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민간자격 > 훈민정음 해설사
· ISBN : 9791164460960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24-04-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3
이 책의 특징 ……………………………………………………………………… 4
◆훈민정음 상식
一. 세종대왕
1. 개요 ………………………………………………………………………… 8
2. 생애 ………………………………………………………………………… 8
3. 업적 ………………………………………………………………………… 8
4. 훈민정음 창제 ……………………………………………………………… 9
二. 훈민정음 원본, 해례본, 언해본
1. 원본 ………………………………………………………………………… 9
2. 해례본 ……………………………………………………………………… 9
3. 언해본 ……………………………………………………………………… 9
三. 훈민정음 해례본
1. 개요 ………………………………………………………………………… 10
2. 발견경로 …………………………………………………………………… 11
3. 국보 70호 훈민정음 해례본의 비밀 ……………………………………… 12
4. 해례본과 언해본에서 발견된 오자 ………………………………………… 14
5. 훈민정음 해례본 집필에 참여한 8학사 …………………………………… 14
6. 훈민정음 관련 기구 및 직제해설 ………………………………………… 18
四. 훈민정음의 다른 이름
1. 언문 ………………………………………………………………………… 21
2. 암클·아햇글·가갸글 ………………………………………………………… 21
3. 배달말 ……………………………………………………………………… 21
4. 조선글 ……………………………………………………………………… 22
5. 한글 ………………………………………………………………………… 22
五. 훈민정음 창제 관련 기념일
1. 가갸날 ……………………………………………………………………… 23
2. 한글날 ……………………………………………………………………… 23
3. 조선글날 …………………………………………………………………… 23
4. 조선어문자의 날 …………………………………………………………… 24
5. 훈민정음의 날(안)…………………………………………………………… 24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
1.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 구성 ………………………………………… 28
2. 어제 서문 …………………………………………………………………… 31
3. 본문(예의) …………………………………………………………………… 31
4. 제자해 ……………………………………………………………………… 35
5. 초성해 ……………………………………………………………………… 49
6. 중성해 ……………………………………………………………………… 50
7. 종성해 ……………………………………………………………………… 52
8. 합자해 ……………………………………………………………………… 55
9. 용자례 ……………………………………………………………………… 59
10. 정인지 서문 ……………………………………………………………… 61
11. 정인지 서문 풀이 ……………………………………………………… 64
■ 훈민정음 언해본 어제 서문
◦ 훈민정음 언해본 세종어제 서문 해석 ……………………………………… 66
■ 특별수록
1. 훈민정음 해례본에 사용된 한자 및 한자어 분석 ………………………… 70
2. 부문별 빈도별 한자 수 ……………………………………………………… 71
3. 속자 및 약자와 동자 정리 ………………………………………………… 72
4. 훈민정음 해례본 전체 한자 훈음 및 빈도수 ……………………………… 73
■ 예상문제와 정답
1. 훈민정음 해설사 자격시험 예상문제 ……………………………………… 80
2. 훈민정음 해설사 자격시험 예상문제 정답 …………………………… 125
■ 기출문제와 정답
1. 훈민정음 해설사 자격시험 기출문제 …………………………………… 131
2. 훈민정음 해설사 자격시험 기출문제 정답 …………………………… 143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6백여 년 전 새로운 문자가 동방의 작은 나라에서 섬광처럼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우
리 곁에 다가왔다. 세종대왕이 우리 민족에게 하사한 위대한 선물 《훈민정음》은 그야말로 역사를 통째로 갈아엎는 거대한 파도였다. 그 일은 가히 문자혁명이었고, 세기의 대변환이었으며, 우리 민족의 변치 않는 태양 빛을 얻게 된 불후의 금자탑이었다. 기하학적이고 단순명료하며, 과학적이면서 내적 질서가 정연하고, 우주의 이치를 담은 선명한 글꼴 구조. 이러한 특성이 있는 훈민정음의 모습은 바로 우리 한민족에 대한 자존심을 세우려는 자각이었다.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에는 백성을 어여삐 살피는 긍휼한 마음이 깔려있고, 백성을 사랑한
다는 고백이며, 우리말이 중국과 다름을 뼈저리게 인식한 문화적 주체성을 천명한 고고한 뜻
이 담겨있다. 조선 초기 엄청난 한자 문화의 중력 속에서 백성을 위한 보다 쉬운 새로운 문자 스물여덟 자를 창제해내었다는 사실은 충격이자 기적 같은 일이었다. 쉽고 간명하며 체계적인 문자 《훈민정음》, 스물여덟 자 밖에 안 되는 그것은 무궁무진한 작용성을 발휘하는 전대미문(前代未聞)의 문자혁명이었다.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자랑할 수 있는 문화적 자산인 《훈민정음》의 원리를
찬란한 역사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하려면 전통을 계승해야 한다. 그래서 《훈민정음》이 시대를
넘나드는 상상력의 불꽃이 번뜩이는 문화적, 실험적, 전위적, 통변적, 소프트웨어로서의 장점
이 있다는 것을 바르게 알리는 훈민정음 해설사를 양성하고자 「훈민정음 해설사」자격시험 예
상문제집을 내놓으면서 이 책이 「훈민정음 해설사」의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책을 통해서 오랜 실록의 흔적이 가늘지만 도도한 강물처럼 흘러온 역사를 통해 잊
을 수 없는 이름 《훈민정음》이 가진 당돌함과 생명력 있는 미의식과 자긍심이 담긴 창작 의식
이 미래에도 면면히 살아 숨 쉬도록 시간의 배를 타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없이 과거로의 여
행을 떠날 수 있는 「훈민정음 해설사」가 많이 배출되기를 희망한다.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교육학 박사 박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