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내과일반
· ISBN : 979117068323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8-08
책 소개
당뇨병은 만성적으로 고혈당을 일으킨 상태이며 혈당이 올라가는 배경에 다양한 병태 생리가 관여하는 매우 이질적 질환입니다. 세상에는 당뇨병 환자의 혈당 수치만큼 많은 종류의 당뇨병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당뇨병의 진단에서부터 혈당 조절 상태의 평가와 합병증을 종합하여 각 환자에게 어떤 대책이 필요할지에 대한 딜레마를 만나게 됩니다. 이럴 때 당뇨병 진료지침을 찾게 되지만, 임상가에게 던져진 메시지는 다양한 조건을 제시하며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선택하라는 또 다른 딜레마뿐입니다. 이렇게 당뇨병을 진료하는 의사는 환자의 병태 생리 파악에서부터 선별검사와 치료제 선택까지 많은 딜레마를 일상적으로 만나게 됩니다. 이 책은 당뇨병의 진단에서부터 최초의 평가, 심혈관질환의 진단과 치료, 당뇨병 합병증의 관리까지를 4개의 파트로 나누어 모두 22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장에 현재 당뇨병 진료에서 만나는 다양한 딜레마와 그에 대한 해결책 제시에 깊은 통찰을 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당뇨병 진료에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에서 환자에게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한 고민에 동참하도록 초대합니다. 개개 환자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최선의 진료가 가능한 방향을 찾아갈 수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최선의 진료를 위해 항상 고민하는 전문가에게 지적 호기심을 높이기에 이 책이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어려운 여건 중에서도 <당뇨병 딜레마>를 세상에 내보내 준 군자출판사 여러분에게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목차
제 1 부 당뇨병과 당뇨병 전단계 진단
1 당뇨병 전단계는 위험요인일까 아니면 질병일까?
2 1형당뇨병의 조기 진단: 유용한가 아니면 허망한 승리인가?
3 당뇨병의 재분류: 임상적 특성이 당뇨병 분류와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
4 2차당뇨병의 감별
5 단일유전자 당뇨병의 선별
제 2 부 당뇨병의 초기 평가와 관리
6 임신당뇨병의 임신 중 및 임신 후 관리
7 당뇨병에서 혈당 자기감시의 역할은 무엇인가? 식후혈당 감시는 어떤 역할이 있는가? 연속혈당측정을 임상 진료에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8 HbA1c는 당뇨병 외래 환자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로 남아 있는가?
9 연속혈당측정, 인슐린펌프, 폐쇄고리 제어 등의 기술적 문제
10 당뇨병 환자의 식단 최적화
11 인슐린저항성 개선제는 인슐린치료에 유용할까?
12 인크레틴 기반 치료
제 3 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심혈관질환의 진단과 관리
13 당뇨병 전단계와 당뇨병에서 심혈관질환 선별
14 2형당뇨병 치료제 선택: 심혈관질환 위험 감소에 가중치를 주어야 할까?
15 2형당뇨병의 체중 감량 치료제 선택
16 스타틴은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최적의 치료인가? 당뇨병의 이상지질혈증에 새로운 치료제가 있는가? 중성지방이 당뇨병의 중요한 위험인자인가?
17 이상지질혈증의 새로운 치료제
18 비만한 당뇨병에서 비만대사수술의 역할: 1차 치료인가 아니면 구조요법인가?
19 당뇨병에서 허혈심장병 치료 전략
제 4 부 합병증 관리
20 중증 및 비중증 환자의 당뇨병 관리
21 당뇨병의 안과 합병증
22 당뇨병에서 상부위장 증상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