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프로그래밍 기초/개발 방법론
· ISBN : 979116521952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04-28
책 소개
CS 전공지식 습득과 면접 대비, 이 책 한 권이면 충분하다!
개발자 면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CS(Computer Science) 전공지식! 디자인 패턴부터 자료 구조까지 알아야 할 게 너무 많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이 책은 디자인 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 구조 등 면접에 필요한 CS 전공지식을 모두 담고 있다. 200여 개의 그림과 코드로 이론을 자세히 설명하고, 실제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된 디자인 패턴 등으로 실무 활용법을 함께 다뤄 이론과 실무를 놓치지 않고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한, 중요한 내용은 깊게, 덜 중요한 내용은 핵심만 설명하며, 책 곳곳에 70여 개의 용어 풀이도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 탑티어급의 회사에 합격한 저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포트폴리오 작성법과 챕터별 예상 질문, 면접 준비 노하우도 알려준다. 개발자 면접을 준비하거나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 CS 전공지식을 배우고 싶다면 이 책으로 시작하자.
필자는 IT 대기업 면접을 준비할 때 “탄탄한 CS 전공지식이 필요하다.”라는 말을 듣고 수많은 전공 서적과 전공 강의들을 보며 CS 전공지식을 쌓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때는 무엇이 필요하고 필요 없는 지식인지 알 수 없어 다 외우려고 했지만 정말 많은 양이었기 때문에 너무 힘들었습니다. 또한, 인터넷에 있는 CS 전공지식들은 몇 개씩은 틀리기 마련이라 공부하다가 헷갈려서 다시 찾아보는 등의 어려움도 겪었습니다.
이 책은 그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책입니다. 한 권만으로 CS 전공지식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실제로 개발할 때 필요한 CS 전공지식을 담았습니다.
이 책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면접에 나올 법한 CS 전공지식을 포함한 CS 전공지식의 전반을 다룹니다.
• 필자의 실제 개발 경험이 녹아 있어 이론에만 치우친 CS 전공지식이 아닌 이론과 실무가 아우러진 전공지식을 선사합니다.
• 필자의 수많은 면접 경험을 바탕으로 한 면접 노하우가 책 곳곳에 녹아 있습니다.
• 구글, 네이버, 카카오 등 탑티어급의 회사에 합격한 필자의 포트폴리오가 소개되며 포트폴리오 작성 노하우를 알려줍니다.
각 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1장에서는 디자인 패턴을 다룹니다.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디자인 패턴이 쓰이고 있는지를 서술했습니다. 예를 들어 ‘전략 패턴은 passport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된다’처럼 실무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알려줍니다. 예시 코드로는 자바, 자바스크립트 두 가지의 언어로 구성했고, 코드의 난이도를 최대한 낮추면서도 디자인 패턴을 잘 표현하도록 노력했습니다.
• 2장에서는 네트워크를 다룹니다.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IP, HTTP 부분은 따로 빼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여 중요한 부분은 깊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핵심만 설명합니다.
• 3장에서는 운영체제를 다룹니다. 운영체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시스템콜이나 커널을 조금 더 쉽게 설명하고자 노력했으며, 프로세스와 스레드를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 4장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다룹니다. ERD나 트랜잭션, 인덱싱 등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중요한 부분들을 중점적으로 설명합니다.
• 5장에서는 자료 구조를 설명합니다. 먼저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를 설명하여 자료 구조의 기초를 알아보고 큐, 스택 등 필수적인 자료 구조를 전부 다룹니다.
• 6장에서는 필자의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쓰는 팁과 인성 면접을 준비하는 팁을 알려줍니다.
이 책이 탄탄한 CS 전공지식을 갖춘 훌륭한 개발자가 되기 위한 첫걸음이 되길 바랍니다.
“이 책을 만들기까지 총 13명의 개발자 최범석(네이버 리서치 엔지니어), 김찬호(라인 백엔드 개발자), 이성준(쿠팡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남승원(당근마켓 백엔드 개발자), 이태훈(배달의 민족 백엔드 개발자), 이태우(휴먼스케이프 CTO), 송성빈(삼성전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이승철(NHN 백엔드 개발자), 김인범(CNCITY 데이터 엔지니어 / MongoDB Korea 운영진), 김재엽(스타트업 데이터 엔지니어), 김건우(클래스101 백엔드 개발자), 조유빈(이스트소프트 IOS 개발자), 오규영(한전 KDN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님이 도와주셨습니다.
목차
1장. 디자인 패턴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1.1 디자인 패턴
__1.1.1 싱글톤 패턴
__1.1.2 팩토리 패턴
__1.1.3 전략 패턴
__1.1.4 옵저버 패턴
__1.1.5 프록시 패턴과 프록시 서버
__1.1.6 이터레이터 패턴
__1.1.7 노출모듈 패턴
__1.1.8 MVC 패턴
__1.1.9 MVP 패턴
__1.1.10 MVVM 패턴
1.2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__1.2.1 선언형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__1.2.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__1.2.3 절차형 프로그래밍
__1.2.4 패러다임의 혼합
예상 질문
2장. 네트워크
2.1 네트워크의 기초
__2.1.1 처리량과 지연 시간
__2.1.2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병목 현상
__2.1.3 네트워크 분류
__2.1.4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__2.1.5 네트워크 프로토콜 표준화
2.2 TCP/IP 4계층 모델
__2.2.1 계층 구조
__2.2.2 PDU
2.3 네트워크 기기
__2.3.1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__2.3.2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__2.3.3 인터넷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__2.3.4 데이터 링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__2.3.5 물리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2.4 IP 주소
__2.4.1 ARP
__2.4.2 홉바이홉 통신
__2.4.3 IP 주소 체계
__2.4.4 IP 주소를 이용한 위치 정보
2.5 HTTP
__2.5.1 HTTP/1.0
__2.5.2 HTTP/1.1
__2.5.3 HTTP/2
__2.5.4 HTTPS
__2.5.5 HTTP/3
예상 질문
3장. 운영체제
3.1 운영체제와 컴퓨터
__3.1.1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
__3.1.2 컴퓨터의 요소
3.2 메모리
__3.2.1 메모리 계층
__3.2.2 메모리 관리
3.3 프로세스와 스레드
__3.3.1 프로세스와 컴파일 과정
__3.3.2 프로세스의 상태
__3.3.3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__3.3.4 PCB
__3.3.5 멀티프로세싱
__3.3.6 스레드와 멀티스레딩
__3.3.7 공유 자원과 임계 영역
__3.3.8 교착 상태
3.4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__3.4.1 비선점형 방식
__3.4.2 선점형 방식
예상 질문
4장. 데이터베이스
4.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__4.1.1 엔터티
__4.1.2 릴레이션
__4.1.3 속성
__4.1.4 도메인
__4.1.5 필드와 레코드
__4.1.6 관계
__4.1.7 키
4.2 ERD와 정규화 과정
__4.2.1 ERD의 중요성
__4.2.2 예제로 배우는 ERD
__4.2.3 정규화 과정
4.3 트랜잭션과 무결성
__4.3.1 트랜잭션
__4.3.2 무결성
__4.4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__4.4.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__4.4.2 NoSQL 데이터베이스
4.5 인덱스
__4.5.1 인덱스의 필요성
__4.5.2 B-트리
__4.5.3 인덱스 만드는 방법
__4.5.4 인덱스 최적화 기법
4.6 조인의 종류
__4.6.1 내부 조인
__4.6.2 왼쪽 조인
__4.6.3 오른쪽 조인
__4.6.4 합집합 조인
4.7 조인의 원리
__4.7.1 중첩 루프 조인
__4.7.2 정렬 병합 조인
__4.7.3 해시 조인
예상 질문
5장. 자료 구조
5.1 복잡도
__5.1.1 시간 복잡도
__5.1.2 공간 복잡도
__5.1.3 자료 구조에서의 시간 복잡도
5.2 선형 자료 구조
__5.2.1 연결 리스트
__5.2.2 배열
__5.2.3 벡터
__5.2.4 스택
__5.2.5 큐
5.3 비선형 자료 구조
__5.3.1 그래프
__5.3.2 트리
__5.3.3 힙
__5.3.4 우선순위 큐
__5.3.5 맵
__5.3.6 셋
__5.3.7 해시 테이블
예상 질문
6장. 포트폴리오와 면접
6.1 포트폴리오
__6.1.1 첫 문장이 중요하다
__6.1.2 숫자로 말하라
__6.1.3 기술의 숙련도를 나눠서 표기하라
__6.1.4 리드미를 잘 작성하라
__6.1.5 오픈 소스 컨트리뷰터가 되자
__6.1.6 블로깅을 하자
6.2 면접
__6.2.1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
__6.2.2 대답을 바꾸지 말자
__6.2.3 모르는 것은 모르는 것
__6.2.4 압박을 버텨라
__6.2.5 공식 사이트를 봐라
__6.2.6 또렷한 발음으로
__6.2.7 장점, 단점, 차이는 필수다
__6.2.8 업무를 예측하라
__6.2.9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준비하라
__6.2.10 인성 면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