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공지능과 글로벌 한국학

인공지능과 글로벌 한국학

조은경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360원
14,140원 >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0,67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인공지능과 글로벌 한국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공지능과 글로벌 한국학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인공지능
· ISBN : 9791173076442
· 쪽수 : 105쪽
· 출판일 : 2025-03-14

책 소개

AI가 한국학 연구 방법과 지식 생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챗지피티 등 생성형 AI는 인문학 연구를 효율화하며, 데이터 분석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한국학을 체계화한다. 그러나 AI 언어 모델의 한국 관련 정보 부족 문제와 윤리적 민감도 향상이 필요하다. 저출산·고령화 속에서 글로벌 한국학은 새로운 교류와 연구 방향을 모색하며, AI와 융합된 학문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목차

인공지능이 만들어 가는 지구화

01 글로벌 한국학
02 인문학과 인공지능
03 한국학을 위한 인공지능
04 인공지능 언어 모델과 챗지피티
05 언어 데이터와 기계 학습
06 언어 모델과 한국에 관한 지식
07 언어 모델의 사회적·윤리적 민감도
08 언어 모델의 문화 민감도
09 언어 모델을 활용한 교육과 검색 증강 생성
10 언어 장벽 너머 글로벌 한국학

저자소개

조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전임 교수이며 컴퓨터공학과에 겸직으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언어정보학과 석사,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학과 박사 학위가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주관의 21세기 세종계획에 참여했고, 한국연구재단, 산업자원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관의 다양한 한국어 정보 처리 연구 과제에 참여한 바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공학연구부에서 위촉 연구원으로,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 검색포털본부에서 소프트웨어개발자로, 삼성전자 선행개발팀에서 시니어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언어 정보 처리 업무를 담당했다. 주요 논저로 박사 학위 논문 “국어 공지시 해석 시스템에 관한 연구”(2007), “감성 분석 연구의 현황과 말뭉치에 기반한 사례 분석”(2012), “디지털 사회의 가치와 언어 연구 방법”(2016), “Improving educational dialog system for historical world affairs” (2021), 『한국어 텍스트 감성분석』(2017, 2022), 『한국학과 데이터과학』(2024) 등이 있다. 현재는 한국연구재단의 “대화분석에 근거한 인간과 기계와의 인터페이스 설계” 과제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사회적, 윤리적 학습을 위한 데이터 특성 및 생성 AI 모델의 윤리성 향상”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데이터 과학적 한국학이 데이터 과학적이라는 수식어를 달았다고 해서 연구 대상이나 내용이 다른 것은 아니다. 이전에 전통적인 한국학이 연구했던 한국의 문학, 역사, 정치, 사회, 예술에 관한 주제를 연구하되 방법론이나 연구 자료 측면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연구 재료로 하여 양적 분석 결과를 줄 수 있는 정보 처리/분석 방법론을 활용한다. 따라서 연구 자료는 디지털화된 역사 자료일 수도 있고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것일 수도 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데이터 과학이라는 분야가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삼는 통계적 방법, 기계 학습, 더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 등이 모두 해당된다.

-01_“글로벌 한국학” 중에서


한국을 알리고 한국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인 한국학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연구된 성과를 보면 한국학은 한국학을 연구하는 지식인 엘리트의 전유물인가 싶을 정도로 질적 분석의 깊이가 깊고 때로는 자의적인 느낌이 들 정도로 그들만의 연구인가 싶을 때도 있다. 비교적 최근 글로벌라이제이션에 힘입어 K?팝이나 K?컬처 등 지구적 영향력을 갖는 대중문화에 관한 연구가 한국학을 조금 대중화시키기는 했다. 한강이 2024년에 노벨상을 받기까지는 2016년 맨부커상을 받은 그녀의 작품 『채식주의자』를 세계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그리고 서양인들의 감성에도 호소할 수 있도록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Deborah Smith)의 역할도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학이나 한국적 무엇이 널리 알려지는 데에는 지구화와 대중적 영향력을 가진 그 무언가 지렛대가 필요하다.

-03_“한국학을 위한 인공지능” 중에서


한국어 데이터로 학습을 하면 한국어로 질문할 수 있는 질의응답 시스템이나 한국어로 요약해 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는 요약 시스템을 만들기가 더 쉬울 것이다. 기반 언어 모델(foundation language model)이 한국어가 대부분이므로 한국적 지식일 가능성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언어 모델에 한국어로 표현된 한국적 지식과 언어문화적 자산이 더 많이 학습되어야 하고 그 이전에 한국어로 작성된 지식 콘텐츠가 더 많이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성을 띤다. 그렇다고 하여 한국학적 지식이 반드시 한국어로만 표현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언어 모델의 한국학적 지식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06_“언어 모델과 한국에 관한 지식”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3076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