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91168102187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3-11-24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06
프롤로그 2081년 3월 4일 우리 집에 난리가 났다! 10
1장 압록강을 건너 청나라로!
1780년 6월 24일 압록강을 건너다 27
1780년 6월 27일 책문에 도착하다 40
1780년 6월 28일 청나라의 벽돌집을 보다 50
1780년 7월 1일 투전판과 깃털 없는 닭을 구경하다 56
1780년 7월 2일 청나라에서는 동물보다 농사가 우선이다 61
1780년 7월 7일 물살 센 청나라 강을 건너다 65
2장 드디어 심양에 왔다!
1780년 7월 10일 심양에 도착하다 71
1780년 7월 12일 낙타를 구경하다 76
1780년 7월 13일 참외 할머니를 만나다 82
1780년 7월 14일 청나라 저잣거리를 구경하다 93
3장 심양에서 산해관으로!
1780년 7월 15일 청나라 시장을 구경하다 103
1780년 7월 18일 고교보에 도착하다 105
1780년 7월 22일 관제묘에 들르다 111
1780년 7월 23일 재주 부리는 여자아이들을 만나다 117
4장 산해관을 지나 연경으로!
1780년 7월 26일 산해관을 통과하다 123
1780년 7월 28일 고려보를 지나치다 133
1780년 8월 1일 연경에 도착하다 137
1780년 8월 2일 사신 일행의 선물을 구경하다 141
5장 열하를 향하여!
1780년 8월 5일 열하를 향해 길을 떠나다 147
1780년 8월 6일 백하를 건너다 158
1780년 8월 7일 만리장성을 만나다 163
1780년 8월 8일 하루 만에 연암 어른을 다시 뵙다 172
6장 열하가 바로 여기야!
1780년 8월 10일 열하에 도착하다 179
1780년 8월 11일 장터에서 술자리를 벌이다 185
1780년 8월 13일 청나라 말을 구경하다 191
7장 다시 연경으로!
1780년 8월 17일 연경으로 돌아가다 199
1780년 8월 18일 백하를 다시 건너다 202
1780년 8월 19일 청나라 감을 먹어 보다 204
1780년 8월 20일 연경에 돌아오다 206
에필로그 1805년 10월 20일 연암 어른께서 돌아가셨다! 210
책속에서
“기자 여러분. 여기 있는 이 《창대의 일기》는 정말 대단한 자료입니다. 우리 역사상 최초로 노비가 기록한 일기니까요. 그런 일기를 남긴 창대라는 어른은 역사에 반드시 기록해야 합니다. 그뿐이 아닙니다. 노비 출신이면서도 후대를 위해 귀한 기록을 남긴 어른의 유물을 오늘날까지 안전하게 보존해 온 김씨 가문에게도 큰 박수를 보내야 할 것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김청규 씨 가문이야말로 진정 뛰어난 가문입니다. 노비로 태어났지만,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어 공부하고 좋은 글을 남긴 조상을 두었으니 말입니다.”
“짝짝짝!”
한 기자가 박수를 치기 시작했다. 그러자 여기저기서 박수 소리가 이어졌고, 결국 온 집안이 박수 소리로 들썩였다.
“맞습니다. 천민으로 태어나 이 귀한 기록을 남긴 창대 어른과, 그 귀한 자료를 300년 가까이 온전히 보존해 온 김씨 가문에 감사드립니다.”
처음 박수를 치기 시작한 기자가 소리 높여 말했다.
오늘에야 비로소 청나라에 발을 들여놓았다. 아, 엄밀히 말하면 아직 청나라가 아니다. 우리 조선과 청나라 국경 사이에는 아무도 살지 않는 땅이 있다. 그러니 이곳은 그 어느 나라도 아닌 셈이다.
내가 모시는 분 이름은 박지원으로, 우리는 ‘연암 어른’이라고 부른다. 이분은 벼슬아치도 아닌데, 집안이 워낙 좋다. 말 그대로 양반 가문이다. 이번에 청나라에 가는 사신을 이끄는 분은 연암 어른의 팔촌 형님인 박명원 어른이다. 연암 어른은 그 덕에 따라가게 된 것이다. 청나라에 왜 가느냐고? 청나라 황제인 건륭제의 일흔 살 생신을 축하하러 가는 거다.
하나 더 놀랄 만한 것은 청나라 집들은 대부분 벽돌로 지었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벽돌은 정말 귀하다. 연암 어른 따라서 갔던 궁궐이나, 양반네 큰 집에서 가끔 보았을 뿐이다. 그 대신 우리나라 집들은 황토와 돌로 짓는 게 일반적이다. 아, 양반네 집은 좋은 나무로 짓고. 그런데 청나라 집들은 대부분 벽돌집이다. 어디서 그 많은 벽돌을 만드는지 궁금했는데, 오늘 벽돌 만드는 곳을 지나쳐 왔다. 벽돌 만드는 곳은 생각보다 넓었다. 한쪽에는 벽돌 굽는 가마가 있고, 다른 쪽에는 벽돌을 빚기 위한 흙이 산처럼 쌓여 있다. 넓은 마당에서는 수십 명이 웃통을 벗어젖힌 채 진흙을 물로 이겨 벽돌 모양으로 빚어 가지런히 놓고 있었다. 그렇게 말린 후 가마에 굽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