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2505
· 쪽수 : 122쪽
· 출판일 : 2024-12-30
책 소개
목차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닌 과학
01 과학적 소양과 AI
02 과학과 AI
03 교육과 AI
04 AI 기반 과학 평가
05 AI 기반 과학 교수 학습
06 멀티모달 AI와 과학 교육
07 대규모 언어 모델과 과학 교육
08 생성형 AI와 과학 교육
09 인간-AI 협력과 과학 교육
10 학습과 교육
저자소개
책속에서
곧, 과학 교육의 기저에 흐르는 위기감은 더 이상 제1세계의 대표로서의 미국에만 유관한 것이 아니다. 차라리 20세기에는 냉전 시기 제1세계와 제2세계의 가시적인 이분적 대립 구도하에서 위기의식이 발생했다면, 21세기 과학 교육의 위기의식은 모든 나라에서 AI로 인한 미래적 불확실성과 함께 피어나고 있다. 하지만 교육 담론에서 상정되는 세계가 있는 그대로의 세계라기보다는 담론 형성의 주체들에 의해 틀지어진(framed) 세계라는 점에서, 우리는 과연 AI 및 그것과 함께 다가오는 미래를 어떻게 이해하여야 할지 질문해 보아야 한다.
-01_“과학적 소양과 AI” 중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는 ‘21세기’ 교육을 핵심 역량 중심으로 재편하는 데 큰 역할을 해 왔다. 특히 근래의 ‘OECD 교육과 기능의 미래 2030: OECD 학습 나침반 2030(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은 글로벌 교육의 중장기 비전을 그려냈다.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이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직업들을 가지고, 아직 상상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 아직 발명되지 않은 테크놀로지들을 사용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세상에서 번영하며 궁극적으로는 집단적 잘 삶(well-being)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03_“교육과 AI” 중에서
기존에는 시각 질문 응답이 컴퓨터 비전 분야의 전문가들만이 사용 가능한 어려운 테크닉이었으므로 교육학자들에 의해 활용된 사례가 매우 드물었다. 그런데 이제는 누구나 이미지를 업로드하면서 그에 관해 채팅으로 질문하는 것만으로 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시각 질문 응답 기법은 실험실 자원 및 환경 평가하기에 사용될 수 있었다. 지피티?4V는 실험실과 그곳에서 실험을 수행 중인 사람에 대한 이미지와 함께, 사진에서 무엇을 관찰하였는지, 실험실 자원과 환경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지, 또한 잘 준수되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실험 안전 수칙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사용자로부터 받았다. 그 결과 지피티?4V는 화학 물질이 담긴 병이나 파이펫, pH 측정기, 실험복, 노트북 등을 발견하였다.
-06_“멀티모달 AI와 과학 교육”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