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기출/문제집/모의고사
· ISBN : 9791166186035
· 쪽수 : 490쪽
· 출판일 : 2023-08-02
책 소개
목차
PART 1 선사시대와 국가의 형성
Chapter 1 역사의 의미와 한국사 2
제1절 역사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 2
제2절 역사학과 사료 비판 2
제3절 한국사와 세계사 3
Chapter 2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4
제1절 선사 시대와 민족의 형성 4
제2절 구석기와 신석기 시대 5
Chapter 3 고조선과 초기 국가 시대 9
제1절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의 형성 9
제2절 고조선과 초기 국가의 성립 13
PART 2 고대 시대
Chapter 1 고대의 정치:삼국 시대 26
제1절 고대 국가의 성립 26
제2절 삼국의 발전과 통치 체제 31
제3절 삼국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39
제4절 삼국의 통치 체제 43
Chapter 2 고대의 정치:남북국 시대 45
제1절 신라 중대 45
제2절 신라 하대 49
제3절 발해 52
제4절 남북국의 통치 체제 55
Chapter 3 고대의 경제 58
제1절 수취 제도 58
제2절 토지 제도 60
제3절 경제 생활 61
Chapter 4 고대의 사회 66
제1절 신분 제도 66
제2절 삼국 시대의 사회 모습 67
제3절 남북국 시대의 사회 모습 72
Chapter 5 고대의 문화 74
제1절 고대 문화의 성격 74
제2절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 편찬 75
제3절 불교와 그 외 사상의 발달 78
제4절 고분과 건축의 발달 84
제5절 과학기술과 예술의 발달 90
제6절 일본으로의 문화 전파 92
PART 3 중세 시대
Chapter 1 중세의 정치 98
제1절 중세 사회의 성립 98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106
제3절 문벌 귀족 사회와 무신 정권 111
제4절 고려 후기의 정치 변동 117
제5절 대외 관계의 변화 123
Chapter 2 중세의 경제 131
제1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131
제2절 토지 제도 132
제3절 경제 정책 136
제4절 경제 생활 138
Chapter 3 중세의 사회 142
제1절 고려의 신분 제도 142
제2절 백성들의 생활 모습 146
제3절 고려 후기의 사회 변화 149
Chapter 4 중세의 문화 152
제1절 유학과 성리학의 수용 152
제2절 역사서 155
제3절 불교와 기타 사상 158
제4절 건축과 공예 164
제5절 과학 기술 168
제6절 문학과 예술의 발달 171
PART 4 근세 시대
Chapter 1 근세의 정치 176
제1절 근세 사회의 성립 176
제2절 통치 체제의 정비 183
제3절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 191
제4절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 196
제5절 왜란과 호란의 극복 198
Chapter 2 근세의 경제 208
제1절 경제 정책 208
제2절 수취 제도와 재정 운영 209
제3절 토지 제도 214
제4절 경제 활동 216
Chapter 3 근세의 사회 219
제1절 조선의 신분 제도 219
제2절 사회 정책과 법률 제도 222
제3절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224
Chapter 4 근세의 문화 228
제1절 민족 문화의 융성 228
제2절 성리학의 발달 234
제3절 불교와 민간 신앙 239
제4절 과학 기술의 발달 241
제5절 건축과 공예 244
제6절 문학과 예술 247
PART 5 근대 태동기
Chapter 1 근대 태동기의 정치 254
제1절 근대 태동기와 통치 체제의 변화 254
제2절 붕당 정치의 변질과 탕평 정치 257
제3절 19세기 정치 질서의 변화 263
제4절 조선 후기 대외 관계 265
Chapter 2 근대 태동기의 경제 268
제1절 수취 체제의 개편 268
제2절 농업 경제의 변화, 발전 273
제3절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276
제4절 상업과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78
Chapter 3 근대 태동기의 사회 283
제1절 신분제의 변동 283
제2절 향촌 사회 변화와 가족 제도 287
제3절 사회 변혁의 움직임 289
Chapter 4 근대 태동기의 문화 295
제1절 성리학의 변화 295
제2절 실학과 국학의 발달 297
제3절 과학 기술의 발달 306
제4절 조선 후기 문화의 새 경향 309
제5절 건축과 공예 314
PART 6 근대 시기
Chapter 1 외세 침입과 개항 318
제1절 서구 열강의 침입과 대응 318
제2절 개화 정책 추진과 갈등 322
제3절 개항 이후의 갈등 329
Chapter 2 근대 국가 수립 운동 336
제1절 근대 개혁 운동의 전개 336
제2절 근대 국가 수립 노력 347
제3절 일제에 국권 피탈과 저항 353
Chapter 3 근대 시기의 경제, 사회 변화 363
제1절 열강의 경제 침략 363
제2절 경제적 저항 365
제3절 근대 시기의 사회 변화 369
Chapter 4 근대 시기의 문화 372
제1절 근대 문물의 수용과 발전 372
제2절 국학 연구와 문화 발전 378
PART 7 일제 강점기
Chapter 1 일제의 식민 통치 384
제1절 일제의 식민 통치 384
Chapter 2 민족 독립 운동 393
제1절 1910년대 민족 운동 393
제2절 1920년대 국내 민족 운동 403
제3절 1920년대 국외 민족 운동 411
제4절 1930~40년대 민족 운동 417
Chapter 3 일제 강점기 사회⋅문화 운동 424
제1절 일제 강점기 문화 운동 424
제2절 일제 강점기 사회 운동 430
PART 8 현대사
Chapter 1 광복과 정부 수립 436
제1절 광복과 해방 공간 436
제2절 대한민국 정부 수립 442
Chapter 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450
제1절 이승만, 장면 정부 450
제2절 박정희 정부 453
제3절 민주화 과정과 이후의 시대 457
Chapter 3 현대의 경제⋅사회⋅문화 463
제1절 현대의 경제 발전 463
제2절 현대의 사회 변동 466
제3절 현대 문화의 변화와 발전 469
Chapter 4 북한 체제의 형성과 통일을 위한 노력 472
제1절 북한사 472
제2절 통일을 위한 노력 474
PART 9 부 록
부록1 유네스코 유산 482
부록2 역대 왕 계보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