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가정학
· ISBN : 9791163286943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5-07-25
책 소개
가족이 이런 특성을 지니므로, 가족을 다루는 사회정책 분야인 ‘가족정책’은 범위가 넓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가족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지 않고, 가족정책의 범위에 대해서도 의견이 완전히 일치하고 있지 않다. 이런 탓에, 가족정책의 정의와 범위는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몇 년 전에 가족정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가족정책론』(제1판)을 세상에 내보낸 바 있다. 이 책은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세월이 흘러서, 이번에 개정판(제2판)을 새로운 출판사에서 펴내게 되었다.
이번 판에서는 이전 판의 내용을 많이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그리고 더 쉽고 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도 많이 수정하였다.
목차
Part 01 가족정책과 가족에 대한 일반적 측면
Chapter 01 가족정책의 정의와 목적 및 특징과 주체
1. 사회정책과 가족정책의 관련성과 정의
2. 가족정책의 필요성과 목적
3. 가족정책의 중요성과 특징
4. 가족정책의 형태
5. 가족정책의 주체
6. 가족정책의 대상과 급여 형태
7. 가족정책의 경향
Chapter 02 가족의 정의와 역할 및 형태와 관점
1. 가족의 정의 및 관련 용어
2. 가족의 중요성과 특징
3. 가족의 역할
4. 가족의 형태
5. 가족과 관련된 경향
6. 가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관점
Chapter 03 가족정책에 대한 모델
1. 가족정책 모델의 정의와 배경
2. 가족정책 모델의 구분
3. 가족정책 모델에 대한 정리와 고려할 점
Part 02 가족정책의 주요한 요소
Chapter 04 부모휴가와 가족정책
1. 부모휴가와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부모휴가의 정의
3. 부모휴가의 대상과 내용
4. 부모휴가의 형태
5. 아버지를 위한 부모휴가
6. 부모휴가의 영향
7. 부모휴가의 진전과 현황
8. 부모휴가와 관련된 가족정책 방안
Chapter 05 보육과 가족정책
1. 보육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보육의 정의와 목적
3. 보육의 중요성
4. 보육의 역사
5. 보육시설의 형태와 보육의 공공성
6. 보육의 영향
7. 보육과 관련된 가족정책 방안
Part 03 취약한 가족과 가족정책
Chapter 06 빈곤가족과 가족정책
1. 빈곤가족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빈곤과 빈곤가족의 정의
3. 빈곤가족의 등장 원인
4. 빈곤이 빈곤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5. 빈곤가족을 위한 제도
6. 빈곤가족을 위한 가족정책 방안
Chapter 07 한부모가족과 가족정책
1. 한부모가족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한부모와 한부모가족의 정의
3. 한부모가족의 형태와 등장 상황
4. 한부모가족의 현황
5. 한부모가족의 어려운 점
6. 한부모가족과 관련해 고려할 점
7. 한부모가족을 위한 가족정책 방안
Chapter 08 다문화가족과 가족정책
1.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다문화와 다문화가족의 정의
3. 다문화 가족정책의 정의와 목적 및 특징
4. 다문화주의
5. 다문화가족의 형태
6. 다문화가족의 현황과 장점
7. 다문화가족의 어려운 점
8. 다문화와 관련된 가족정책 방안
Part 04 가족불안정과 가족정책
Chapter 09 가정폭력과 가족정책
1. 가정폭력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가정폭력의 정의
3. 가정폭력의 형태
4.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가정폭력의 현황
5. 가정폭력을 유발하는 요인
6. 가정폭력의 영향
7. 가정폭력의 예방
8. 가정폭력과 관련된 가족정책 방안
Chapter 10 이혼과 가족정책
1. 이혼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이혼의 정의와 형태
3. 이혼을 유발하는 요인과 이혼 증가의 이유
4. 이혼의 영향
5. 이혼과 관련해 고려할 점
6. 가족과 관련된 전문가의 역할
7. 이혼과 관련된 가족정책 방안
Part 05 가족정책의 폭넓은 측면
Chapter 11 가족수당과 가족정책
1. 가족수당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가족수당의 정의
3. 가족수당의 목적
4. 가족수당의 중요성
5. 가족수당의 진전과 현황
6. 가족수당의 대상과 형태 및 운영과 재정
Chapter 12 사업장과 가족정책
1. 사업장과 관련된 가족정책의 필요성
2. 사업장의 가족친화적 정책
3.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근로자의 상황
4.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근로자를 위한 제도
5. 사업장과 관련된 가족전문가의 필요성과 역할 및 가족전문가 제도의 중요성
6. 사업장과 관련된 가족친화적 정책 방안
Chapter 13 북유럽의 가족정책
1. 북유럽의 가족정책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2. 북유럽 복지국가의 형태와 특징
3. 북유럽의 가족과 가족정책의 특징
4. 북유럽의 가족정책의 영역별 내용
5. 북유럽의 가족정책과 관련해 고려할 점
6. 북유럽의 가족정책에 대한 비판과 과제
7. 북유럽의 가족정책이 주는 교훈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