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취업/상식/적성 > 기업 적성검사 > NCS
· ISBN : 9791166472923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3-01-10
책 소개
목차
Part 01 자기개발능력
Chapter 01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직업기초능력
1. 국가직무능력표준
(1) NCS 개념 및 기대효과
(2) NCS 연혁 및 구성
2. 직업기초능력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2) 직업기초능력의 하위능력
3. 자기개발능력
(1) 자기개발능력의 의미
(2) 자기개발능력의 구성
Chapter 02 자기개발의 이해
1. 자기개발의 개념 및 필요성
(1) 자기개발의 개념
(2) 자기개발의 유익
2. 자기개발의 특징
(1) 자기개발의 주체
(2) 지향점의 다양성
(3) 평생학습의 과정
(4) 업무경력과의 관련성
3. 자기개발과 변화관리
(1) 변화의 속성
(2) 자기관리를 위한 변화관리 5단계
Chapter 03 자기개발의 적용
1. 자기개발의 방법
(1) 자아인식
(2) 자기관리
(3) 경력개발
2. 자기개발 방해요인
(1) 자기개발과 관성의 법칙
(2) 자기개발 방해요인
3. 자기브랜드 전략
(1) 자기브랜드 진단
(2) 자기브랜드의 효과
(3) 자기브랜드 개발 방법
Part 02 자아인식능력
Chapter 04 자아인식의 개념
1. 자아의 개념
2. 자아인식의 유익
(1) 자아인식의 필요성
(2) 자아인식이 주는 유익
3. 자아인식에 대한 이해
(1) 조하리의 창
(2) 프로이트의 이론
(3) MBTI
(4) DISC
Chapter 05 자아인식의 방법
1. 자기성찰
(1) 자기성찰의 의미
(2) 자기성찰의 필요요소
2. 타인과의 커뮤니케이션
3. 표준화된 심리검사 도구의 활용
4. SWOT 분석
(1) SWOT 분석의 이해 및 활용
(2) SWOT을 이용한 자아인식과 자기관리 단계
5. 강점 발견
(1) 강점의 이해
(2) 강점 발견의 방법
Chapter 06 자아인식과 패러다임
1. 자아인식과 패러다임
(1) 패러다임의 이해
(2) 패러다임 모델(SEE-DO-GET 모델) 및 특징
2. 능력성장신념
(1) 능력성장신념의 개념
(2) 능력성장신념의 행동양식
Part 03 자기관리능력
Chapter 07 자기관리 프로세스 5단계Ⅰ
1. 자기관리 프로세스 5단계
2. 1단계 : 비전 및 목표 정립
(1) 비전과 목표
(2) 비전과 목표의 구체화
3. 2단계 : 과제 발견
(1) 과제의 발견
(2) SMART 법칙
Chapter 08 자기관리 프로세스 5단계Ⅱ
1. 3단계 : 일정수립
(1) 시간관리 매트릭스
(2) 우선순위
2. 4단계 : 수행
(1) 80 대 20법칙
(2) 실행력을 높이는 방법
3. 5단계 : 반성 및 피드백
(1) 반성과 피드백을 위한 성찰
(2) 성찰의 3요소
Chapter 09 자기관리능력의 지속
1. 내면 관리
(1) 스트레스 관리하기
(2) 스트레스 관리방법
2. 회복탄력성
(1) 회복탄력성의 의미
(2) 회복탄력성의 요소
(3)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방법
3. 지속적인 쇄신
(1) 지속적인 쇄신의 의미
(2) 지속적인 쇄신의 방법
Chapter 10 자기관리능력과 합리적 의사결정
1. 의사결정 모델
(1) PROACT 의사결정 모델
(2) PROACT 의사결정 모델의 구성
2. 거절의 의사결정
(1) 거절의 의사결정
(2) 거절의 효과적인 기술
Part 04 경력개발능력
Chapter 11 경력개발의 이해
1. 경력과 경력개발
(1) 경력의 개념
(2) 경력개발의 개념
(3) 경력의 원칙
2. 경력개발의 필요성
(1) 내·외부적 환경 변화
(2) 조직의 요구
(3) 개인의 요구
3. 경력개발 단계
(1) 경력개발 단계 개요
(2) 경력개발 단계 구분
4. 경력개발 이론
(1) 개인특성 및 퍼스낼리티 관련 이론
(2) 발달관련 이론
(3) 학습관계 이론
(4) 선택관련 이론
Chapter 12 경력개발의 방법
1. 경력 닻
(1) 경력 닻의 의미
(2) 경력 닻의 구분
2. 경력개발 방법
(1) 경력개발 방법
(2) 경력개발 방법의 순서
3. 경력 포트폴리오
(1) 경력 포트폴리오의 개념
(2) 경력 포트폴리오의 중요성
(3) 경력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Chapter 13 경력개발의 새로운 이슈
1. 경력개발 및 고용변동 요인
(1) 인구구조 및 노동변동의 요인 분석
2. 취업시장의 이슈
(1) 직무능력과 직무적합성 강조
(2) 블라인드 & AI 활용 채용
(3) 경력직 선호
3. 경력개발의 이슈
(1) 일의 비연속성에 따른 경력의 불안전성
(2) 개인 주도적 경력
(3) 주관적인 구성적 경력의 중요성
(4) 관계론적 경력의 관점
4. 경력개발의 과제
(1) 경력개발의 관점 전환
(2) 경력개발을 위한 세부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