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91160686234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10-24
책 소개
목차
발간사(연변대학조선한국연구중심 주임 박찬규)
치사(연변대학교 총장 김웅)
축사(대한민국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이광재)
축사(세계한인상공인총연합회장·GTI국제무역투자박람회 조직위원장·일본 마루한 그룹 회장 한창우)
축사(중화인민공화국 제11기 전국인대 상무위원 김석인 박사)
축사(포스코경영연구원 대표이사 원장 고준형)
서문
제1장 광역두만강협력 30년 회고와 과제
1. 지리적 여건
2. 추진배경
가. 중국 두만강 출해권 회복
나. 두만강 지역 국제사회 주목
3. 광역두만강협력 흐름
가. UNDP 동북아 지역협력 프로그램 확정
나. 두만강지역개발계획(TRADP)
다. 광역두만강협력(GTI)
4. UNDP 동북아 지역협력 프로그램 확정
가. UNDP와 동북아 경제발전 국제학술 세미나
나. 제1차 동북아 소지역개발 조정관회의
다. 두만강 지역 현지조사연구 실시
라. 제2차 동북아 소지역개발 조정관회의
마. UNDP, “두만강지역개발구상” 발표
5. TRADP 실행계획 확정을 위한 PMC 활동
가. 제1차 PMC 회의
나. 제2차 PMC 회의
다. 제3차 PMC 회의
라. UNDP, 뉴욕 실무회의 소집
마. 제4차 PMC 회의
바. 제5차 PMC 회의
사. 제6차 PMC 회의
아. 소고(小考)
6. 두만강지역개발계획(TRADP) 추진실태
가. TRADP 개요
나. TRADP 총회 개최현황
다. 소고(小考)
7. 광역두만강협력(GTI)
가. 개요
나. 전략실행계획(SAP2021년-2024년)
다. GTI 총회 개최현황
라. 소고(小考)
8. 평가와 과제
가. 평가
나. 과제
제2장 아시아 소지역 다자협력 사례와 시사점
1. 광역메콩강지역경제협력(GMS)
2. 란창강-메콩강협력(LMC)
3. 중몽러경제회랑
4. 동북아 지방정부 간 국제교류 실태
5. 동북아 지방정부 지사·성장회의(GCONA)
6. 동북아지역자치단체연합(NEAR)
7. 시사점
제3장 발전방향
1. GTI 메커니즘 혁신
가. 전면적 교류협력 시스템 구축
나. 추진기구 확대
2. 공동의 목표와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추진
가. 동북아경제통합 기반 마련
나. 국가와 지방 간 역할 분담
다. 공동협력 사업의 핵심 “초국경 협력”
라. 민간교류 협력기반 구축
3. 남북철도 연결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4. 각국의 대외정책과 전략적 연계협력
5. 북한 GTI 복귀와 일본 참여유도
가. 북한 GTI 선(先)복귀
나. 일본 서해안 지방정부와 실질적 협력 강화
6. 합리적인 재원조달
가. 사무국 유치 공모를 통한 운영비 확보
나. 이익향유 재원부담제 운영
다. 우대정책을 통한 자체개발 활성화
라. GTI 핵심사업 공모제 운영
마. 국제금융기구와 협력시스템 구축
7. 평화와 번영의 한 마당 축제“GTI 총회”
8. 맺는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