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취업/상식/적성 > 기업 적성검사 > 농협
· ISBN : 9791158491789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2-06-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으로 NH농협에 뛰어들자
1장 면접 스피치의 기본
1. 스피치의 이해
2. 스피치의 준비
3. 스피치 구성법
4. 스피치의 실제
5. 면접행동의 실제
2장 협동조합 20선
1. 협동조합의 정의
2. 협동조합의 이념
3. 협동조합의 가치
4. ICA 협동조합 7대 원칙
5.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차이점
6. 협동조합과 자본조달
7. 근대 협동조합의 효시, 로치데일 조합
8. 농협운동의 모태, 라이파이젠 조합
9. 한국 농협의 특수성
10. 협동조합 섹터론
11. 협동조합의 편익과 한계
12. 에드가 파넬의 진정한 협동조합
13. 세계농민헌장과 가족농
14. 한국협동조합협의회 공동 선언문
15. 농협 심벌의 의미
16. 농협보험과 민영보험의 차이
17. 한국, 일본, 대만 농협의 특징 비교
18. 미국의 신세대 협동조합
19. 유럽형 농협 환경 변화가 주는 교훈
20. 올바른 주인으로서의 조합원
3장 농업·농촌 20선
1. 식량은 백신
2. 고향사랑기부금
3. 쌀은 건강
4. 꿈꾸는 농·산촌
5. 농업은 생명경제
6. 도농상생과 신토불이
7. 코로나19 시대의 농업경제
8. 에너지 환경의 농촌
9. 치유농업 경제
10. 추억의 고향 농촌
11. 강소농 경제마을
12. 슬로푸드 농촌
13. 흙은 생명경제의 근원
14. 그린투어 농촌경제
15. 지구온난화와 농촌
16. 농촌은 오래된 미래
17. 농촌체험의 교육적 가치
18. 농촌유학의 특수효과
19. 농촌 봄나물 향연
20. 농촌은 녹색경제
4장 지역농협 공채
1. 최근 인재채용 트렌드
2. 취업 성공을 위한 비결
3. NH농협 자소서 문항
4. NH농협 인·적성검사(예시)
5. NH농협 면접의 기술
6. 면접 관련 용어 정리
7. NH농협 입사 전략
8. 최근 5년간 면접내용 모음
가. 집단면접
나. 주장면접
다. 실무면접(기본 용어)
5장 농협대학교 전형
1. 전문대졸자 이상 특별전형: 농업·농촌·농협 분야
2. 역대 기출문제 테마 모음: 농업·농촌·농협에 관한 문제
3. 논술문제 핵심 테마 찾기
4. 2023년 예상문제 10선
5. 논술문제 작성 연습하기
6. 협동조합 이슈 학습하기
7. 농협대 전형 면접 이슈
8. 농협대 전형 면접 사례
9. 실습사무소 지원사례
부록
NH농협 공채 면접문제 작성 모음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피치를 잘한다’, ‘말솜씨가 좋다’, ‘스피치가 이해하기 쉽다’는 것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듣는 사람에게 쉽게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쉽게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하며, 내용에 따라 순서를 어떻게 할 것인지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스피치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서론·본론·결론의 3단계법이나 기·승·전·결의 4단계법, 자유로운 발상과 생각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끄집어내는 브레인스토밍 기법 등이 있다. 3단계법이나 4단계법은 많이 사용해온 방법으로 형식이 딱딱하여 재미가 없는 반면, 청자나 화자에게 신뢰감과 자신감을 준다.
국민 경제를 구성하는 중요한 섹터로서 협동조합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는 소중합니다. 사회는 개인을 비롯한 수많은 조직체로 구성되며, 협동조합도 조직체 중 하나입니다. 협동조합 섹터란 협동조합이 수행하는 경제적·사회적 기능을 통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고유의 영역을 의미합니다.
협동조합은 정부와 기업에 속하지 않는 제3섹터(협동조합·공제조직·비영리조직 등)에 속합니다. 협동조합은 정책사업을 대행한다는 점에서는 정부 섹터에, 사업체로서 시장에서 활동한다는 점에서는 기업 섹터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나 정부 섹터는 계획 메커니즘에 의해, 기업 섹터는 시장 메커니즘에 의해 운영되고 협동조합 섹터는 협의(協議) 메커니즘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농촌지역 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하면서 농어촌 지자체는 심각한 재정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전국 228개 지자체 중 절반에 달하는 지자체가 향후 30년 이내 소멸 위험에 놓여 있다. 대도시와 농어촌의 재정자립도는 무려 3배 이상 차이가 난다. 때마침 지방소멸의 위기를 막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고향사랑기부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2021.9.28). 관련법규에 의거 2023년 1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