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67140210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12-2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은퇴 후, 당신만은 후회하지 않기를
1부 재정독립과 경제적 자유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1장 30년 후, 어떻게 살고 싶은가
∙ 무지와 공포로 투자를 시작한 30대
∙ 또다른 ‘30대 청년’, 자본 시장
∙ 20대에서 50대까지 세대별 재정 상황
∙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선결 조건, 재정독립
∙ 돈과 인간, 자신의 속성을 파악하기
∙ 재정독립을 위한 단계별 접근
2장 나에게 맞는 투자 환경을 구축하라
∙ 먼저 나의 투자 기질을 파악하라
∙ 적극적인 네트워킹으로 정보를 쌓아라
∙ 멘토를 따라 투자 습관을 길러라
∙ 6가지 패러다임으로 세상의 변화를 감지하라
3장 투자의 기초부터 학습하라
∙ 그냥 시작하지 마라, 투자에도 설계가 필요하다
∙ 투자의 기초① 수익과 위험
∙ 투자의 기초② 분산투자
∙ 투자의 실제① 현실에서의 수익과 위험
∙ 투자의 실제② 현실에서의 분산투자
∙ 목표와 제약 조건을 반영한 투자 계획서를
만들어라
∙ 프로 골퍼처럼 끊임없이 훈련하기
4장 실전에 뛰어들기 전에 사례로 투자력을 길러라
∙ 인연, 욕심에 이끌려 투자한 실패 사례에서 배 우기
∙ 유형별 성공 사례로 충분히 투자 경험하기
∙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경계선에 서야 투자가 보인다
2부 재정독립과 경제적 자유를 위해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5장 주식_ 제국 기업을 찾아라
∙ 주식회사와 주식
∙ 개별 기업보다 산업에 대해 이해하기
∙ 산업을 분석하는 세 가지 방식
∙ 주식의 적정가치를 측정하는 방법
∙ 성공적인 주식 투자를 위한 습관
∙ 제국을 알아야 주식이 보인다
6장 부동산_ 공간과 사업을 연결하라
∙ 투자 전에 알아야 할 기초 지식
∙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 쉽지 않은 부동산 환매, 단계별로 신중히
의사결정하기
∙ 핵심은 공간에 있다
∙ 부동산 가치사슬에 따라 접근하기
7장 대체투자_ 투자 대상을 다각화하라
∙ 주식과 부동산이 전부가 아니다
∙ 희로애락을 겪으며 함께 성장하는 비상장주식
∙ 국민소득과 문화 수준이 반영된 아트 투자
∙ 에너지부터 곡물까지, 상품 투자
∙ 가장 적합한 간접 투자 펀드
∙ 신진 부르주아 세력, 디지털 자산
∙ 찾아 나서는 자만이 얻는다
에필로그: 당신에게는 아직 세 번의 기회가 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직업(職業)’의 사전적 의미는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계속해서 종사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직’과 ‘업’의 의미는 서로 다릅니다. 전자가 업무나 직무 등 ‘맡게 된 일’이라는 수동적 의미에 가깝다면, 후자는 자신이 능동적으로 선택한 일을 의미하지요.
이렇게 ‘직’과 ‘업’을 분리하는 것은 재정독립이 이뤄졌을 때 가능한 일입니다. 경제적 이유나 의무감으로 짊어지고 있던 무거운 ‘직’을 내려놓고 평소 자신이 즐기던 취미를 ‘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선제 요건이 바로 재정독립과 경제적 자유인 것입니다. 이 둘은 은퇴 후의 편안한 삶에 요구되는 필수불가결한 조건임과 동시에 자신이 소망하는 삶이나 영위하는 삶을 사는 데도 없어선 안 될 요소입니다.
― <1장 30년 후, 어떻게 살고 싶은가> 중에서
나를 파악하는 첫 번째 단계는 ‘나 자신에 대한 이해’입니다. 성공한 투자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질이 나에게는 있는지 파악해 보는 단계이지요. 기질이라 하니 타고나는 천성으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저는 투자자로서의 기질이 100퍼센트 선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30년간 저는 투자와 사업으로 성공한 분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매우 작은 소액을 종잣돈 삼아 투자해서 개인적으로 충분한 자산을 쌓은 소시민적 자본가는 물론 거대 자본을 형성할 정도의 자본가로 성공한 분들까지 그 분야와 부류도 다양했지요. 그런 투자자들과 만나 교류하고 자문도 하면서 저는 그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무언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가 그간 파악한 바에 따르면 투자에 성공하는 기초적 기질은 침착함, 과감함, 유연함, 그리고 신뢰하는 태도입니다. 그러므로 이와 반대되는 기질들, 즉 성마름, 부화뇌동하는 성격, 우유부단함, 지나친 고집, 그리고 불신하는 태도는 투자에 부적합한 기질이 되겠지요.
― <2장 나에게 맞는 투자 환경을 구축하라> 중에서
투자 프로세스도 집 짓기 과정과 비슷합니다. 투자를 위한 콘셉트를 잡고, 투자 계획서를 작성하고, 자산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배분하여 투자할지에 대한 로드맵을 설정한 뒤 실제 자산에 투자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우선은 큼직한 금액으로 다소 안전한 자산을 먼저 매입한 뒤, 상대적으로 위험도는 높지만 수익이 더 많이 예상되는 자산을 엄선해 투자해 나갑니다. 더불어 내가 투자한 자산의 성과나 상태도 수시로 점검, 성과가 좋지 않은 일부는 매각하고 다른 자산으로 바꾸어 편입시킵니다.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 목표수익이 달성된 경우엔 과감히 매각한 뒤 그 자금을 다른 자산에 투자하고, 마이너스 수익을 기록하고 있는 자산은 울며 겨자 먹는 심정으로 매각해 손실을 확정하기도 하지요.
― <3장 투자의 기초부터 학습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