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한국어 일반
· ISBN : 9791166850707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2-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감사의 말씀
책 구성
제1장 제1언어 습득 & 제2언어 습득
1.1. 제2언어 습득 연구
1.2. 제2언어 습득 연구와 한국어 교육
1.3. 제1언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
1.4. 아동의 제1언어 습득
1.5. 아동의 이중언어 습득
1.6. 재외동포 아동의 한국어 습득
제2장 한국어 습득의 언어학
2.1. 대조 분석
2.1.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대조 분석
2.2. 오류 분석
2.2.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오류 분석
2.3. 중간언어
2.3.1. 중간언어 이론
2.3.2. 모국어 영향
2.4. 유표와 보편문법
2.4.1. 보편문법 가설
2.4.2.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보편성, 유표성
2.5. 기능적 접근법
2.5.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형식 지도
제3장 한국어 습득의 심리학
3.1. 신경언어학
3.2. 언어 학습 과정
3.3. 언어 습득 순서
3.3.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형태소 습득 순서
3.4. 입력과 출력
3.4.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입력, 출력, 입출력 기반 교수
3.5. 입력과 상호작용
3.5.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명시적, 암시적 피드백
3.6. 학습자 변인
3.6.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동기
3.6.2.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양식
3.6.3.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학습 전략
제4장 한국어 습득의 사회언어학
4.1. 의사소통 능력
4.1.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화행
4.2. 미시사회적 요인들: 상호작용
4.2.1. 한국어 교육계에서의 교실 대화
4.3. 미시사회학적 요인
4.4. 거시사회적 요인
4.5. 제도적인 힘과 제약
4.5.1. 한국어 교육 정책
제5장 제2언어 습득 이론과 연구 방법
5.1. 제2언어 습득 이론 종합 및 비판
5.2. 연구 방법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용어 해설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제2언어 습득 연구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은 언어학, 심리언어학, 사회언어학을 근간으로 발전되어 왔다. 학제 간 유기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로 짧은 시간 내 괄목할 만한 학문적 성과가 이루어졌다.
1950년대 언어학 분야에서의 이론은 구조주의로 언어 발화에 대한 기술이 주로 이루어졌다. 음운론, 어형론, 통사론, 의미론, 어휘론 등의 분야에서 언어에 대한 기술이 지배적이었다. 학습에 대한 인지주의 모형에서의 지배적인 모형은 행동주의자로 언어 입력, 자극 강화, 반응을 통한 습관 형성을 중요시하였다. 이는 청화식 교수법에 강력한 영향을 주어 반복과 습관 형성을 근간으로 언어 교수의 체계를 이루었다. 사회언어학 분야에서는 언어 처리에 있어 상호작용의 역할에 대해 논의되며 오늘날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언어학 분야에서는 학습자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언어 지식을 설명하고, 학습자의 발화에 드러난 언어 기능이 포함된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제2언어 습득 분야의 언어학적 토대는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으로 제1언어 습득, 제2언어 습득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보편문법이라는 모든 언어에 공통되는 일반적인 원리와 제약성에 대해 이론적 기틀을 잡았다. 연구자들은 언어 데이터를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며 여러 가설들을 펼쳤는데 대조 분석 가설, 오류 분석 가설, 중간언어 발달, 보편문법, 유표성, 기능유형론 등이 그것이다.
심리언어학 분야에서 Lenneberg(1967)는 언어 습득에 결정적 시기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고 오늘날 이중, 다중 언어 구사 능력 분야까지 연구 분야가 넓혀졌다. 신경기능과 언어 습득, 반구 편중화와 결정적 시기 가설, 정보 처리 과정, 재구성과 자동성, 형태소 습득 순서, 입력과 출력 그리고 학습자 변인과 관련된 학습 양식, 학습 전략, 학습 동기 등에 대한 연구까지 폭넓고 다양한 시각으로 제2언어 습득을 바라보게 된 것이다.
사회언어학 분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중간언어 화용론, 언어 입력과 상호작용, 문화변용 모델, 문화적응 이론, 담화 이론 등에 대해 논의해 왔다. 더 나아가 이중, 다중 언어 습득, 미시적 그리고 거시적 측면에서의 언어 학습 과정, 제도적인 제약에 따른 언어 정책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한국어교육 분야의 역사는 196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60여 년밖에 되지 않아 ‘한국어교육’이라는 학문적 정체성이 수립된 지는 얼마 되지 않은 신생 학문의 성격이 강하다. 한국어 교육 연구는 현장을 기반으로 하는 특수성이 있기에 연구 성격 또한 매우 실제적이고 응용적이다. 강승혜(2003)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사이를 한국어 교육의 초기 연구 기간으로 보았고, 1980년대부터는 교수법, 언어 기능, 문화 교육 등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시기로 보았다. 1990년대는 연구의 양적 증가 시기로 연구물들이 증폭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면서 교육 정책, 화용적 장르에서 새로운 내용의 논문들 또한 발표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이후는 양적 질적 증가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고 정리하였다. 강승혜는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물들은 짧은 기간 여러 영역에서 발표되어 왔다면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성격을 규명하고, 국내외 지역별, 대상별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재외동포 대상의 이중 언어 교육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한국어 교육 정책 관련까지 폭을 넓히게 되었다고 정리하였다. 연구되어 온 한국어 교육 분야 내용으로는 문법, 어휘, 발음, 화용, 한자, 문화, 교재 및 교수법, 학습자 전략 등으로 다양해졌다. 문헌 연구 중심에서 사회언어학적 연구, 조사 연구, 실험 및 관찰 연구라는 현장 기반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