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교육학
· ISBN : 9791162668474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9-03-2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교육의 기초
01 교육학과 교육학 영역
02 교육의 정의 및 정의 방식
03 교육의 준거와 유사개념
04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인간발달의 관점
05 교육목적의 의미, 유형, 기능
06 인성교육의 의미, 원리, 문제의 원인과 방안
07 영재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및 방안
Chapter 2 한국교육사
01 교육사의 영역 개관
02 중국교육의 특징과 우리 교육에 미친 영향
03 삼국, 고려와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
04 개화기와 일제시대, 해방 이후 교육
Chapter 3 서양교육사
01 서양교육사 개관
02 고대 그리스 자유교육과 사상가
03 중세교육의 특징
04 인문주의 교육과 종교개혁
05 실학주의 교육
06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교육
07 국민교육체제의 성립과 발달
08 신인문주의 교육과 교육사상가
Chapter 4 교육철학
01 교육철학의 의미와 성격
02 형이상학과 지식의 종류
03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04 실증주의, 현상학과 해석학
05 실존주의
06 비판이론
07 구조주의와 신구조주의
08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과 교육적 관점
09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생태주의와 홀리스틱
10 지식기반사회와 교육
Chapter 5 교육사회학
01 교육사회학의 의미와 이론 개관
02 기능론(기능주의)과 교육
03 갈등론과 교육
04 신교육사회학
05 저항이론과 해석학적 접근
06 교육격차이론과 교육평등관
07 학력상승이론과 학교팽창이론
08 공교육의 이념과 해결방안, 학교개혁
09 평생교육과 성인교육, 학습조직
chapter 6 교육과정(학)
01 교육과정의 의미와 학습영역
02 교육과정의 유형
03 교육내용에 따른 교육과정 유형
04 교육과정 이론과 전통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Ⅰ)
05 경성주의 교육과정 개발모형(Ⅱ)
06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교육과정 개발모형(Ⅲ)
07 교육과정 구성요소와 구성절차
08 교육과정 평가모형: 목표도달과 가치판단모형(Ⅰ)
09 교육과정 평가모형: 전문가판단, 의사결정모형(Ⅱ)
10 2015 개정 교육과정
Chapter 7 교육심리학
01 교육심리학의 의미와 영역
02 발달의 의미와 발달과업, 유사개념
03 지능이론
04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05 성공지능과 정서지능
06 창의성
07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08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09 신피아제(Case)의 인지발달이론, 인지양식
10 도덕성 발달이론
11 성격발달과 정체성 지위이론
12 동기이론
13 동기유발 전략과 자아개념과 자성예언
14 학습이론
15 스키너의 작동적 조건화설
16 행동수정이론
17 사회인지학습이론과 인지주의
18 정보처리이론
19 학습이론 종합
20 학습의 전이이론
21 방어기제 Chapter 8 교수-학습이론
01 학습, 교수-학습이론과 지도원리
02 롸이겔루스와 메릴의 교수의 조건
03 교수-학습의 조건(캐롤, 블룸, 스키너)
04 오스벨(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
05 가네의 학습조건이론
06 메릴(Mer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CDT)
07 롸이겔루스(Reigeluth)의 교수정교화이론
08 켈러(Keller)의 동기설계 모형
09 글레이저(Glaser) 모형과 수업의 구성요소
10 구안법과 자기주도적 학습,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특징
11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
12 협동학습의 의미와 장.단점, 모형
chapter 9 교육공학
01 교육공학의 의미와 유형, 이론적 근거
02 체제적 수업설계 모형
03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04 교수매체의 효과적 활용 모형
05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
06 인터넷 활용수업
07 멀티미디어의 의미 및 장·단점, 원격교육
chapter 10 교육평가 및 교육통계 및 교육연구
01 교육평가의 의미와 평가시기에 따른 유형
02 참조준거에 의한 교육평가와 대안적 평가
03 교육평가의 절차: 교육목표 설정
04 정의적 영역의 평가, 평정상의 오류와 해결방안
05 평가도구의 양호도
06 평가문항의 제작과 문항분석
07 교육통계, 집중경향치와 변산도, 표준점수
08 교육연구
chapter 11 생활지도와 상담
01 생활지도의 영역, 상담의 조건, 비행이론
02 상담이론 개관과 인지적 상담이론
03 정의적 상담이론
04 형태주의와 현실치료적 상담이론
05 행동주의 상담이론과 집단상담(지도)
06 진로교육과 진로발달이론
chapter 12 교육행정학
01 교육행정의 정의, 특성, 원리
02 교육행정이론의 발달과정
03 정책결정과 교육기획의 의미와 정책결정모형
04 조직이론
05 동기부여의 의미와 동기이론: 내용이론
06 동기이론: 과정이론
07 지도성이론: 특성론과 행위론
08 지도성이론: 상황적 지도성이론
09 지도성이론: 최근 지도성이론
10 장학의 종류
11 학교단위 책임경영제(SBM)
[부록] 2019~2014학년도
교육학 논술 기출문제 및 모범답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