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웹 서비스/웹 프로그래밍
· ISBN : 9791165453985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1-06-01
책 소개
목차
Part 1. CentOS 8
1.1 CentOS ISO 준비
1.1.1. Booting USB 생성
1.1.1.1. Linux에서 만들기
1.1.1.2. Windows에서 만들기
1.2 CentOS 8 Installation
1.2.1. 설치 언어 및 Locale 설정
1.2.2. Disk Partition
1.2.3. 서버 구성 설정
1.2.4. 계정 및 Password 설정
1.2.5. CentOS 라이선스 동의
1.3 기본 환경 구성
1.3.1. Hostname 설정
1.3.2. Network 설정
1.3.2.1. NetworkManager
1.3.2.2. nmcli 명령어
1.3.3. NTP 설정
1.3.3.1. Chrony
1.3.3.1.1. Chrony 설치 및 활성화
1.3.3.1.2. Chrony를 이용한 NTP 서버 구성
1.3.4. Selinux 비활성화
1.3.5. Repository 설정
1.3.5.1. DNF(Dandified Yum)
Part 2. 가상화
2.1. 가상화 환경 설정을 위한 개념
2.1.1. 가상화
2.1.1.1. 가상화란?
2.1.1.2. 가상화의 장점
2.1.2. 하이퍼바이저
2.1.2.1. 하이퍼바이저 타입
2.1.2.2.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2.1.2.3. QEMU
2.1.2.4. QEMU+KVM
2.1.2.5. Libvirt
2.2. 가상화 아키텍처
2.2.1. KVM 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 아키텍처
2.2.2. 가상화 Network 아키텍처
2.3. KVM 시작하기
2.3.1. KVM 환경 확인
2.3.1.1. KVM 지원 시스템
2.3.1.2. CPU 가상화 지원 확인
2.3.1.3. KVM이 지원하는 게스트 OS 목록
2.3.2. KVM 관리 도구
2.3.2.1. KVM 관리 도구 리스트
2.3.2.2. KVM 관리 도구 작동 메커니즘
2.4. 가상화 패키지 설치
2.4.1. 가상화 패키지 종류
2.4.2. 가상 환경을 위한 패키지 설치 및 서비스 시작
2.4.2.1. CLI 명령어로 VM을 관리하기 위한 패키지 설치
2.4.2.2. virt-manager 사용을 위한 패키지 설치
2.4.2.3. libvirtd 서비스 시작
2.5. Network 설정
2.5.1. Network 종류
2.5.2. 가상 Network를 위한 패키지 확인
2.5.3. Default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Libvirt
2.5.3.1. Network 실행 후 환경
2.5.3.2. NAT과 IP 포워딩 설정
2.5.4. 게스트 VM Network 설정
2.5.4.1. NAT Network 생성
2.5.4.2. Isolated Network 생성
2.6. VM 생성
2.6.1. VM 생성 준비
2.6.1.1. Qcow2 파일 생성
2.6.1.2. ISO 이미지 다운로드
2.6.2. 게스트 VM 생성
2.6.2.1. 새로운 VM 생성
2.7. 네스티드 가상화(Nested Virtualization)
2.7.1. 개요
2.7.1.1. 네스티드 가상화
2.7.1.2. 네스티드 가상화 사용 예시
2.7.1.3. 네스티드 가상화 아키텍처
2.7.2. 네스티드 가상화 설정
2.7.3. 네스티드 가상화로 L2 게스트 설치
2.8. 컨테이너란?
2.8.1. 컨테이너의 역사
2.8.2. VM과 컨테이너
2.8.3. Docker
2.8.3.1. Docker의 구성 요소
2.8.3.2. Docker 컨테이너의
Part 3. OpenStack
3.1. 클라우드 컴퓨팅
3.1.1. 클라우드 서비스 분류
3.1.2.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3.2. OpenStack이란?
3.2.1. OpenStack의 장점
3.2.2. 주요 릴리즈 리스트
3.2.3. OpenStack 아키텍처
3.2.3.1. 개념적 아키텍처
3.2.3.2. 논리적 아키텍처
3.2.4. OpenStack의 구성 요소
3.2.4.1. Victoria 버전에서의 개선점
3.2.5. OpenStack Nodes
3.2.5.1. Controller Node
3.2.5.2. Compute Node
3.2.5.3. Network Node
3.2.5.4. Storage Node
3.3. OpenStack Deploy Tools
3.3.1. TripleO
3.3.2. OpenStack-HELM
3.3.3. Kolla-Ansible
3.3.3.1. Kolla
3.3.3.2. Kolla-Ansible
3.4. Installation
3.4.1. 하드웨어 요구사항
3.4.2. OS 요구사항
3.4.2.1. 지원되는 OS
3.4.2.2. 지원되는 컨테이너 이미지
3.4.3. 설치 전 구성
3.4.3.1. Node 구성
3.4.3.2. 사전 설정
3.4.4. Python 빌드를 위한 종속성 설치
3.4.5. 가상 환경 활성화
3.4.6. Ansible 설치 및 설정 파일 생성
3.4.7. Kolla-Ansible 설치 및 구성
3.4.8. Multi Node 수정
3.4.9. Controller의 Public Key 배포
3.4.10. Password 생성 및 Keystone Password 수정
3.4.11. Globals.yml 변수 파일 수정
3.4.12. Storage Node Volume 준비
3.4.13. OpenStack 배포
3.4.14. OpenStack 통합 CLI Command Utils 설치
Part 4. OpenStack 활용 가이드
4.1. Project
4.2. User
4.3. Image
4.4. Flavor
4.5. 외부 Network
4.6. 내부 Network
4.7. Router
4.8. Security Group
4.9. Key Pair
4.10. Floating IP
4.11. Volume
4.12. Instance
4.12.1. Instance 생성
4.12.2. Apache 웹 서버 구동
4.13. Migration
Part 5. 참고 문헌
5.1.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