사상 성격
6. 맺음말
◆ 안중근의 동의회 조직과 의병활동
1. 서언
2. 안중근과 동의회
3. 斷指同盟과 안중근
4. 안중근과 전명운
5. 결어
◆ 안중근의 동양평화사상의 재조명
1. 안중근 像의 재구축
2. 「동양평화론」의 제기 과정
3. 「동양평화론」의 성격
4. 多者主義와 共同事業
5. 일본에 대한 기대
◆ 한국의 안중근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들어가는 말
2. 십자가총알설과 의거성공·감사 기도설
3.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사망 일시 안중근 사형집행설과 안우생 독살설
4. 수의(壽衣) 모친 제작설과 유묵·사진 위설(僞說)
5. 유언 검토
5. 맺음말
◆ 獄中肉筆을 통한 安重根 思想의 一斷
1. 安重根의 ‘東洋平和論’
2. 安重根의 獄中肉筆
3. 安重根의 꿈
2부┃안중근과 천주교
◆ 유학적 소양과 신앙에 바탕을 둔 안중근의사의 생애와 사상
1. 머리말
2. 유학적 소양에 바탕을 둔 안중근의사의 유묵
3. 가톨릭신앙에 바탕을 둔 안중근의사의 행적
4. 맺음말
◆ 안중근의 가톨릭 신앙
1. 머리말
2. 天命 인식과 人權 사상
3. 德의 실천과 人權 운동
4. 맺음말
◆ 중국 및 중국 천주교회의 안중근 인식
1. 들어가는 말
2. 하얼빈의거에 대한 시각
3. 안중근에 대한 역사적 시각
4. 안중근에 대한 오늘의 시각
5. 맺음말
◆ 일본 및 일본천주교회의 안중근 인식
1. 서론
2. 일본의 안중근 연구개요
3. 일본천주교회의 안중근 인식
4. 맺음말
◆ 안중근 토마스의 죽임과 죽음에 대한 이해
1. 시작하면서
2. 안중근과 유딧의 살해
3. 안중근과 일곱 아들과 어머니의 죽음과 증거
4. 안중근이 하느님의 종이라 불릴 수 있는 이유
5. 맺으면서
◆ 일제강점기의 안중근傳記들에 기술된 안중근의거와 천주교신앙
1. 머리말
2. 그리스도교인 저술의 안중근전기
3. 김택영·박은식 저술의 안중근전기
4. 박은식 저술 안중근전기의 變形轉載
5. 맺음말
◆ 대구가톨릭대학교 안중근연구소 연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