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북아 공존공영(共存共榮)의 新GTI구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60687538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2-11-1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60687538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유엔헌장을 바탕으로 하는 GTI 공동협력 정신을 재조명하고, 동북아 각국의 GTI 참여전략을 통해 동북아 국가 간 경제협력 의지가 충만해 있다는 논거를 제시한다. 또한 GTI 회원국 주도의 북방경제공동체 건설, 아세안공동체 조력 등 지역주의 사례 분석을 통해 동북아경제통합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
목차
발간사(연변대학조선한국연구중심 주임 박찬규)
서문
제1장 GTI 추진현황 및 특징
1. 추진현황 및 특징
가. 추진배경
나. 제1단계, TRADP 출범
다. 제2단계, TRADP 실행
라. 제3단계, GTI
2. 국별 추진전략
가. 중국
나. 한국
다. 북한
라. 러시아
마. 몽골
바. 일본
사. GTI틀 안에서 협력 시스템 미구축
3. 국가적 관심도
가. 국가 정상
나. 중러총리 정기회의
4. GTI 빛과 그림자
제2장 지역주의와 지방의 글로벌화 조류
1. 지역주의(regionalism) 확산
가. 지역주의
나. 지역주의 추세
2. 북방경제공동체 추진
가.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나. 중몽러경제회랑
다. 시사점
3. 아세안공동체 조력(助力)
가. 란창강-메콩강협력(LMC)
나. 시사점
4. 글로벌 시대 신성장 동력 지방
가. 지방, 글로벌 시대 주역으로 등장
나. 동북아 지방정부 간 양·다자회의체 활성화
다. 글로벌 시대의 동반자, 지방정부
제3장 동북아 공존공영(共存共榮)의 신(新)GTI 구상
1. 동북아 경제협력과 GTI
가. 동북아 경제협력의 흐름
나. GTI 필요성
다. GTI 위기와 기회
2. 신(新)GTI 구상
가. GTI에 특화된 전략목표
나. 10대 중점과제
3. 맺는말
참고문헌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