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문헌정보학
· ISBN : 979116068303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9-10-31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5
감사의 말 7
들어가며 17
1. 의회기록의 중요성 18
2. 의회기록컬렉션 표준의 역사적 배경 20
3. 의회기록컬렉션의 도전 과제 23
제1장 권유 또는 기증으로 의회기록컬렉션 수집하기 29
1. 의회기록컬렉션 수집 기준 30
▪국가적 또는 국제적 현장에서의 의원의 업적 31
▪의원과 선거구 간의 관계 32
▪내용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33
▪관리 능력(manage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35
2. 의회기록보존소 모델 37
▪관리 기준 38
▪기록보존소를 위한 체크리스트 모델 40
▪기증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모델 42
제2장 의회기록컬렉션의 관리 47
1. 비용, 공간, 인력, 예산의 산출 48
▪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50
2. 지속가능성과 외부 기금원 51
▪기금 옵션 51
3. 수집 54
▪기관의 책임 55
▪초기 작업 55
▪의원의 편익 56
▪기록보존소의 편익 57
4. 접근(ACCESS) 58
▪일반적인 접근제한 61
5. 기증서 63
▪기증서의 필수 구성요소 65
6. 위탁증서 72
7. 대출 74
8. 구술기록 75
9. 기증자와의 관계 유지 77
제3장 기록의 이관 79
1. 이관 계획 수립 80
▪수집기록 이관 계획 수립을 위한 일정표 82
▪갑작스러운 이관 계획 85
▪의원실 방문 목적 86
▪기록보존소에서의 준비 과제 88
▪이관 시 유의사항 89
2. 비용절감 전략 91
3. 전자기록 94
▪의원실에 필요한 질문 목록 94
4. 박물류와 기념품류 97
제4장 의회기록컬렉션의 업무 처리 101
1. 업무 처리(processing) 계획 수립 102
▪전체 예산과 인력 수요가 어느 정도인가? 103
▪업무 처리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104
▪컬렉션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가? 104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경과 보고를 할 것인가? 105
2. 컬렉션의 물리적 통제 106
▪초기 단계 106
▪특수 자료 취급 지침 108
3. 업무 처리 과정 112
▪컬렉션을 언제 처리하는가? 112
▪업무 처리 수준 113
▪표본 추출 117
4. 평가 결정 117
▪의원의 개인적, 정치적 기록들 118
▪입법 관련 기록 119
▪선거구 활동 120
▪언론 및 미디어 활동 120
▪행정 기록철 121
5. 평가 결정을 위한 속성 점검사항 목록 122
6. 비밀분류, 비밀해제, 재분류 123
제5장 참고서비스와 확장서비스 125
1. 기술 실무(description practice)와 접근 도구 126
▪관리 정보에 대한 검색 도구 127
▪기술 정보에 관한 검색도구 128
▪컬렉션의 홍보 129
▪컬렉션의 등록(registering) 130
2. 참고서비스와 연구지원 131
3. 전시와 확장서비스 132
▪전시 이슈 134
▪확장서비스 계획(initiatives) 135
부록 139
부록 A 의회기록컬렉션 관리의 발전 연표 140
부록 B 전문 네트워크와 지원 148
부록 C 기증서 예시 152
부록 D 의원실 보좌직원 목록 155
부록 E 기록철 처분(disposition)을 위한 지침 160
부록 F 자주 묻는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FAQs) 185
부록 G 참고문헌: 선별 목록 196
부록 H 제110차 미 의회 2회기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