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91185497334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2-08-15
목차
제1장 인터넷 기반 디지털 사회
1. 디지털 사회 개요
1-1. 디지털 사회의 특징
1-2-1. 개방화
1-1-2. 지능화
1-1-3. 융합화
1-1-4. 공간확장
1-2. 공간의 재구성 인터넷
1-2-1. 네트워크 연결성
1-2-2. 3차원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는 인터넷
(1) 차세대 인터넷 개념
(2) 세대별 웹(Web)의 특징
(3) Web 3.0 시대
2. 5G 네트워크 기술
2-1. 디지털 네트워크 기술 개념
2-2. 5G기술 개요
2-2-1. 5G 네트워크의 진화 및 특징
(1) 5G 네트워크의 기술적 진화
(2) 5G 네트워크의 가상화
2-2-2. 메타버스 시대 5G 이동통신
2-3. 5G서비스 구현
2-4. 5G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2-4-1.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개념 및 장점
(1)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개념
(2)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장점
2-4-2.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원리 및 특징
(1) 5G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원리
(2)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특징
2-4-3.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구성 및 동작
(1)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구성
가.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SI)
다. 네트워크 기능별 인터페이스 제공
(2)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동작
2-4-4, 네트워크 슬라이싱 구현
제2장 6G 네트워크 개요 및 기술 동향
1. 6G 네트워크 개요
1-1. 6G 기술 등장 배경 및 개념
1-1-1. 6G 등장 배경
1-1-2. 6G 기술 개념
1-2. 6G 기술 특징
1-2-1. 5G와 6G의 특징 비교
(1) 5G 특징
(2) 6G 특징
1-2-2. 6G가 가져올 변화
1-2-3. 6G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특징
2. 6G 네트워크 핵심 요소 기술
2-1. 6G 이동통신망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의 필요성
2-1-1. 이동통신 기술의 개요
(1) 이동통신의 중요성
(2) 이동통신 기술 및 서비스의 진화
2-1-2. 인류의 삶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2-2 6G 이동통신 구현을 위한 기술적 요구사항
2-2-1. 6G 기술 및 서비스의 진화
2-2-2. 기술적 요구사항
3. 새로운 주파수 대역 테라헤르츠파(Terahertz wave) 기술
3-1. 통신주파수
3-1-1. 전파 개념
3-1-2. 전파의 종류
3-2. 테라헤르츠(THz)파 등장 배경
3-2-1. 테라헤르츠(THz)파의 부상
3-2-2. 테라헤르츠(THz)파의 중요성
3-3. 테라헤르츠 주파수 개념 및 정의
3-3-1. 테라헤르츠파(THz Wave) 개념
3-3-2. 테라헤르츠(THz)파 정의
3-4. 테라헤르츠 주파수 특징 및 활용성
3-4-1. 테라헤르츠 주파수 특징
3-4-2. 테라헤르츠(THz)파의 활용성
3-5 테라헤르츠파(Terahertz Wave, T-ray) 기술 동향
3-5-1. 광소자 기반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
3-5-2. 반도체-전자소자 기반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
3-5-3. 테라헤르츠 주파수의 한계점
3-6. 테라헤르츠 기술 개발 현황
3-6-1. 6G 통신을 위한 안테나 기술
(1)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 기술
(2) RF 프론트엔드(RF Front-End) 기술
3-6-2. Massive MIMO와 빔포밍 기술
(1) Massive MIMO 기술
(2) 빔포밍(Beamforming) 기술
3-7. 테라헤르츠파 산업동향 및 표준화 로드맵
3-7-1. 테라헤르츠 산업동향
3-7-2. 표준화 로드맵
제3장 6G 구현을 위한 주요 기술 현황 및 표준화 동향
1. 6G 구현을 위한 주요 기술 현황
1-1. 3D 입체통신
1-1-1. 3차원 네트워크
1-1-2. 3차원 공간 통신
1-1-3. 홀로그래픽 통신
1-2. 6G 지능망을 위한 인공지능(AI) 및 IoT
1-2-1. 지능형 AI
1-2-2. 지능형 IoT(Intelligent IoT)
2. 6G 기술 개발 현황 및 표준화 동향
2-1. 6G 기반 주요 산업 방향
2-1-1. 완전 자율주행차
2-1-2. 에어택시, 자율비행 드론
2-1-3. 초실감 메타버스
2-1-4. 실시간 원격수술
2-1-5.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 관리
2-2. 국내외 6G 개발 현황 및 표준화 동향
2-2-1. 국내외 6G 개발 현황
(1) 미국
(2) EU
(3) 중국
(4) 일본
(5) 우리나라
2-2. 주요업체 동향
2-2-1. 해외 업체 동향
2-2-2. 국내업체 동향
2-3. 6G 표준화 동향 및 향후 전망
2-3-1. 6G 표준화 동향
2-3-2. 향후 전망
그림 목차
[그림 1]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제안
[그림 2] 가상세계의 모식도(The Anatomy of the Virtual World)
[그림 3] 디지털 혁신
[그림 4] 슈퍼 스마트 국가의 틀
[그림 5]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융합
[그림 6] ICT의 구성 요소
[그림 7] 미래 인터넷을 위한 모델
[그림 8] 인터넷 서버와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상호작용
[그림 9] 끊임없이 변화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사항
[그림 10] Web 2.0 도구
[그림 11] 웹 3 도구 상자
[그림 12] 웹 3.0의 인프라 및 공간 웹 구축
[그림 13] Cisco 디지털 네트워크 아키텍처
[그림 14] 5G 구현 기술
[그림 15] 5G 네트워크의 특징
[그림 16] 가상화되고 세분화된 RAN 아키텍처
[그림 17] 인터넷 패러다임 변화
[그림 18] 미래 인터넷을 위한 모델
[그림 19] 5G 기반 기술
[그림 20]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개요
[그림 21]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프레임워크.
[그림 22] 5G 코어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적 구성도
[그림 23]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특징
[그림 24] 네트워크 슬라이스I(Network Sloce)의 예
[그림 25] 네트워크 슬라이스
[그림 26] 네트워크 슬라이싱 아키텍처
[그림 27] Registration procedure
[그림 28] 공유 및 전용 리소스가 있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예
[그림 29]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etwork Sloce Instance) 수명주기
[그림 30] NGMN(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의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개념적 구조 3계층
[그림 31] 5G 네트워크 슬라이싱 아키텍처
[그림 32] 슬라이스 인스턴스(NSI)가 제공하는 다양한 통신서비스
[그림 33] 네트워크 슬라이싱 아키텍처
[그림 34] 네트워크를 기반으로한 디지털 사회
[그림 35] 6세대 무선 네트워크
[그림 36] 5G와 6G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비교 분석
[그림 37] 3GPP 이동전화 기술로드맵
[그림 38] 6G 무선통신 네트워크 개요
[그림 39] 6G 비전
[그림 40]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미래 비전
[그림 41] 1G에서 6G로 기술 및 서비스의 진화
[그림 42] 5G 구현 기술
[그림 43] 6G 무선네트워크 비전
[그림 44] 6G 스펙트럼
[그림 45] 6G를 위한 핵심 기술
[그림 46] 삼성전자가 ‘6G 백서’에서 제시한 6G 통신기술
[그림 47] 주파수 스펙트럼 예시
[그림 48] 5G 프레임워크
[그림 49] 6G 아키텍처
[그림 50] 테라헤르츠 주파수 범위
[그림 51] 테라헤르츠(THz) 갭(gab)
[그림 52] THz 기술의 응용
[그림 53] 6G 핵심성능지표
[그림 54] Key considerations for terahertz(THz) modulation, involving two-dimensional (2D) materials, operation principles, and photonic structures design
[그림 55] 6G 주파수 스펙트럼의 패러다임 전환
[그림 56] THz 주파수 범위와 응용 분야
[그림 57] 테라헤르츠 기반 6G 애플리케이션 운용
[그림 58] 현재 IEEE에서 고려중인 채널 할당 계획
[그림 59] 6G 이동통신의 핵심 안테나 기술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검증 개념도
[그림 60] RF Technology Enabling the Vehicle
[그림 61] 4G MIMO에서 5G Massive MIMO로의 다중 안테나 기술 진화
[그림 62] Massive MIMO(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그림 63] RF 효율 향상을 위한 빔포밍 기술
[그림 64] 빔 조향 및 전환
[그림 65] 테라헤르츠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그림 66] 테라헤르츠파(Terahertz wave) 활용
[그림 67] 테라헤르츠파 보안검색 기술 개념도
[그림 68] 6G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 동향
[그림 69] 6G 표준화 로드맵
[그림 70] 6G 비전
[그림 71] 비지상 네트워크(NTN) 종류 \
[그림 72] 3D 입체통신을 포함한 6G 배치 시나리오
[그림 73] AR·VR 시장 전망
[그림 74] 상황인식에 따른 홀로그램 통신의 개념적 아키텍처
[그림 75]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6G 통신 시스템
[그림 76] 지능형 네트워크 6G
[그림 77] AIoT 기술 아키텍처
[그림 78] 6G 통신망의 응용 시나리오
[그림 79] 자율주행 차량의 장면 인식 및 물체 감지를 위한 딥러닝 아키텍처
[그림 80] 미래 이동수단 UAM
[그림 81] 클라우드 기반 6G 이동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그림 82] 디지털 수술
[그림 83]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운영 개략도
[그림 84] 주요국별 6G 특허 점유율
[그림 85] Hexa-X 프로젝트의 6G Use Cases
[그림 86] 미래 6G의 주요 기능
[그림 87] 6G 주요 지표별 기술분야 및 세부 분류
[그림 88] 3GPP(이동통신 표준 개발 단체) 5G 기술표준 진화 단계
표 목차
[표 1]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본질 및 디지털·물리적 영역의 융합
[표 2] 세대별 웹 구분과 특징과 웹의 진화
[표 3] 5G 네트워크 기반 혁신 서비스 진화 방향
[표 4] 네트워크 슬라이싱의 핵심기술
[표 5] 일반망과 SDN 기반 가상 네트워크의 비교
[표 6] 네트워크 슬라이싱 특징 및 NGMN/3GPP 네트워크 슬라이싱 및 NFV 개념
[표 7] 5G 코어 네트워크 주요 기능 및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능
[표 8] 글로벌 IT 기업들이 제시하는 6G 비전
[표 9] 6G기술 분류별 정의 및 주요 핵심기술
[표 10] 6G 주요 성능 및 기술적 특성
[표 11] 5G·6G 주요 특징 비교 및 6G 핵심 서비스
[표 12] 5G 기술 성능 및 6G 성능 목표 비교
[표 13] 5G 네트워크 기반 혁신 서비스 진화 방향
[표 14] 5G 및 6G 주요 사용처 비교
[표 15] 전파의 성질
[표 16]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전파의 종류
[표 17] 6G의 주요 성능 요구사항 및 4G, 5G 비교
[표 18] 빔포밍 유형
[표 19] 6G의 미래 서비스 예시
[표 20] 주요국 6G 추진 현황
[표 21] 넥스트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 개요
[표 22] 6G 핵심기술 특허 출원 분야별 Top10 기업 및 기관
[표 23] 주요국 6G 준비 현황
[표 24] 6G R&D 6대 분야 10대 과제
[표 25] 세계 주요업체의 6G 비전 및 단체 동향
[표 26] 삼성·LG전자 6G 기술 개발 현황
[표 27] 주요국가의 국제표준화 동향
[표 28] 차세대 이동통신 6G