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Essential 변리사 민사소송법

Essential 변리사 민사소송법

(변리사 시험및 각종국가고시 대비)

김남훈 (지은이)
윌비스(미래와사람 한림법학원)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1,200원
36,800원 >
38,000원 -5% 0원
0원
3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Essential 변리사 민사소송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Essential 변리사 민사소송법 (변리사 시험및 각종국가고시 대비)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변리사
· ISBN : 9791166182495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21-12-03

책 소개

민사소송법과 민사소송규칙 및 관련 조문을 목차별로 수록하여 별도로 법전을 참조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또한, 중요한 쟁점에 대해 문제점, 학설의 대립, 판례의 태도, 검토의 순서로 정리하였고, 판례의 법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판결요지를 중심으로 본문 내용을 구성하였다.

목차

제1편 총 론
제01절 민사소송과 비송사건 2
Ⅰ. 의 의 / 2
Ⅱ. 소송과 비송의 구별 / 2
Ⅲ. 비송사건의 특징 / 2
Ⅳ. 소송의 비송화 경향과 한계 / 3
Ⅴ. 이송의 가능성 / 3
Ⅵ. 관련문제:과거의 양육비 청구의 법적 성질 / 3
제02절 민사소송과 신의칙 4
제1관 서 설 4
제2관 적용범위 4
Ⅰ. 주관적 범위 / 4
Ⅱ. 객관적 범위 / 4
제3관 발현형태 5
Ⅰ. 소송상태의 부당형성 / 5
Ⅱ. 선행행위와 모순되는 거동 (소송상 금반언) / 5
Ⅲ. 소송상 권능의 실효 / 6
Ⅳ. 소권의 남용 / 6
제4관 신의칙 적용의 한계 7
제5관 신의칙 적용의 효과 7
제03절 민사소송법규의 종류와 위반의 효과 8
제1관 민사소송법규의 종류 8
Ⅰ. 효력규정과 훈시규정 / 8
Ⅱ. 강행규정과 임의규정 / 8
제2관 훈시규정 위반의 효과 8
제3관 강행규정 위반의 효과 8
제4관 임의규정 위반의 효과 9
Ⅰ. 이의권의 포기⋅상실 / 9
Ⅱ. 소송상 합의의 허용가능성 / 9


제2편 소송의 주체

제1장
법 원 12
제01절 민사재판권 12
제1관 서 설 12
제2관 인적 범위 12
Ⅰ. 의 의 / 12
Ⅱ. 외국국가와 재판권 / 12
제3관 물적 범위:국제재판관할권 14
Ⅰ. 의 의 / 14
Ⅱ. 유 형 / 14
Ⅲ. 결정의 기준 / 14
Ⅳ. 변론관할 / 23
Ⅴ. 흠결의 효과 / 23
제4관 재판권 흠결의 효과 23
Ⅰ. 소송요건 / 23
Ⅱ. 재판권이 없음이 명백한 경우 / 24
Ⅲ. 외국국가인 경우 및 재판권 면제의 포기가능성이 있는 경우 / 24
Ⅳ. 재판권이 없음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 24
제02절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24
제1관 법관의 제척 24
Ⅰ. 의 의 / 25
Ⅱ. 제척사유 / 25
Ⅲ. 제척의 재판 / 27
Ⅳ. 제척의 효과 / 27
제2관 법관의 기피 27
Ⅰ. 의 의 / 28
Ⅱ. 기피사유 / 28
Ⅲ. 기피절차 / 29
Ⅳ. 기피신청에 대한 재판 / 29
Ⅴ. 기피신청의 효과 / 30
제3관 법관의 회피 31
제03절 관 할 31
제1관 관할의 의의 31
제2관 관할의 종류 31
제3관 직분관할 32
Ⅰ. 의 의 / 32
Ⅱ. 수소법원과 집행법원의 직분관할 / 32
Ⅲ. 지방법원 단독판사와 지방법원 합의부의 직분관할 / 32
Ⅳ. 심급관할 / 32
제4관 사물관할 32
Ⅰ. 서 설 / 32
Ⅱ. 합의부의 관할 / 33
Ⅲ. 단독판사의 관할 / 34
Ⅳ. 소송목적의 값 / 35
제5관 토지관할 37
Ⅰ. 서 설 / 37
Ⅱ. 보통재판적 / 38
Ⅲ. 특별재판적 / 38
Ⅳ. 관련재판적 / 43
제6관 재정관할 (지정관할) 46
제7관 합의관할 46
Ⅰ. 서 설 / 46
Ⅱ. 관할합의의 법적 성질 / 46
Ⅲ. 관할합의의 요건 / 47
Ⅳ. 합의의 모습 / 47
Ⅴ. 합의의 효력 / 49
Ⅵ. 합의의 취소⋅변경 / 50
제8관 변론관할 51
Ⅰ. 의의 및 취지 / 51
Ⅱ. 요 건 / 52
Ⅲ. 효 과 / 53
제9관 전속관할 53
Ⅰ. 서 설 / 53
Ⅱ. 종 류 / 54
Ⅲ. 전속관할의 특징 / 54
제10관 임의관할 55

제11관 관할권의 조사 55
Ⅰ. 직권조사사항 / 56
Ⅱ. 조사의 방법 / 56
Ⅲ. 조사의 한도 / 56
Ⅳ. 관할권의 증명 / 56
Ⅴ. 관할결정의 표준시기 / 56
Ⅵ. 조사의 결과 / 57
제12관 소송의 이송 57
Ⅰ. 서 설 / 57
Ⅱ. 이송의 원인 / 58
Ⅲ. 이송의 절차 / 64
Ⅳ. 이송의 효과 / 65

제2장
당사자 67
제01절 개 관 67
제02절 당사자의 확정 67
제1관 의 의 67
제2관 당사자 확정의 기준 68
Ⅰ. 학설의 대립 / 68
Ⅱ. 판례의 태도 / 68
Ⅲ. 검 토 / 68
제3관 당사자 표시의 정정 68
Ⅰ. 의의 및 구별개념 / 68
Ⅱ. 당사자 표시정정의 요건 / 69
Ⅲ. 당사자 표시정정 신청에 대한 재판 / 70
제4관 성명모용소송 71
Ⅰ. 서 설 / 71
Ⅱ. 당사자의 확정과 법원의 조치 / 71
Ⅲ. 성명모용소송을 간과한 판결의 효력 / 72
Ⅳ. 관련문제:송달과정에서의 피고 모용 / 72
제5관 당사자의 사망이 소송에 미치는 영향 73
Ⅰ. 소 제기 전에 사망한 경우 / 73
Ⅱ. 소제기 후 소송계속 전에 사망한 경우 / 77
Ⅲ. 소송계속 후 변론종결 전에 사망한 경우:소송절차의 중단 부분 참조 / 79
Ⅳ. 변론종결 뒤 판결정본 송달 전에 사망한 경우 / 79
Ⅴ. 판결정본의 송달 뒤에 사망한 경우 / 80

제6관 법인격 부인론 80
Ⅰ. 의 의 / 80
Ⅱ. 당사자 확정 / 80
Ⅲ. 당사자 능력 / 80
Ⅳ. 당사자 적격 / 81
Ⅴ. 소송형태 / 81
Ⅵ. 소송계속 중 당사자를 배후자로 변경하는 방법 / 81
Ⅶ. 기판력 및 집행력이 배후자에게 미치는지 여부 / 82
제03절 당사자의 자격 82
제1관 당사자능력 82
Ⅰ. 의 의 / 82
Ⅱ. 당사자능력자 / 83
Ⅲ. 조합의 당사자능력 / 86
Ⅳ. 당사자능력의 조사방법 및 보정방법 / 89
제2관 당사자적격 91
Ⅰ. 서 설 / 91
Ⅱ. 당사자적격을 갖는 자 / 91
Ⅲ. 제3자의 소송담당 / 93
Ⅳ. 당사자적격 흠결의 효과 / 100
제3관 소송능력 101
Ⅰ. 의 의 / 101
Ⅱ. 소송능력자 / 101
Ⅲ. 소송무능력자 / 101
Ⅳ. 소송능력의 소송법상의 효과 / 102
제4관 변론능력 105
Ⅰ. 서 설 / 105
Ⅱ. 변론무능력자 / 106
Ⅲ. 변론능력 흠결의 효과 / 106
제04절 소송상 대리인 107
제1관 서 설 107
Ⅰ. 의의 및 구별개념 / 107
Ⅱ. 종 류 / 107
Ⅲ. 민법상 대리인과의 차이 / 108
제2관 법정대리인 108
Ⅰ. 의 의 / 108
Ⅱ. 종 류 / 108
Ⅲ. 법정대리인의 권한과 지위 / 109
Ⅳ. 법정대리권의 소멸 / 111
Ⅴ. 법인 등의 대표자 / 113
제3관 임의대리인 115
Ⅰ. 서 설 / 115
Ⅱ. 소송대리인의 자격 / 115
Ⅲ. 소송대리권의 수여 / 116
Ⅳ. 소송대리권의 범위 / 117
Ⅴ. 소송대리인의 지위 / 120
Ⅵ. 소송대리권의 소멸 / 121
제4관 무권대리인 122
Ⅰ. 의 의 / 122
Ⅱ. 대리권 흠결의 소송상 효과 / 122
Ⅲ. 쌍방대리의 금지 / 125
Ⅳ. 소송행위와 표현대리 / 126


제3편 제1심의 소송절차

제1장
소송의 개시 130
제01절 소의 종류 130
Ⅰ. 이행의 소 / 130
Ⅱ. 확인의 소 / 130
Ⅲ. 형성의 소 / 130
제02절 소송요건 135
제1관 총 설 135
Ⅰ. 서 설 / 135
Ⅱ. 소송요건의 종류 / 135
Ⅲ. 소송요건의 모습 / 136
Ⅳ. 소송요건의 조사 / 136
제2관 소의 이익 140
Ⅰ. 소의 이익의 개념 / 140
Ⅱ. 각종의 소에 공통적인 소의 이익:권리보호의 자격 / 140
Ⅲ. 각종의 소에 특수한 소의 이익 (청구적격 및 권리보호이익) / 143
Ⅳ. 소의 이익의 소송상의 취급 / 169

제03절 소송물이론 169
Ⅰ. 소송물의 개념 / 169
Ⅱ. 소송물에 관한 견해 / 169
Ⅲ. 판례의 태도:구소송물이론 / 170
Ⅳ. 검 토 / 177
제04절 소의 제기 178
Ⅰ.소장의 기재사항 / 178
Ⅱ. 청구취지 / 178
Ⅲ. 청구원인 / 180
Ⅳ. 소송상의 취급 / 181
제05절 재판장 등의 소장심사권 181
Ⅰ. 서 설 / 181
Ⅱ. 소장심사의 시기 및 순서 (소장심사의 선순위성) / 182
Ⅲ. 소장심사의 대상 / 182
Ⅳ. 보정명령 / 182
Ⅴ. 소장각하명령 / 184
Ⅵ. 관련문제:상소심에서의 상소장심사권 / 188
제06절 소제기 후의 조치 188
Ⅰ. 소장부본의 송달 / 188
Ⅱ. 피고의 답변서제출의무와 무변론판결 / 188
제07절 소송구조 190
제08절 소제기의 효과 191
제1관 소송계속 191
Ⅰ. 의 의 / 191
Ⅱ. 소송계속의 발생시기 / 191
Ⅲ. 소송계속의 소멸 / 191
Ⅳ. 소송계속 종료의 효과를 다투는 방법 / 191
제2관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192
Ⅰ. 서 설 / 192
Ⅱ. 요 건 / 192
Ⅲ. 채권자대위소송과 중복소송 / 193
Ⅳ. 채권자취소소송과 중복소송 / 195
Ⅴ. 상계항변과 중복소송 / 195
Ⅵ. 일부청구와 중복소송 / 196
Ⅶ. 추심금청구와 중복소송 / 197
Ⅷ. 선결적 법률관계와 중복소송 / 198
Ⅸ. 원고의 이행청구와 피고의 소극적 확인청구 / 198
Ⅹ. 효 과 / 199
Ⅺ. 국제적 중복제소 / 200
제3관 소제기의 실체법상의 효과 200
Ⅰ. 소멸시효와 취득시효의 중단 / 201
Ⅱ. 법률상의 기간준수 / 207
Ⅲ. 효력의 발생시점 및 소멸시점 / 208
Ⅳ. 지연손해금의 법정이율의 인상 / 209
제09절 배상명령제도 213

제2장
변 론 214
제01절 변론의 의의와 종류 214
Ⅰ. 서 설 / 214
Ⅱ. 필요적 변론의 내용 / 214
Ⅲ. 필요적 변론의 예외 (무변론 판결을 할 수 있는 경우) / 215
Ⅳ. 임의적 변론과 필요적 변론의 비교 / 216
제02절 심리에 관한 원칙 216
제1관 기본원칙 216
Ⅰ. 공개심리주의 / 216
Ⅱ. 쌍방심리주의 / 216
Ⅲ. 구술심리주의 / 216
Ⅳ. 직접심리주의 / 217
Ⅴ. 집중심리주의 / 217
제2관 처분권주의 217
Ⅰ. 서 설 / 217
Ⅱ. 절차의 개시 / 218
Ⅲ. 심판의 대상과 범위 / 218
Ⅳ. 절차의 종결 / 226
Ⅴ. 처분권주의 위배의 효과 / 226
제3관 변론주의 227
Ⅰ. 서 설 / 227
Ⅱ. 변론주의의 내용 / 227
Ⅲ. 변론주의의 한계 / 237
Ⅳ. 변론주의의 문제점과 보완⋅수정 / 237
Ⅴ. 변론주의의 예외⋅제한 / 250
제4관 적시제출주의 255
Ⅰ. 서 설 / 255
Ⅱ. 적시제출주의의 대상 / 255
Ⅲ. 적시제출주의의 실효성 확보방법 / 255
Ⅳ. 기타 공격방어방법의 제출 제한 / 260
Ⅴ. 적시제출주의의 예외 / 260
제5관 직권진행주의와 소송지휘권 261
Ⅰ. 의 의 / 261
Ⅱ. 소송지휘권 / 261
Ⅲ. 소송절차에 대한 이의권 / 261
제03절 변론의 준비 263
제1관 준비서면 263
Ⅰ. 서 설 / 263
Ⅱ. 준비서면의 기재사항 / 264
Ⅲ. 준비서면의 제출⋅교환 / 265
Ⅳ. 준비서면의 제출⋅부제출의 효과 / 265
제2관 변론준비절차 267
Ⅰ. 서 설 / 269
Ⅱ. 변론준비절차의 개시 / 269
Ⅲ. 변론준비절차의 진행 / 270
Ⅳ. 변론준비절차의 종결 / 272
Ⅴ. 변론준비절차 뒤의 변론의 운영 / 273
제04절 변론의 내용 273
제1관 총 설 273
Ⅰ. 본안의 신청 / 273
Ⅱ. 공격방어방법 / 274
Ⅲ. 항 변 / 275
Ⅳ. 부인과 항변의 구별 / 278
Ⅴ. 소송상 형성권의 행사 / 279
제2관 소송행위 281
Ⅰ. 서 설 / 281
Ⅱ. 소송상 합의 / 282
제3관 소송행위의 특질 288
Ⅰ. 서 설 / 288
Ⅱ. 소송행위의 철회와 취소 / 288
Ⅲ. 소송행위의 하자와 그 치유 / 292
Ⅳ. 소송행위의 해석 / 294
제05절 변론의 실시 294
Ⅰ. 변론의 경과 / 294
Ⅱ. 변론의 제한⋅분리⋅병합 / 295
Ⅲ. 변론의 재개 / 296
Ⅳ. 변론조서 / 297
Ⅴ. 변론기일에 당사자가 출석하지 않은 경우의 효과 (기일의 해태) / 301
제06절 기일⋅기간⋅송달 310
제1관 기 일 310
Ⅰ. 의 의 / 310
Ⅱ. 기일의 지정 / 311
Ⅲ. 기일의 변경 / 311
Ⅳ. 기일의 통지⋅실시⋅개시 / 312
제2관 기 간 313
Ⅰ. 기간의 의의 및 종류 / 313
Ⅱ. 기간의 계산 및 진행 / 313
Ⅲ. 기간의 신축과 부가기간 / 313
Ⅳ. 기간의 부준수와 소송행위의 추후보완 / 314
제3관 송 달 324
Ⅰ. 의 의 / 324
Ⅱ. 송달기관 / 325
Ⅲ. 송달서류 / 326
Ⅳ. 송달을 받을 수 있는 사람 / 326
Ⅴ. 송달의 실시방법 / 328
Ⅵ. 외국에서 하는 송달 / 340
Ⅶ. 송달의 하자 / 340
제07절 소송절차의 정지 342
Ⅰ. 서 설 / 342
Ⅱ. 소송절차의 중단 / 342
Ⅲ. 소송절차의 중지 / 351
Ⅳ. 소송절차 정지의 효과 / 351


제3장
증 거 358
제01절 총 설 358
Ⅰ. 증거의 의의 / 358
Ⅱ. 증거능력⋅증거력 / 358
Ⅲ. 증거의 종류 / 360
Ⅳ. 증명과 소명 / 361
Ⅴ. 엄격한 증명과 자유로운 증명 / 361
제02절 증명의 대상 361
Ⅰ. 사 실 / 361
Ⅱ. 경험법칙(경험칙) / 362
Ⅲ. 법 규 / 364
제03절 불요증사실 364
제1관 서 설 364
제2관 재판상 자백 365
Ⅰ. 의의 및 법적 성질 / 365
Ⅱ. 요 건 / 365
Ⅲ. 효 력 / 371
제3관 자백간주 374
Ⅰ. 서 설 / 374
Ⅱ. 자백간주의 성립요건 / 374
Ⅲ. 자백간주의 효력 / 375
제4관 현저한 사실 376
Ⅰ. 서 설 / 376
Ⅱ. 종 류 / 377
Ⅲ. 현저한 사실에 반하는 자백의 구속력 / 378
제5관 법률상 추정되는 사실 378
제04절 증거조사의 개시와 실시 378
제1관 증거조사의 개시 378
Ⅰ. 증거신청 / 378
Ⅱ. 증거신청의 채택여부 결정 / 379
Ⅲ. 직권증거조사 / 381
제2관 증거조사의 실시 381
Ⅰ. 개 관 / 381
Ⅱ. 증인신문 / 382
Ⅲ. 감 정 / 387
Ⅳ. 서 증 / 391
Ⅴ. 검 증 / 414
Ⅵ. 당사자신문 / 414
Ⅶ. 그 밖의 증거 / 416
Ⅷ. 조사⋅송부의 촉탁 / 416
Ⅸ. 증거보전 / 417
제05절 자유심증주의 419
Ⅰ. 서 설 / 419
Ⅱ. 증거원인 / 419
Ⅲ. 자유의 의미와 심증의 정도 / 422
Ⅳ.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 423
Ⅴ. 사실인정의 위법과 상고가능성 / 426
제06절 증명책임 427
Ⅰ. 서 설 / 427
Ⅱ. 증명책임의 분배 / 427
Ⅲ. 증명책임의 전환 / 429
Ⅳ. 증명책임의 완화 / 429
Ⅴ. 주장책임 / 434
Ⅵ. 증명책임 없는 당사자의 사안해명의무 / 436


제4편 소송의 종료

제1장
총 설 438
제01절 소송종료사유의 개관 438
제02절 소송종료선언 438
Ⅰ. 서 설 / 439
Ⅱ. 소송종료선언의 사유 / 439
Ⅲ. 효 력 / 441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종료 442
제01절 소의 취하 442
Ⅰ. 서 설 / 442
Ⅱ. 소의 취하의 요건 / 443
Ⅲ. 소취하의 방식 / 445
Ⅳ. 소취하의 효과 / 445

Ⅴ. 소의 취하간주 / 452
Ⅵ. 소취하의 효력을 다투는 절차 / 452
제02절 청구의 포기⋅인낙 452
Ⅰ. 서 설 / 452
Ⅱ. 법적 성질 / 453
Ⅲ. 요 건 / 453
Ⅳ. 시기와 방식 / 454
Ⅴ. 효 과 / 455
제03절 재판상 화해 456
Ⅰ. 서 설 / 456
Ⅱ. 소송상 화해 / 456
Ⅲ. 제소전 화해 / 466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종료 472
제01절 총 설 472
Ⅰ. 재판의 의의 / 472
Ⅱ. 재판의 종류 / 472
제02절 판 결 473
제1관 판결의 종류 473
Ⅰ. 중간판결 / 473
Ⅱ. 종국판결 / 475
제2관 판결의 성립 480
Ⅰ. 판결내용의 확정 / 480
Ⅱ. 판결서 / 480
Ⅲ. 판결의 선고와 판결의 송달 / 482
제3관 판결의 일반적 효력 483
Ⅰ. 기속력 / 483
Ⅱ. 판결의 경정 / 483
Ⅲ. 형식적 확정력 / 486
Ⅳ. 집행력 / 489
Ⅴ. 형성력 / 490
Ⅵ. 법률요건적 효력 / 491
Ⅶ. 반사적 효력 / 491
제4관 기판력 492
Ⅰ. 의의 및 취지 / 492
Ⅱ. 기판력의 본질 / 493
Ⅲ. 기판력의 작용 / 494
Ⅳ. 기판력 있는 재판 / 508
Ⅴ.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 / 511
Ⅵ.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 / 526
Ⅶ. 기판력의 시적 범위 / 540
제5관 판결의 무효와 판결의 편취 555
Ⅰ. 판결의 부존재 / 555
Ⅱ. 판결의 무효 / 555
Ⅲ. 판결의 편취 / 557
제6관 종국판결의 부수적 재판 562
Ⅰ. 소송비용의 재판 / 562
Ⅱ. 가집행선고 / 564

제5편 병합소송

제1장
병합청구소송 570
제01절 청구의 병합 570
Ⅰ. 서 설 / 570
Ⅱ. 병합요건 / 570
Ⅲ. 병합의 형태 / 572
Ⅳ. 병합청구의 절차와 심판 / 578
Ⅴ. 목적물의 인도청구와 대상청구의 병합 / 587
제02절 청구의 변경 591
Ⅰ. 서 설 / 592
Ⅱ. 청구의 변경의 형태 / 593
Ⅲ. 요 건 / 595
Ⅳ. 절차 및 효과 / 598
Ⅴ. 심 판 / 599
제03절 중간확인의 소 601
Ⅰ. 서 설 / 601
Ⅱ. 요 건 / 601
Ⅲ. 절차 및 효과 / 602
Ⅳ. 심 판 / 602
제04절 반 소 602
Ⅰ. 서 설 / 603
Ⅱ. 반소의 형태 / 604
Ⅲ. 요 건 / 606
Ⅳ. 절차와 심판 / 611

제2장
다수당사자소송 614
제01절 공동소송 614
제1관 총 설 614
Ⅰ. 서 설 / 614
Ⅱ. 발생원인과 소멸원인 / 614
Ⅲ. 공동소송의 일반요건 / 614
제2관 통상의 공동소송 616
Ⅰ. 의 의 / 616
Ⅱ. 공동소송인 독립의 원칙 / 616
Ⅲ. 공동소송인 독립의 원칙의 수정 / 617
제3관 필수적 공동소송 619
Ⅰ. 의 의 / 619
Ⅱ. 고유필수적 공동소송 / 619
Ⅲ. 유사필수적 공동소송 / 625
Ⅳ. 필수적 공동소송의 심판 / 627
제02절 공동소송의 특수형태 633
Ⅰ.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 / 633
Ⅱ. 추가적 공동소송 / 641
제03절 선정당사자 642
Ⅰ. 의의 및 취지 / 642
Ⅱ. 요 건 / 643
Ⅲ. 선정의 방법 / 644
Ⅳ. 선정의 효과 / 646
Ⅴ. 선정당사자의 자격흠결의 효과 / 648
제04절 제3자의 소송참가 649
제1관 보조참가 649
Ⅰ. 서 설 / 649
Ⅱ. 요 건 / 649
Ⅲ. 참가의 절차와 심판 / 652
Ⅳ. 참가인의 소송상의 지위 / 654
Ⅴ. 판결의 보조참가인에 대한 효력 / 657
제2관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660
Ⅰ. 서 설 / 660
Ⅱ. 공동소송적 보조참가가 성립되는 경우 / 661
Ⅲ.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지위 / 663
Ⅳ.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의 판결의 효력 / 665
제3관 소송고지 665
Ⅰ. 의의 및 취지 / 665
Ⅱ. 요 건 / 666
Ⅲ. 소송고지의 방식 / 667
Ⅳ. 소송고지의 효과 / 667
제4관 공동소송참가 669
Ⅰ. 의의 및 취지 / 670
Ⅱ. 참가의 요건 / 670
Ⅲ. 참가의 절차와 심판 / 675
제5관 독립당사자참가 676
Ⅰ. 서 설 / 676
Ⅱ. 구 조 / 676
Ⅲ. 참가요건 / 677
Ⅳ. 참가절차 / 683
Ⅴ. 참가소송의 심판 / 684
Ⅵ. 단일소송 또는 공동소송으로 환원 / 689
제05절 당사자의 변경 693
제1관 임의적 당사자의 변경 693
Ⅰ. 서 설 / 693
Ⅱ. 필수적 공동소송인의 추가 / 694
Ⅲ. 피고의 경정 / 696
제2관 소송승계 699
Ⅰ. 서 설 / 699
Ⅱ. 당연승계 (포괄승계) / 700

Ⅲ. 소송물의 양도에 의한 승계 (특정승계) / 702
Ⅳ. 제3자의 소송인입이론 / 712

제6편 상소심 절차
제01절 총 설 714
Ⅰ. 상소의 의의 및 취지 / 714
Ⅱ. 상소의 요건 / 714
Ⅲ. 상소의 효력 / 725
제02절 항 소 727
Ⅰ. 항소의 의의 / 727
Ⅱ. 항소심의 구조 / 727
Ⅲ. 항소의 대상 / 727
Ⅳ. 항소제기의 방식 / 727
Ⅴ. 재판장의 항소장심사권 / 728
Ⅵ. 항소의 취하 / 729
Ⅶ. 부대항소 / 735
Ⅷ. 항소심의 심리 / 739
Ⅸ. 항소심의 종국적 재판 / 740
Ⅹ.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 742
제03절 상 고 751
Ⅰ. 상고의 의의 / 752
Ⅱ. 상고이유 / 752
Ⅲ. 상고심의 절차 / 753
Ⅳ. 심리불속행제도 (심리속행사유의 심사) / 756
Ⅴ. 상고심의 본안심리 / 756
Ⅵ. 상고심의 종료 / 756
제04절 항 고 762
Ⅰ. 의 의 / 762
Ⅱ. 항고의 종류 / 762
Ⅲ. 적용범위 / 763
Ⅳ. 절 차 / 763
Ⅴ. 재항고 / 765
Ⅵ. 특별항고 / 765

제7편 재심절차
Ⅰ. 재심의 개념 및 취지 / 768
Ⅱ. 재심의 소송물 / 768
Ⅲ. 재심의 적법요건 / 769
Ⅳ. 재심사유 / 772
Ⅴ. 재심의 절차 / 782
Ⅵ. 준재심 / 789

제8편 간이소송절차
Ⅰ. 독촉절차 / 794
Ⅱ. 소액사건심판절차:소액사건심판법 / 795

제9편 판례색인

저자소개

김남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변호사 - 강릉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 제47회 사법시험 합격, 사법연수원 제37기 수료 - 법무법인 현무 구성원 변호사 - 한림법학원 변호사 시험 민사법 대표강사 - 2007년 ~ 2010년 사법연수원 예비과정 - 민사재판실무.민사변호사실무 강의 주요저서 ㆍ Essential 민사소송법 핵심암기장 [윌비스, 2023] ㆍ Essential 민법 핵심암기장 [윌비스, 2023] ㆍ 푸에테 로스쿨 상법 기출지문총정리 [윌비스, 2023] ㆍ 푸에테 로스쿨 민사소송법 기출지문총정리 [윌비스, 2023] ㆍ 푸에테 로스쿨 민법 기출지문총정리 [윌비스, 2023] ㆍ Essential 민법 [윌비스, 2023] ㆍ 2023 푸에테 로스쿨 민사법 기록형 기출 [윌비스, 2022] ㆍ 푸에테 로스쿨 상법 선택형 진도별 모의고사 [윌비스, 2022] ㆍ 푸에테 로스쿨 민사소송법 선택형 진도별 모의고사 [윌비스, 2022] ㆍ 푸에테 로스쿨 민법 선택형 진도별 모의고사 [윌비스, 2022] ㆍ 푸에테 변리사 민사소송법 사례 연습 [윌비스, 2022]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