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5049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AI 활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정신 건강 관리와 아트세러피에 대하여
01 AI와 생성 예술 기반 아트세러피
02 AI와 예술 협업 아트세러피
03 AI와 예술 융합을 통한 몰입형 아트세러피
04 AI 기반 자기 보고형 심리검사
05 AI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아트세러피
06 주목받는 AI 기반 비대면 심리 상담
07 컴퓨터 비전 기술과 아트세러피
08 생성적 모델 기술과 아트세러피
09 자연어 처리 기술과 아트세러피
10 AI 기반 아트세러피의 미래
책속에서
인공지능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예술의 장르와 내용은 인간이 수없이 반복하여 만들어 내는 변수와 유사한 예술 행위의 결과를 생성해 낸다. 각각의 서로 다른 생각과 개성을 지닌 인간의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창작 행위를 반영한 작품의 수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기의 언어 모델에서 현재의 발전된 데이터 학습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창작 행위 기반의 예술 치료 방식을 도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01_“AI와 생성 예술 기반 아트세러피” 중에서
AI 기반 심리검사의 목표는 정확한 진단이지만 현재는 기존의 심리검사 데이터 수집과 학습을 고도화하여 기술력과 실증의 조합으로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대규모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이 해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경계선 지능인과 치매 환자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지능, 기억력, 주의력, 언어능력, 단기 기억, 문제 해결 능력 등으로 다각적인 평가를 해야 한다.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언어적 표현에서 맥락을 파악하고 웹캠이나 생채 측정 결과를 합해서 대면 검사 결과와 일치하는지 분석하고, 완벽한 검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령대, 성별, 문화적 배경, 심리 상태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노이즈나 오류를 제거하여 정확한 정보만을 남기는 데이터 정제를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신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AI 모델이 최신 경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한 번의 검사로 끝나는 것이 아닌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모니터링이 되어야 하며, 이때 개인의 심리 정보는 매우 민감한 데이터이므로 데이터 수집과 관리 과정에서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수준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04_“AI 기반 자기 보고형 심리검사 ” 중에서
메타버스 기반 비대면 심리 상담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는 최적화된 환경으로 익명성 보장이 가장 큰 강점이었다. 사용자는 자신이 누구인지 드러나지 않는 것이 심리 상담 중 보호받고 있다고 느꼈고, 민감한 주제나 감정을 보다 솔직하고 빠르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물리적 거리나 시간의 제약 없어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했고, 사용자에게 디지털 내 편안한 상담 환경을 제공하여 개인적인 메타버스 심리 상담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 기반 비대면 심리 상담은 확장성이 뛰어난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반면, 약점으로는 기술적 제한이 존재한다는 점이 있었다. 고도화된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끔씩 기술적 문제나 오류를 경험하였고, 상담자 입장에서 가장 아쉬웠던 것으로 가상 환경에서 상담자의 비언어적 표현을 감지할 수 없었거나 울고 있는데 휴지를 건네지 못하는 환경이라는 점에서 비대면 심리 상담의 한계를 확인했다.
-06_“주목받는 AI 기반 비대면 심리 상담 ”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