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63722052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3-07-30
책 소개
목차
1장 생산 동향
제1절 전체 과일 생산 동향
제2절 주요 품목 주산지별 생산 및 용도별 출하 동향
1. 온주 밀감
2. 사과
3. 포도
4. 배
5. 복숭아
6. 감
제3절 주요 품목 지역별 브랜드 형성
제2장 과일 소비변화와 가공 동향
제1절 가계의 과일 소비
1. 1인당 과일 소비 동향
2. 신선과일 가계소비 변화
제2절 신선과일 및 과일 가공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 행동
1. 신선과일에 대한 소비자 행동
2. 과일 가공품에 대한 소비자 행동
제3절 과일 가공 동향
1. 가공 정책 방향
2. 종래의 가공품 가공 동향
3. 새로운 가공품 조각과일(cut fruits)-
제3장 과수 농업 구조개혁과 주산지 모델경영
제1절 과수 농업진흥 기본방침
1. 식료농업농촌 기본계획에서 설정한 과수 농업정책
2. 과수 농업진흥 기본방침
제2절 과수 농업 구조개혁
1. 구조개혁 계획의 책정과 승인
2. 중앙과실협회를 통한 구조개혁
3. 구조개혁에 관련된 정부 보조사업
4. 구조개혁에 관련된 예산 및 보조금 지원
제3절 6대 품목 주산지별 모델경영 지표
1. 온주 밀감
2. 사과
3. 포도
4. 배
5. 복숭아
6. 감
제4장 국내 수요확대 정책
제1절 과일 200g 운동 캠페인과 소비자의 과일에 대한 인식
제2절 학교 식육(食育) 교육에 의한 수요확대
1. 학교급식 시장규모
2. 학교 식육(食育) 교육
3. 지산지소 정책과 학교급식
4. 학교급식과 과일
5. 지방자치단체의 학교급식 과일 지원사례
6. 학교급식을 통한 식육 교육의 의의
제5장 해외시장 확대전략
제1절 환태평양자유무역협정
(Trans Pacific Partnership Agreement)
1. 일본의 TPP 참가 경위 및 의의
2. TPP 및 CPTPP의 과일 수입개방과 국내 과일 생산에 미치는 영향
제2절 일본의 과일 수입 동향과 FTA
1. 과일 및 과일 가공품 수입 동향
2. 신선과일 수입 동향 및 FTA에 의한 변화
제3절 전략적 해외시장 확대정책
1. 해외시장 확대전략
2. 수출상대국의 식물검역규제에 대한 과일 산지 지원
3.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시장 집중과 현지시장에서 위상
제4절 아오모리현 사과 수출 경험과 품목별 단체 조직화
제6장 일본의 과일 유통체계와 유통단계별 한일 가격 비교
제1절 전형적인 과일(청과물) 유통체계 형성과정
1. 농민단체에 의한 산지유통 형성
2. 중앙도매시장 정책에 의한 도매유통 형성
3. 전시 농산물 유통통제와 현행 유통체계 확립
제2절 산지유통 및 도매유통 동향
1. 산지유통 동향
2. 도매유통 동향
제3절 유통단계별 유통비용 밀감, 사과-
1. 전체 유통과정의 유통비용 구성
2. 산지 유통비용 집출하단체 유통비용-
3. 소비지 유통비용 중도매업체와 소매업체 유통비용-
제4절 전형적인 유통경로를 거치지 않는 과일 유통
1. 6차 산업화에 의한 유통
2. 실수요자에게 직접출하(직판)
제5절 유통단계별 한일 가격 비교
1. 농가판매가격 비교
2. 도매가격 비교
3. 소비자가격 비교
제7장 과수농가경영과 경영안정제도
제1절 과수 농업경영체 동향
1. 과수 농업경영체 동향
2. 과수농가경영 규모별 동향 및 노동력 고령화
제2절 과수농가의 과수 부문 규모화
1. 과수 부문 규모별 경영비
2. 모델 규모의 규모 경제 검증
3. 과수농가의 노동투입
제3절 과수경영안정제도 -과수 공제 및 농업경영수입보험-
1. 농업공제 및 농업경영수입보험의 운영체계
2. 과수 공제
3. 농업경영수입보험
4. 과수 공제 및 농업경영수입보험 동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