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문법론/통사론
· ISBN : 979116810377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8-20
책 소개
단어형성, 음운, 어휘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한국어 구어(口語)의 양상
개별 언어에 대한 기술과 설명은 일차적으로 글로 쓰여진 것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문법(文法)’이라는 단어도 이러한 사실에 유래했다. 한편 같은 언어라도 말로 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어의 경우는 규범으로 정한 표준어가 있기 때문에 글로 쓰는 한국어는 표준어로 쓰게 된다. 그러나 말을 할 때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자신의 방언을 쓰는 경우도 있고 상대방을 고려해 공통어(서울말)를 쓰는 경우도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단편적으로 다루어져 왔던, 말할 때 쓰는 한국어(공통어)의 양상을 정리한 것이다. 보통은 ‘구어(口語)’라고 부르는데, 구어의 양상은 역설적이게도 글로 쓰는 표준어의 모습을 알아야 더 분명히 이해된다. 구어의 양상이 표준어와 다르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이 책에서는 표준어의 양상을 먼저 제시하고 뒤이어 구어의 모습을 보이는 방식을 취했다.
본문은 ‘용언의 활용형’, ‘체언과 조사 결합’, ‘단어형성’, ‘음운’, ‘어휘’에 관한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언의 활용형은 어간에 관한 부분(2-16장)과 어미에 관한 부분(17-22장)으로 나누었고, 체언과 조사 결합은 명사, 대명사 어간에 관한 부분(23-26장)과 조사에 관한 부분(27-29장)으로 되어 있다. 단어형성에 관해서는 ‘사이시옷, 부사, 이중피동’에 대해서만 간략히 다루었으며, 음운에 관한 내용은 구어에서 문제가 되는 주제만 골라 제시했다(33-38장). 구어에서 쓰이는 개별 어미의 형태 그리고 단어들은 별도의 장(39-40장)에서 예를 중심으로 제시했다. 해당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 일반 언어학의 개념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장 전통적이고 널리 알려진 개념 정의를 간략히 소개했다.
목차
서문
1. 용어(用語) 해설
2. 활용, 어미의 분류
3. ㄷ불규칙용언
4. ㅂ불규칙용언
5. ㅅ불규칙용언
6. ‘르’불규칙용언, ‘러’불규칙용언
7. ‘하다’ 용언의 활용(‘여’불규칙)
8. ‘하다’ 축약
9. ㄹ 어간
10. ‘있다, 없다, 계시다, 있으시다’의 활용
11. 모음 ‘ㅗ, ㅜ’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2. 모음 ‘ㅚ’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3. 모음 ‘ㅐ, ㅔ’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4. 모음 ‘ㅡ’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5. 모음 ‘ㅏ, ㅓ’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6. 모음 ‘ㅣ, ㅟ’로 끝나는 용언 어간과 모음어미 ‘-아/-어’ 결합
17. 종결어미 ‘-느냐/-으냐, -냐’
18. 종결어미 ‘-니?, -으니?’
19. 종결어미 ‘-는가/-은가, -나’
20. 종결어미 ‘-네’
21. 종결어미 ‘-으오, -오, -소, -으우, -우’
22. 간접화법
23. 명사 어간 말음 - ㅌ, ㅈ, ㅊ
24. 명사 어간 말음 - ㅍ, ㅋ
25. 명사 어간 말음 - 자음군
26. 대명사
27. 격조사, 보조사, 의존명사
28. 조사 ‘-요, -이요’
29. 조사 ‘-밖에, -뿐이’
30. 사이시옷
31. ‘-이, -히’ 부사
32. 이중피동
33. 모음체계
34. 문자 ‘의’의 발음
35. 음장
36. 모음조화
37. 자음군단순화
38. 외래어의 발음
39. 개별 어미의 형태
40. 어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