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91168753860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24-11-20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자동차용 엔진의 개요
1. 자동차용 엔진의 종류
1.1. 가솔린엔진
1.2. GDI엔진
1.3. LPG엔진
1.4. LPI엔진
1.5. CNG엔진
1.6. 디젤엔진
1.7. 하이브리드 엔진
2. 자동차용 엔진의 분류
2.1. 열기관의 분류
2.2. 행정과 사이클에 의한 분류
2.3. 점화방식에 의한 분류
2.4. 행정과 내경에 의한 분류
2.5. 냉각방식에 의한 분류
2.6. 실린더 수와 배열에 의한 분류
2.7. 캠축 및 밸브배열에 의한 분류
3. 엔진 사이클의 종류
3.1. 오토 사이클
3.2. 디젤 사이클
3.3. 사바테 사이클
3.4. 각 사이클의 효율 비교
4. 행정체적과 마력
4.1. 행정체적
4.2. 압축비
4.3. 엔진의 마력
4.4. 평균 유효압력
5. 엔진의 효율 및 성능곡선과 연료소비율
5.1. 기계효율
5.2. 체적효율
5.3. 엔진의 성능곡선 및 연료소비율
6. 엔진의 작동
6.1. 4행정과 2행정 사이클 엔진의 장⋅단점
6.2. 4행정과 2행정 사이클 엔진의 작동
CHAPTER 02 가솔린엔진 본체
1. 실린더헤드(cylinder head)
1.1. 연소실
1.2. 실린더헤드 개스킷
2. 실린더블록(cylinder block)
2.1. 실린더
2.2. 실린더 라이너
2.3. 크랭크케이스와 오일 팬
3. 피스톤 및 커넥팅로드
3.1. 피스톤
3.2. 피스톤 링
3.3. 피스톤 핀
3.4. 커넥팅로드
4. 크랭크축과 베어링 및 플라이휠
4.1. 크랭크축
4.2. 엔진 베어링
4.3. 플라이휠
5. 밸브기구
5.1. 밸브기구의 개요
5.2. 밸브설치에 의한 분류
5.3. 밸브의 작동기구
5.4. 나트륨 냉각밸브
5.5. 멀티밸브 엔진
5.6. 밸브개폐시기
5.7. 밸브타이밍 가변제어 타이밍장치(VVTS)
6. 캠축과 캠
6.1. 캠축
6.2. 캠
6.3. 캠축 구동방식
CHAPTER 03 가솔린 윤활장치
1. 윤활장치의 개요
1.1. 윤활유의 작용
1.2. 윤활유의 요구특성
1.3. 엔진의 마찰과 마멸
1.4. 윤활유 첨가제
1.5. 윤활유의 성상
1.6. 윤활형태에 미치는 영향
2. 윤활유의 분류
2.1. 윤활유의 종류
2.2. SAE 분류
2.3. API 분류
2.4. API서비스 분류(SAE 신분류)
2.5. ACEA 점도분류
2.6. ILSAC
3. 윤활장치의 구조
3.1. 오일팬(oil pan)
3.2. 오일 쿨러(oil cooler)
3.3. 오일펌프(oil pump)
3.4. 오일필터와 여과방식
3.5. 오일 스트레이너
3.6. 유압조절밸브(릴리프밸브)
3.7. 엔진오일의 점검과 유압계
CHAPTER 04 가솔린 냉각장치
1. 냉각장치의 필요성
2. 냉각장치의 분류
2.1. 공랭식 냉각장치
2.2. 수냉식 냉각장치
3. 냉각장치의 구성
3.1. 냉각수와 부동액
3.2. 워터펌프(water pump)
3.3. 구동벨트(drive belt)
3.4. 냉각팬(cooling fan)
3.5. 워터재킷(water jacket)
3.6. 라디에이터(방열기)
3.7. 수온조절기(thermostat)
4. 신 냉각시스템
4.1. 분리 냉각방식
4.2. 입⋅출구 제어방식
4.3. 엔진의 과열 및 과냉원인
CHAPTER 05 흡⋅배기장치 및 배출가스
1. 흡기 및 배기장치
1.1. 흡기계통
1.2. 가변 흡입장치(VICS)
1.3. 배기계통
2. 과급장치(super charger)
2.1. 터보차저
2.2. 과급압력 제어
2.3. 인터쿨러(inter cooler)
2.4. 슈퍼차저(super charger)
3. 자동차 배출가스대책
3.1. 배출가스의 개요
3.2. 배기가스(exhaust gas)
3.3. 배기가스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4. 배출가스 제어시스템
CHAPTER 06 연료와 가솔린 연료장치
1. 연료의 개요
1.1. 가솔린의 생산과정
1.2. 연료의 분류
1.3. 자동차용 엔진의 연료
2. 연소이론
2.1. 연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2.2. 완전연소
2.3. 불안전연소
2.4. 연소의 반응식
2.5.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
2.6. 엔진의 연소구분
2.7. 엔진의 이상연소
3. 가솔린 연료장치(fuel system)
3.1. 연료장치 방식
3.2. 연료탱크(fuel tank)
3.3. 연료여과기(fuel filter)
3.4. 연료펌프(fuel pump)
3.5. 연료파이프(fuel pipe)
3.6. 기화기(carburetor)
3.7. 딜리버리 파이프
3.8. 연료압력 조절기
3.9. 인젝터(injector)
CHAPTER 07 가솔린 전자제어
1. 가솔린 전자제어의 개요
1.1. 가솔린 전자제어의 개요 272 1.2. 전자제어 엔진의 특징
2. 가솔린 전자제어 엔진시스템
2.1. 가솔린 전자제어 엔진시스템
2.2. 가솔린 분사시스템의 분류
3. 가솔린엔진 제어용 센서
3.1. 온도 검출용 센서
3.2. 압력 검출용 센서
3.3. 공기유량센서
3.4. 위치 및 회전각센서
3.5. 산소센서
3.6. NOx센서
3.7. 노크센서
3.8. 차속센서
3.9. 인히비터스위치
4. ECU(electronic control unit)
4.1. ECU의 개요
4.2. ECU의 작동
4.3. 자기진단기능
4.4. 페일 백업기능
4.5. 적응 학습제어
4.6. 점화스위치 Off시 ECU의 가동
5. OBD(on board diagnosis)
5.1. OBD의 개요
5.2. OBD-Ⅱ
5.3. EOBD
5.4. 자기진단 커넥터
6. GDI(gasoline direct injection) 엔진
6.1. GDI방식의 장단점
6.2. GDI시스템의 적용기술
6.3. GDI엔진의 희박 연소 과정
6.4. GDI엔진의 제어
6.5. 매니폴드 스로틀밸브(MTV)
6.6. GDI시스템의 연료공급 회로
6.7. 연료제어(fuel control)
CHAPTER 08 가솔린 점화장치
1. 점화장치의 개요
1.1. 점화장치의 분류
1.2. 연소와 점화시기
1.3. 고압의 발생원리
1.4. 자기유도작용
1.5. 상호유도작용
2. 점화장치의 분류
2.1. 접점식 점화장치
2.2. 트랜지스터식 점화장치
2.3. 자석식 점화장치
2.4. 콘덴서 방전식 점화장치
3. 점화장치의 구성
3.1. 점화코일
3.2. 점화케이블
3.3. 점화플러그
4. 컴퓨터 제어방식의 점화장치
4.1. 컴퓨터 제어방식 점화장치의 개요
4.2. HEL의 구조와 작동
4.3. 전자배전 점화장치(DLI)
5.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점화장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