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67525963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25-03-17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4
<서울특별시>
1. 봉은사 : 봉은사 모과나무
2. 응봉산 : 수도박물관 느티나무 보호수
3. 낙성대공원 : 신림동 굴참나무
4. 서울 한방진흥센터 : 선농단 향나무
5. 리움미술관 : 비술나무
6. 성균관 명륜당 : 문묘 은행나무
7. 창덕궁 : 창덕궁 뽕나무 | 창덕궁 향나무 | 창덕궁 회화나무 군| 재동 백송 | 조계사 백송 | 조계사 회화나무
8. 딜쿠샤 : 딜쿠샤 옆 은행나무
9. 덕수궁 : 덕수궁 칠엽수
<경기도>
10. 흥국사 : 흥국사 상수리나무 | 흥국사 느티나무
11. 일산 호수공원 : 고양 송포 백송
12. 김포한강야생조류생태공원 / 라베니체 : 김포 운양동 들메나무
13.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 할배, 할미 느티나무 | 깨우침을 주는 향나무
14. 수원 화성 : 화성행궁 안 느티나무 보호수 | 화성행궁 밖 느티나무 보호수
15. 갯골생태공원 : 전곡리 물푸레나무
16. 조소앙 기념관 : 양주 황방리 느티나무
17. 용문사 : 용문사 은행나무
18. 두물머리 : 두물머리 느티나무
19. 신륵사 : 신륵사 은행나무 | 신륵사 향나무
20. 영릉(英陵)·영릉(寧陵) : 여주 효종대왕릉(영릉) 회양목
21. 이천 산수유 마을 : 이천 도립리 반룡송 | 느티나무와 여섯 선비
22. 비둘기낭 폭포 : 포천 직두리 부부송
23. 화적연 포천 : 초과리 오리나무
<인천광역시>
24. 강화 고려궁지 : 고려궁터 회화나무 | 고려궁터 느티나무 | 북문 산책로 입구 은행나무
25. 연미정 : 연미정 느티나무
26. 강화 갑곶돈대 :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27. 전등사 전등사 : 느티나무 | 노승나무와 동자승나무 | 전등사 팥배나무
28. 동막해수욕장 :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29. 인천 개항누리길 : 자유공원 플라타너스 |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강원도>
30. 오죽헌 : 강릉 오죽헌 율곡매 | 사임당 배롱나무 | 율곡송 | 강릉 방동리 무궁화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31. 정동진 : 강릉 산계리 굴참나무 군 | 강릉 현내리 고욤나무
32. 장호항 : 삼척 궁촌리 음나무
33. 동화마을수목원 : 반계리 은행나무 |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충청북도>
34. 문광저수지 : 괴산 율지리 미선나무 자생지 |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35. 법주사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보은 서원리 소나무
36. 삼년산성 : 보은 용곡리 고욤나무
37. 악어봉 :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충청남도>
38. 안국사지 :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
39. 당진 면천읍성 : 당진 면천 은행나무
40. 금헌 영정각 :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
41. 유기방가옥 : 서산 유기방가옥 여리미 비자나무·감나무
42. 해미읍성 : 해미읍성 회화나무 | 해미읍성 느티나무
43. 서천 국립생태원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
44. 추사고택 : 예산 용궁리 백송
<전라북도>
45. 선운사 : 고창 삼인리 송악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 | 고창 교촌리 멀구슬나무 | 고창 수동리 팽나무
46. 고창 청보리밭 :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 고창 하고리 왕버들나무 숲
47. 벽골제 : 행촌리 느티나무
48. 남원 광한루원 : 남원 진기리 느티나무
49. 내소사 : 내소사의 할머니·할아버지 느티나무
50. 채석강 적벽강 일원 :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 |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
51. 백제왕궁박물관 : 전주 삼천동 곰솔
52. 아가페정원 : 아가페정원 메타세쿼이아길
53. 논개사당 : 장수 장수리 의암송 | 장수군청 앞 은행나무 |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
54. 마이산 도립공원 :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 | 마이산 능소화
55. 마이산 은수사 : 은수사 청실배나무
56. 정천 망향의 동산 : 진안 천황사 전나무 |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전라남도>
57. 고려청자박물관 :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
58. 전라병영성 :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59. 강진 백련사 :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60. 광양 옥룡사 동백나무 숲 : 가시나무
61. 광양 유당공원 : 광양읍수와 이팝나무
62. 광양 매화마을 : 매화(매실)나무
63. 광주호 호수생태원 : 광주 충효동 왕버들 군
64. 구례 산수유 마을 : 산수유
65. 화엄사 : 구례 화엄사 화엄매 | 길상암 들매화 | 화엄사 올벚나무
66. 소쇄원 : 담양 후산리 은행나무 |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
67. 관방제림 :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 담양 대치리 느티나무
68. 자산어보 영화 촬영지 : 도초도 팽나무 10리길
69. 청해진 유적 :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 군락
<경상북도>
70. 감은사지 : 감은사지 느티나무 고사목
71. 문경 장수황씨 종택 : 문경 장수황씨 종택 탱자나무 | 문경 대하리 소나무 | 문경 화산리 반송
72. 도남서원 : 상주 상현리 반송 | 소나무 이야기
73. 낙강물길공원 : 안동 구리 측백나무숲 | 안동 사신리 느티나무 |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
74. 병산서원 : 배롱나무
75. 초간정 : 예천 천향리 석송령
76. 회룡포 : 예천 금남리 황목근
77. 삼강주막 마을 : 삼강주막 회화나무 | 상주 두곡리 뽕나무 | 상주 두곡리 은행나무
78. 국립해양과학관 : 울진 화성리 향나무 | 울진 후정리 향나무
79. 망양정 :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 울진 행곡리 처진소나무
80. 주산지 : 청송 주왕산 주산지 왕버들
<경상남도>
81.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 산닥나무
82.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 푸조나무 | 윤노리나무
83.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 육박나무 | 생달나무
84. 가천 다랭이마을 :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85. 사천 무지개 해안도로 : 사천 성내리 비자나무
86. 대방진 굴항 : 팽나무와 느티나무
88. 평사리 최참판댁 : 하동 송림 | 하동 축지리 문암송
89. 개평한옥문화체험휴양마을 : 함양 학사루 느티나무
90. 오도재/지리산 조망공원 : 함양 목현리 구송
91. 함양 상림공원 : 함양 상림공원
92. 거연정 :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부산광역시>
93. 범어사 : 부산 범어사 등나무 군락
94. 부산 시민공원 : 부산 구포동 당숲 |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 부산 좌수영성지 곰솔|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제주도>
95. 천지연 폭포 : 천지연 난대림 |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96. 성산 일출봉 : 평대리 비자나무숲
97. 새연교 : 제주 한란
98. 사려니 숲길 : 제주 산천단 곰솔 군 |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 제주 수산리 곰솔
99. 너븐숭이 4.3 기념관 : 제주 도련동 귤나무류 | 제주 납읍리 난대림
100. 제주 현대미술관 :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리뷰
책속에서
예로부터 은행나무는 유교를 상징하는 나무로, 공자가 은행나무 아래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행단(杏檀)을 상징하여 우리나라 성균관과 향교에는 모두 은행나무를 심었습니다. 수령 500년의 문묘 은행나무는 조선 중종 14년, 대사성 윤탁이 심었다고 전해집니다.
문묘 은행나무는 임진왜란 당시 불에 타 없어졌던 문묘를 다시 세울 때 함께 심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2년 천연기념물 제5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대학캠퍼스는 서울에서 도시의 단풍을 즐기기 좋은 장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명륜당이 있는 성균관대학교는 은행나무 외에도 아름드리 회화나무, 느티나무, 말채나무, 팥배나무 등 다양한 수종의 고목들이 마당을 두르듯 서 있습니다. 캠퍼스 후문에서 삼청동으로 연결되는 길과 와룡공원으로 갈 수 있는 성곽길 등 가볍게 산책하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기도 합니다.
딜쿠샤와 관련된 기억과 기록의 대부분은 이 은행나무와 실타래처럼 얽혀 있습니다. 앨버트 테일러와 메리 테일러 부부가 1923년 이곳에 집을 지은 이유도 은행나무에 한눈에 반했기 때문이라고 전해집니다.
또한, 아들 브루스 테일러가 64년 만에 이 집에 돌아오게 된 이유도 은행나무 아래서 보낸 유년 시절의 추억을 되새기기 위해서였으며, 결국 은행나무를 단서로 딜쿠샤를 찾아낸 것이었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1976년 보호수로 지정될 당시 수령이 약 420년으로 추정되었습니다. 현재 은행나무가 자리한 서울 종로구 행촌동 1-64번지는 권율 장군의 집터이기도 합니다.
<은행나무, 침엽수인가 활엽수인가?>
부채꼴 형태인 은행나무의 잎을 자세히 보면 잎맥이 나란히 배열된 나란히맥 구조를 띠고 있습니다. 그 각각의 바늘잎을 방사형으로 모아놓은 형태와 유사하다 하여 일부에서는 은행나무를 침엽수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은행나무가 전통적인 침엽수와 활엽수의 구분 기준을 따르지 않는 독특한 식물이긴 해도 겉씨식물이라고 해서 반드시 침엽수는 아니며, 활엽수로 보는 것이 맞습니다.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숲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동백나무 군락지 중 하나로, 577년 백제 위덕왕 때 선운사가 창건된 이후 조성된 숲입니다. 조선 성종 대에는 동백기름을 짜기 위해 동백나무를 심었으며, 동시에 산불을 예방하기 위한 방화림의 역할도 수행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현재 3,000여 그루의 동백나무가 선운사 대웅전 뒤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습니다. 이처럼 사찰림(寺刹林)으로서의 역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오래된 동백나무 군락으로서의 생물학적 보존 가치도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