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선박검사론

선박검사론

(Ship Surveys and Inspections, 수정판)

임정빈 (지은이)
해광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8,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선박검사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선박검사론 (Ship Surveys and Inspections, 수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ISBN : 9791168814851
· 쪽수 : 253쪽
· 출판일 : 2023-08-15

책 소개

국제해사기구에서는 해상에서의 환경보호와 인명안전 그리고 재화의 보호를 위하여 선박검사와 관련된 다양한 국제 규정을 제정하고 있다.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에서 실시되고 있는 점검 및 검사와 관련된 항만국통제에 중점을 두어 집필한 교재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선박검사론 개요
1. 교재 개요
1.1. 교재의 목적
1.2. 교재의 목표
1.3. 교재의 범위
2. 교재 집필 원칙
2.1. 교재의 제한 사항
2.2. 맞춤법
2.3. 출처표시
2.4. 단위 표시
3. 용어
3.1. 선박검사 관련 용어
3.2. 검수사, 검량사, 감정사
4. 관련 사진
4.1. 생존 장비
4.2. 소화 장비
4.3. 각종 심벌과 표지
4.4. 환기 시설
4.5. 기관실 장비
4.6. 탈출 시설
4.7. 선박 관리
4.8. 각종 항해 장비

제2장 선박검사관련 국내규정
1. 학습 목표와 주요 내용
1.1 학습 목표
1.2 학습 내용
1.3 주요 내용
2. 선박안전법
2.1 선박안전법 개요
2.2 선박검사와 관련된 선박안전법의 주요 내용
3. 선박안전법시행령
4. 선박안전법시행규칙

제3장 선박검사 실무
1. 개요
1.1 학습 목적
1.2 학습 내용
1.3 주요 내용
2. 선박 검사 목록
2.1 선박 검사 방법의 요약
3. 각종 장비 검사 방법
3.1 소화기
3.2 소화 장비와 선박에서의 예방조치
3.3 구명정
3.4 조타 기어 시스템
3.5 유수분리기
3.6 로드-라인 조사
3.7 선체의 균열 또는 변형의 식별
3.8 해치커버
3.9 방수 격벽
3.10 화재통제계획서
3.11 국제해안연결장치(ISC)

제4장 항만국통제 실무
1. 개요
1.1 학습 목적
1.2 학습 내용
1.3 주요 내용
2. PSC 개요
2.1 PSC와 MOU
2.2 파리 MOU의 등장
2.3 파리 MOU가 체결된 원인
2.4 PSC 조사에서 확인된 선박 증서와 문서
3. PSC 업무절차
3.1 일반사항
3.2 통상적인 PSC 점검 방법
3.3 PSC 지적 예방 방법
4. 로이드 선급의 PSC 검사 항목
4.1 로이드 점검목록 책자의 개요
4.2 주요한 공통 지적사항
4.3 선장 집무실에 비치해야 될 서류
4.4 선교에 비치해야 될 서류
4.5 인명구조 장비
4.6 거주구역
4.7 갑판
4.8 작업구역
4.9 기관실
4.10 PSC의 집중 점검 대상 선박
4.11 로이드 선급 소개
5. 한국선급의 PSC 주요 지적 사례
5.1 2014년 주요 지적사항
5.2 2015년 주요 지적사항
5.3 KR이 제안한 PSC 출항정지 방지 대응 방안
5.4 2015년 PSC의 CIC

제5장 2017년 HSSC
1. 개요
1.1 학습 목적
1.2 학습 내용
1.3 주요 내용
2. HSS의 개요
2.1 HSSC의 배경
2.2 HSSC의 구성
3. HSS의 특징
3.1 HSSC의 조화성
3.2 환경을 고려한 HSSC
3.3 유연한 검사주기를 제공하는 HSSC
3.4 SOLAS 변경의 고려
3.5 LLC의 고려
3.6 검사의 종류
3.7 지침의 적용과 실행
4. 검사 형태의 설명
4.1 초기검사(I)
4.2 연차검사(A)
4.3 중간검사(In)
4.4 정기검사(P)
4.5 갱신검사(R)
4.6 화물선 선저 외부의 점검(B)
4.7 추가검사(Ad)
5. 검사의 완료
5.1 일반사항
5.2 극지해역의 경우
5.3 로드-라인
6. 용어와 관련 항목의 해석
6.1 5년 미만 발급 인증서의 연장
6.2 선저 외관 점검 사이의 기간 연장
6.3 단기 항해의 정의
6.4 특별한 상황의 적용
6.5 인증서의 재검증
6.6 모든 5년 기간의 의미
6.7 선박의 기국 이전 후 요구사항
6.8 인증서 유효기간 연장 조건
6.9 여객선 선저 외관의 점검
6.10 무선설비 검사
6.11 AIS 검사
6.12 극지해역 운항선박 검사
7. 부록
7.1 부록 1
7.2 부록 2
8. 부속서 1의 내용
8.1 부속서 1의 목록
8.2 화물선 안전장비 인증에 대한 검사지침
9. 의결서 A.1119(30)
9.1 개요
9.2 목차
9.3 중요한 정의
9.4 부속서 12

제6장 PSC 관련 국제규정
1. 개요
1.1 학습 목적
1.2 학습 내용
1.3 주요 내용
2. 국제법의 용어 이해
2.1 협약
2.2 의정서 또는 프로토콜
2.3 개정 방법
2.4 결의서
2.5 코드
2.6 회람
3. IMO
3.1 탄생 배경
3.2 위원회 구성
4. IACS
5. 1974 SOLAS
5.1 1974 SOLA의 배경
5.2 제1장 일반조항
5.3 제2장 선박 건조와 화재방지
5.4 제3장 인명구조장비
5.5 제4장 무선통신장치
5.6 제5장 항해 안전
5.7 제6장 화물 운송
5.8 제7장 위험물 운송
5.9 제8장 핵추진 선박
5.10 제9장 안전운항 관리
5.11 제10장 일반조항
5.12 기타 조항 
6. MLC
7. MARPOL
8. STCW
8.1 STCW 협약
8.2 STCW 코드
9. ISM Code
10. ISPS Code
10.1 개요
10.2 ISPS 요구사항

참고문헌
1. 자기컴퍼스
2. 전자컴퍼스
3. 자이로컴퍼스
4. 선속계
5. 수심측정장치
6. 자동조타장치
7. 항해정보기록장치
8. 기타 지원 장치
9. 기타

저자소개

임정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교수 현) 한국항해항만학회 회장 한국해양대학교 운항훈련원장, 학부장 한국 Sea Grant 협의회 회장 해군사관학교 교수 해군 해양연구소 음파부 분석실장 일본 동경해양대학교 교환교수 목포해양대학교 교수, 기획처장, 산학협력단장 항해사(라스코해운, 수일해운) 부경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박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항해학과(석사)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과(학사)
펼치기

책속에서

1. 교재의 목적
이 교재의 목적은 선원과 선박 및 화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국내외 선박검사 제도와 규정, 방법 등을 학습하여 해상운송 분야에서의 선박검사 능력을 향상하는데 있다.

2. 교재의 목표
이 교재의 목표는 국내외 선박검사 관련 법령과 규정 및 기술을 습득하고, 항만국통제(Port State Control, PSC)의 주요 내용과 주요 지적사항을 숙지하여 철저한 선박 관리와 유지보수 태세를 완비함으로써 선박검사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기를 예방하는데 있다.

3. 교재의 범위
선박검사에는 다양한 국내외 규정과 선박 구조의 이해, 각종 인명구조 장비와 기구의 이해 등에 더하여 물리, 유체역학, 동역학 등의 공학적인 기초지식이 필요하다.
이러한 모든 내용을 이 교재에 수록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이 교재에서는 선박의 사관들이 필수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일부 핵심사항만을 기술하였다. 각 장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선박검사론 교재에 관한 개요를 기술하였다. 교재의 목적과 학습내용 그리고 가장 중요한 용어 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은 선박검사 관련 국내 규정을 다루었다. 주로 선박안전법과 시행령 및 시행 규칙을 설명하였다.
제3장은 국제항해에 종사하는 선박에 대해서 실행되고 있는 선박검사 실무를 다루었다. 제3장을 통해서 어떠한 항목이 선박검사 대상인지를 알 수 있다.
제4장은 항만국통제(PSC) 실무에 관한 것이다. PSC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관계기관의 지적사항 등을 학습하여 PSC 관련 국제규정을 학습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제5장은 이 교재의 핵심이 될 수 있는 2017년 의결서 A.1120(30)의 조화로운 선박검사(일명 HSSC)에 관한 규정이 해석되어 있다. 아울러 선박검사 주기와 방법 등도 기술되어 있다.
제6장은 PSC와 관련된 다양한 국제규정들이 소개되어 있다. PSC는 의결서 A.1120(30)과 같이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제규정이 포함되고 연계되어 적용된다. 제6장에서는 다양한 국제 규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참고문헌이 수록되어 있다. 이 참고문헌들은 선박검사와 관련된 각종 항해장비들에 관한 것들이다. 그리고 선박검사와 직접 관련된 참고문헌은 본문에 나타내서, 학습자들이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상세한 내용의 학습을 원하는 학습자들은 각종 참고문헌에 나타난 웹사이트를 통하여 해당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