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공인노무사
· ISBN : 9791166184840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22-12-29
책 소개
목차
제1편 노동법 입문
제1장
개별적 근로관계 및 집단적 노사관계의 상황 4
제2장
헌법상 노동법적 기본권 6
제3장
민법의 적용과 수정적용 14
제4장
노동관계와 형사범죄 16
제5장
주장 및 증명책임 18
제2편 개별 근로관계법
제1장
노동법의 법원(재판규범) 23
제2장
근기법 총칙 26
제1절
근기법상 근로자 _26
제2절
근기법상 사용자 _30
제3절
근로조건 결정 및 준수 _32
제4절
노동법상의 차별금지 _33
제5절
전근대적노동관행의금지 _38
⋮
제3장
근로계약[제15조~제42조] 46
제1절
근로계약의 의의 _46
제2절
근로자⋅사용자의 근로 계약상 의무 _46
제3절
경업금지약정 _49
제4절
근로조건의 명시의무 _51
제5절
위약예정의 금지 _52
⋮
(이하생략)
제4장
임금[제43조~제49조] 57
제1절
임 금 _57
제2절
평균임금 _60
제3절
통상임금 _66
제4절
임금지급의 원칙 _73
제5절
도급⋅건설 사업 임금지급 특례 _78
⋮
(이하생략)
제5장
근로시간과 휴식 91
제1절
근로시간의 의의 _91
제2절
유연근로시간제 _94
제3절
연장근로의 제한 _98
제4절
휴게와 휴일 _99
제5절
가산임금 _102
⋮
(이하생략)
제3편 집단적 노사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 246
제1절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_246
제2절
노조법상 근로자 _246
제3절
노동조합의 설립요건 _249
제4절
법외조합의 법적 지위 _257
제5절
조합원의 지위 및 권리⋅의무 _261
⋮
(이하생략)
제2장
단체교섭 289
제1절
단체교섭의 의의 및 방식 등 _289
제2절
단체교섭의 당사자 _290
제3절
단체교섭의 담당자 _293
제4절
복수노조와 교섭창구단일화 절차 _298
제5절
단체교섭의 대상 _308
⋮
(이하생략)
제3장
노동쟁의의 조정 319
제1절
노동쟁의 조정제도의 의의 _319
제2절
공적 조정(調整)제도 _320
제3절
사적 조정(調整)제도 _326
제4절
긴급조정 _326
제4장
쟁의행위 327
제1절
쟁의행위의 개념 _327
제2절
준법투쟁 _329
제3절
노조법상 쟁의행위 보호법규 _332
제4절
노조법상 쟁의행위 제한법규 _336
제5절
쟁의행위의 정당성 판단기준 _341
⋮
(이하생략)
제5장
단체협약 372
제1절
단체협약의 의의 및 성립 _372
제2절
단체협약의 내용과 법적효력 _374
제3절
단체협약의 해석 _380
제4절
단체협약의 주요 조항 _383
제5절
단체협약의 효력 확장 _387
⋮
(이하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